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rxism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5초

마르크스 철학의 인격 개념을 통해 본, 여성과 남성의 성정체성 (Sexual Identity on the Personality of Marxism)

  • 김영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2호
    • /
    • pp.674-682
    • /
    • 2014
  • 마르크스 철학에 있어서 인격 개념은 '사회적 제 관계를 기반으로 한 활동성'으로 규정될 수 있다. 이 개념을 여성과 남성의 성정체성의 차이 문제에 적용시켜보면 두 가지 중요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첫째, 인격은 이데올로기에 의해 규정된다. 따라서 프로이드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이론은 가부장제 사회에 있어서 남성 우월주의 이데올로기의 영향력을 무시한 점에서 비판 가능하다. 둘째, 남성과 여성의 활동성(특히 노동)의 차이, 즉 남성의 사회적 노동과 여성의 사적 노동은 남성과 여성의 인격에 결정적 차이를 야기시켰다.

몸의 정치 (The Politics of the Body)

  • 류의근
    • 철학연구
    • /
    • 제126권
    • /
    • pp.53-78
    • /
    • 2013
  • 메를로-퐁티의 정치 사상은 서구 마르크시즘 또는 실존 현상학적 휴머니즘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메를로-퐁티의 정치 이론을 신체의 관점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우리는 2장에서 전통 정치의 주체성 이해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3장에서 메를로-퐁티가 대안으로 제시하는 새로운 주체성을 해명하고 4장에서 이를 토대로 정치에 대해 육화 또는 살의 관점에서 접근하며 5장에서 정치적 주제로서 폭력을 규명한 뒤 6장에서 결론적 평가로 마무리한다. 이러한 논의 과정에서 정치 세계를 보는 법을 새롭게 배울 수 있기를 기대한다.

Ramon Guillermo, Scholar-Activist of Indonesian and Philippine Society

  • Eliserio, UZ.
    • 수완나부미
    • /
    • 제12권1호
    • /
    • pp.157-175
    • /
    • 2020
  • This paper presents the work of Southeast Asian scholar Ramon Guillermo. Using sophisticated computer-aided methods, Guillermo approaches a range of topics in the wide fields of social sciences and the humanities. A creative writer as well as an activist, Guillermo grounds his studies in nationalism and Marxism. Particularly interested in Indonesian and Philippine society and culture, Guillermo engages with the writings of labor leaders Tan Malaka and Lope K. Santos, translations of Marx's Capital into Bahasa and Filipino, and studies as well the discursive and historical connections between the Communist Parties of both countries. The paper aims to introduce the innovations of Guillermo's studies, particularly in the fields of cultural studies and translation studies. The type of cultural studies Guillermo practices is empirical, taking inspiration from innovations done in the digital humanities. Guillermo is most opposed to trendy, fashion-seeking approaches that are not grounded on history. He reserves particular ire for "hip" postcolonialism, and instead praises studies that are founded on politics and materialism. In translation studies, Guillermo goes beyond the mere cataloguing of mistakes. For him, it is the mistakes and "perversities" of a translation that is interesting and illuminating. Guillermo himself is a translator, and the paper ends with a brief discussion of his production in this field.

  • PDF

인민주권론의 관점에서 본 중국 협상민주주의(协商民主) (Consultative Democracy in Contemporary China: From a Perspective of Popular Sovereignty)

  • Yoo, Eunha
    • 분석과 대안
    • /
    • 제4권1호
    • /
    • pp.39-61
    • /
    • 2020
  • The Chinese Communist Party's 'with-Chinese-characteristics' discourse proclaims its superiority in reflecting people's genuine needs without poisonous partisan politics, as in Western democracies. The Party's Consultative Democracy is key to this superiority. To evaluate Consultative Democracy in Contemporary China from a perspective of popular sovereignty, which is the essential purpose of every kinds of democracy, this research looks into Consultative Democracy from two dimensions: theoretical dimension and institutional dimension. Theoretically, CCP's Consultative Democracy seeks its theoretical sources from their traditional thought as well as from Marxism, and especially emphasizes CCP's leadership to fulfill the consultation results. And through the analysis of various field investigations, we find that there are some prominent problems in grass-roots society's institutional mechanism for Consultative Democracy, such as insufficient connection between institutional innovation and existing legal system, inefficient consultation, insufficient representation of consultative subjects and weak motive forc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By legitimizing certain groups or individuals as representatives in their consultative process, CCP can be de-legitimize by containing, dividing or denouncing others so that critics can be co-opted, neutralized or isolated. The CCP's consultative and representational processes are different from taking policy inputs as dialogue or negotiation as in democracies, it is a dynamic, largely one-way process of enforcement and direction with a clear political agenda: maintaining Party hegemony.

  • PDF

윌리엄즈의 '감정구조' 개념과 계급에 대한 제(諸) 개념들의 검토: 현대 일본의 '계급지향적' 노동운동을 위한 이론적 틀 고찰 (Williams' "Structure of Feeling" and Theories on the Working Class: Examination of a Theoretical Framework for a "Class-Oriented" Labor Movement in Contemporary Japan)

  • 정유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130-143
    • /
    • 2017
  • 본 연구는 'B'지역노조라는 현대 일본의 '계급지향적' 노동운동을 검토하기 위해, 우선 그 이론적 틀을 모색하는 작업이다. 현재 일본에서 '계급지향적'인 노동운동은 주변에서 '잔여적인' 노동운동으로 설정되지만, 그럼에도 그 활동은 활발히 계속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 그 '계급지향적' 노동운동을 분석하기 위한 이론적 틀을 살펴보았다. 먼저 윌리엄즈에 의한 개념의 변화를 검토하고, 마르크스주의의 계급 계급의식 개념과 '언어적 전회'의 새로운 주체 개념 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B'지역노조의 사례에 맞게 '감정구조' 개념을 재해석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본 연구에서는 'B'지역노조의 '집단적 노동자'와 '개인화된 노동자', '노동자'와 '비노동자'가 물질적 공간 혹은 비물질적 공간에서 집단화를 이룬다고 보았고, 그 '감정구조'는 '''계급지향성''을 둘러싼 모순과 절충'이라고 정리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그에 대한 '감정구조'의 모형을 제시했다.

조르쥬 상드의 어떤 사회주의 - 사랑의 공동체에 대한 꿈 - (A Certain Socialism of George Sand - Dream of a Community of Love -)

  • 박혜숙
    • 비교문화연구
    • /
    • 제52권
    • /
    • pp.31-52
    • /
    • 2018
  • 이 논문은 19세기 프랑스 소설가인 조르주 상드의 공상적 사회주의를 재조명하기 위한 것이다. 한 마디로 그녀의 사회주의는 기독교적 사회주의라고 할 수 있다. 그녀는 당시 기독교적 사회주의를 부르짖은 르루와 라므네에게서 지대한 영향을 받았다. 이것은 당시의 공상적 사회주의자들인 생시몽과 푸리에등과도 다른 사회주의였다. 또한 상드의 사회주의는 당시 유행하였던 코뮤니즘과도 닮아있었다. 우리는 많은 저술에서 상드를 코뮤니스트로 묘사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녀의 소설도 그녀의 코뮤니즘적 사상을 전파하기 위해 쓰여진 것이다. 하지만 그녀의 코뮤니즘은 마르크스식의 코뮤니즘과는 또 다른 사상을 보여준다. 이 논문에서는 그녀의 소설과 편지 그리고 그녀가 쓴 정치적 격문들 속에 나타난 그녀의 코뮤니즘 사상을 마르크스 주의와의 비교를 통해 다음 세 가지로 분석할 것이다. 1.마르크스의 공산주의가 폭력을 정당화하였다면 상드의 코뮤니즘 사상은 비폭력주의를 바탕으로 한다 2. 상드의 코뮤니즘은 노동자뿐 아니라 노동자와 자본가 모두를 위한 평등을 주장한다. 그녀는 "모두를 위한 평등이 아니라면 우리는 논할 자격도 없다"고 말한다. 3. 마지막으로는 그녀의 코뮤니즘은 철저하게 기독교적 가치관 즉 사랑과 연대에 바탕을 둔 것이다.

이근삼과 북한공연예술의 이데올로기 (Lee Geun-sam and Ideology of North Korea's Performing Arts)

  • 심우일
    • 공연문화연구
    • /
    • 제42호
    • /
    • pp.23-45
    • /
    • 2021
  • 1980년대 이근삼은 북한의 공연예술 정책과 이데올로기를 분석한 평론을 남긴 바 있다. 그는 앞의 평론들에서 북한공연예술의 특징으로 첫째 당국의 정책 목적에 부합하도록 작품이 구성된다는 점, 둘째 계급투쟁의 목적을 지닌 정치적 이데올로기를 작품 내부에 포함하고 있다는 점을 제시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이근삼은 남한공연예술 활동의 '자유'와 북한공연예술 활동의 '통제'적 측면을 비교하고 암묵적으로 남한 체제의 우위를 드러내고 있다. 또한 이근삼은 북한공연예술의 정치적 이데올로기를 비판하며 이데올로기 개념을 마르크스주의적 관점에서 바라보는 것에 반대하고 있다. 이근삼에 의하면 이데올로기란 예술가의 의식/무의식적 세계관을 드러내는 관념 체계로 설명되고 있으며 예술작품은 작가의 관념적 의식/무의식적 체제의 표현이며 예술은 정치적 이데올로기와 거리를 두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W. E. B. 듀보이스와 '니그로'의 재구성 (W. E. B. Du Bois and the Reconstruction of the 'Negro')

  • 이경원
    • 영어영문학
    • /
    • 제55권5호
    • /
    • pp.907-936
    • /
    • 2009
  • Quite arguably, W. E. B. Du Bois is the first figure in the history of black nationalism who engaged most persistently and systematically with the dominant ideology of racism and white supremacy. It is not too much to say that, by contending with the Eurocentric but taken-for-granted concept of the 'Negro' in the turn of the century, Du bois has laid the theoretical and ideological cornerstone of postcolonialism today. But his concept of race varied over time and was even contradictory in the same writings. The early Du Bois defined race as something historically made rather than biologically given and determined. Yet he didn't utterly deny the significance of physical traits and skin color in constructing racial identity. His notion of the 'Negro' was not unambiguous, either. While drawing on the 'soul' of 'black folk' to undermine the Eurocentric dichotomy of white/mind and black/body, Du Bois argued that there is some kind of 'spiritual' differences between whites and blacks, differences that are essentially inherent and hereditary in the 'Negro.' Such essentialist notion of race and the 'Negro' was on the wane in the later Du Bois, especially after his encounter with Marxism. He came to think of race merely as a discourse of racism that can be subverted and even appropriated for anti-racist practices. Following the Marxist assumption that 'the color line' is a class conflict on the international level, Du Bois contended that the 'Negro' is an outcome of slavery which is in turn a subsystem of Western capitalism. He also argued that, since the 'Negro' is not a biological essence but a sociocultural formation, the identity of the 'Negro' can and must be reconstructed according to historical change. For Du Bois, therefore, the resistance against colonialism and capitalism became a resistance against racism. This is why his Pan-African movement shifted its gear from the American program in the initial phase to a truly 'Afrocentric' and socialist one.

문학 경제학 -사용가치에서 교환가치로의 전이 (Economics of Literature: Transfer of 'Worth' to 'Value')

  • 양병현
    • 영어영문학
    • /
    • 제55권5호
    • /
    • pp.767-792
    • /
    • 2009
  • The two fields, economics of art and literature, tend to be put together as part of cultural economic studies; yet the former has been widely popular as compared to the latter. Economics of art has been known as part of social science which studies art economically. Similarly, economics of literature is likely to be an interdisciplinary study of literature and economics. Literature is suggested usually to reflect the economic base of a society as a form of its superstructure in view of classical Marxism; so, it is interesting to see social, economic activities, such as individual values and social institutions, income, price and opportunity cost, in a particular way of analyzing economic ideas in literature. Capital seems to have an innate property of self-expansion in literature; this property thus features actual economic life since in capitalism money is the universal value between persons and literary works. Specifically, the field of economics of literature starts with such ideas: economics of literature is part of cultural economics; and economics of literature deals with the economic value of literature. Putting interdisciplinary fields of literature and economics together,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conomic value of literature in which Karl Marx talked about commodities with exchange value, use value, and fetishism. The exchange value is commercial worth, the actual exchange value of a publication; yet, the use value is innate worth, the aesthetic use value of literature. With commodity fetishism, profit seems not as the outcome of a social relation, but of a work- "reification" as the would-be Marxists suggest. As a commodity, the literary work appears to be able to animate life and power in reality. As a result, this paper asserts that social, economical activities in literature as we may apply to the study of economics of literature increase its economic value, implying commercial and innate worth, as the capital in the marketplace.

영화 <기생충>에 나타난 생명자본의 관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Views of Vital Capital in Film )

  • 강병호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75-88
    • /
    • 2021
  • 영화 <기생충>은 칸 영화제(Cannes Film Festival)에서 황금종려상을 수상하고 2020년 2월 아카데미 작품상도 받아 기념비적 평가를 받는다. 일반적으로 평론가들은 이 영화를 격렬하게 뒤틀린 계급격차, 계급의 분노와 같이 계급(class)간 갈등을 주제로 논평한다. 영화 <기생충>은 마르크시즘(Marxism)의 정형화된 계급투쟁 구도보다 "악한이 등장하지 않는 비극", "문화로 체화된 내재적 갈등"을 표현하고 있다. 다시 말해 부르디외(Pierre Bourdieu)가 주장한 기체화(substrate)된 현대사회의 계급관계를 표현한다고 볼 수 있다. 영화 <기생충>은 이념 대립이 과잉인 한국사회에 논쟁의 주제가 되었다. <기생충>이란 키워드는 문화 콘텐츠가 아닌 정치권의 논쟁에서 차용된 경향도 발견할 수 있다. 기생충을 좌파 선동 영화라 치부하는 주장도 있지만 정작 사회주의가 국가이념인 중국에서는 개봉을 금지시켰다. 반면 이어령은 영화 <기생충>이 이분법적 시각으로 사회현상을 바라보지 않고 겹 시각(dual view)으로 바라보고 있다고 주장하며 긴장 속에서 인간을 바라보는 눈을 잃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이런 관점은 생명자본론 (vital capitalism)에 기초한다. 생명자본론은 계급투쟁 갈등에서 역사발전 근인을 찾지 않고 생명이 가진 고유 특성 토포필리아(topophilia), 네오필리아(neophilia), 바이오필리아(biophilia)로 역사와 사회를 해석한다. 또한 문명 발전을 홉스 (Hobbes)의 포식주의 단계, 미셀 세르(Michel Serres)의 숙주-기생 단계, 마굴리스(Margulis)의 상호 기생, '상생'의 단계로 발전해왔다고 조망한다. 이 논문에서는 생명자본의 개념을 소개하고 문화자본에 관한 선행연구를 분석한 후 영화<기생충>의 내용 중 문화자본에서 주장하는 아비투스(habitus), 기초한 장(fields)의 개념으로 해석된 장면(차별, 취향, 교육, 기생)을 중심으로 생명자본적인 재해석을 시도한다. 선행연구의 이론적 기초가 되는 문화자본론은 콘텐츠 해석에 있어 자기이해의 단일동기로 해석의 다양성과 우연성을 저감할 가능성이 높고 도식화된 해석이 될 수 있다. 또한 연속론 즉 시대와 환경은 변해도 자본주의의 속성은 연속된다는 주장은 새로운 하부구조(기술혁신, 생산성 증대)의 변화와 이에 의해 변화되는 사회관계와 개인의 역할을 해석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영화 <기생충(parasite)>을 텍스트로 선행연구들이 해석의 기초한 문화자본적 접근방법에 대응하여 생명자본의 해석적 대안의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탐색적 연구는 한국의 극단적 이념 풍토에 대한 대안의 시도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