A case of prolapse of the laryngeal ventricle

후두실 탈출증 1례

  • Published : 1977.06.01

Abstract

According to Bryce and Cranston, prolapse of the laryngeal ventricle is a protrusion of the ventricular mucosa into the laryngeal cavity from inflammatory hyperplasia or edema. This 53 year old female patient was admitted to our hospital March 11, 1977 with the chief complaints of dyspnea and hoarseness. On admission, evaluation of the larynx revealed smooth surfaced round pink-reddish mass protruding bilaterally beneath the false cord. The airway was almost completely obstructed by the tumor mass, but neither ulceration nor infiltration was seen, also no lymphnode was palpable in the neck. Tracheotomy was performed for the relief of dyspnea and biopsy was done endoscopically. Histologic study showed chronic inflammation. On April 2, 1977 laryngofissure was performed under general anesthesia. Laryngeal examination revealed smooth surfaced, plate like, pinkreddish mass protruding bilaterally from both laryngeal ventricles into the laryngeal cavity and extending the whole length of the ventricle antero-posteriorly and touching each other. Biopsy was taken of the mass and the result was non-specific inflammatory hyperplasia of the larynx. Postoperatively, the air way is completely clear of obstruction but mild hoarseness still remains. No recurrent mass is visible in the larynx. In view of the symptoms, operative findings and histological findings, this case is diagnosed as "Prolapse of the laryngeal ventricle". The prolapse of the laryngeal ventricle is a very rare lesion and is reported with review of the literature.

후두실의 탈출은 Bryce 및 Cranston에 의하면 후두실 점막이 염증성 비후 또는 부종으로 인해 후두강내에 탈출된 것이라고 했다. 환자는 53세의 여자로서 1977년 3월 11일 호흡곤란과 사성의 주소를 갖고 본원에 입원하였다. 입원당시 후두소견은 가성대 하부에 표면이 평활하고 둥근 연홍색의 종물이 양측으로부터 돌출되어 기도를 거의 폐쇄하고 있었으며, 종물에는 궤양은 없었으며 주위 조직에 침윤된 소견은 볼 수 없었다. 경부에는 임파선비대를 촉진할 수 없었다. 호흡곤란이 심하여 기관절개술을 실시한 후에 직달후두경하에 조직검사를 하였으며, 검사결과는 만성염증으로 판정되었다. 1977년 4월 2일 전신마취하에 후두절개술을 시행하여 후두강을 관찰한 결과, 후두실의 앞에서 뒤까지 전역에 걸쳐 기시된 표면이 평활한 판상의 연홍색 종물이 양쪽에서 상대적으로 후두강내로 자라나와 중앙부에서는 거의 서로 맞닿아 있었다. 제거된 종물의 조직검사 결과도 술전과 같이 염증성비후로 나타났다. 수술후 경과는 양호하여 현재 호흡곤란은 완전히 소실되었고 음성은 경도의 사성을 호소할 뿐이고 후두강내에는 종물의 재발 증후는 없었다. 본증은 임상증상, 수술시의 후두강 소견 및 조직소견으로 보아 "후두실 탈출증"이라고 진단되었다. 이 후두실 탈출증은 문헌상 희소한 것으로서 일증례를 문헌적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