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rriage types

검색결과 117건 처리시간 0.028초

현대 여성의 직업군에 따른 헤어스타일 유형 및 선호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airstyle Types and Preference according to Occupational Groups of Modern Women)

  • 장율희;박장순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4호
    • /
    • pp.71-77
    • /
    • 2022
  • 현대 사회의 직장인은 원만한 인간관계와 타인과의 경쟁에서 밀리지 않는 직장 내의 승진을 위한 외모 관리가 간과될 수 없는 현실이다. 이러한 사회적 추세에 따라 헤어스타일을 포함한 직장인들의 외모 관리 및 인식에 대한 미용학적 심층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성 항공사 승무원, 여성군인, 여성 스포츠인, 여성 법조인, 여성 간호사의 직업인을 대상으로 연령, 결혼 여부, 학력, 직업 등으로 분류하여 집단 간 차이를 교차분석하여 헤어스타일 유형과 선호도에 대하여 면밀하게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각 직업군 여성에 따라 본인의 현재 헤어스타일 유형 및 모발 질감, 현재 사용하는 헤어스타일링 제품의 용도, 개인적으로 평소 선호하는 여성 헤어스타일 및 헤어컬러 등 각기 상이한 결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미용 마케팅 시장에서의 고객 니즈를 충족시키는 뉴모드 아이템 개발과 고객 수요조사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리라 사료한다.

초기 노년기 부부의 부부관계와 성인자녀관계에 따른 집단유형과 심리적 부적응의 차이 (Clustering by Marital Relationship and Adult Children Relationship and Group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Maladjustment of Elderly Couples)

  • 이주연;정혜정
    • 한국노년학
    • /
    • 제32권4호
    • /
    • pp.975-991
    • /
    • 2012
  • 본 연구는 초기 노년기 부부의 부부관계와 성인자녀관계에 따른 집단유형 구분과 그 특성을 파악하고, 집단유형에 따른 심리적 부적응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남편이 현재 퇴직한 상태로 부부 모두 만 55 ~ 75세인 초기 노년기 부부 271쌍이며, 편의와 눈덩이 표집으로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남편과 아내 각자가 지각한 부부관계와 성인자녀관계 변인들을 지표로 군집분석을 한 결과, '부부-자녀관계 혼미형', '부부-자녀관계 갈등형', '부부-자녀관계 친밀추구형', '부부-자녀관계 친밀형'의 4개 집단유형이 확인되었다. 둘째, 결혼기간은 '부부-자녀관계 혼미형'에서 가장 길었고, 교육수준은 '부부-자녀관계 친밀형'에서 가장 높았으며, 사회활동 참여유형의 경우 '부부-자녀관계 갈등형'에서는 '주로 혼자' 활동하는 비율이, '부부-자녀관계 친밀형'에서는 '부부 함께' 활동하는 비율이 높았다. 셋째, 집단유형에 따라 심리적 부적응의 차이는 남편의 경우 우울, 불안, 신체화 모두에서 '부부-자녀관계 갈등형'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아내의 경우 우울, 신체화는 '부부-자녀관계 갈등형'에서, 불안은 '부부-자녀관계 혼미형'과 '부부-자녀관계 갈등형'에서 가장 높고, '부부-자녀관계 친밀형'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초기 노년기 부부의 심리적 부적응 수준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부부관계와 성인자녀관계 모두가 중요하다는 것과 함께 여성노인의 심리적 부적응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특히 성인자녀와의 관계에 대한 관심과 재조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30세 이상 한방의료기관 외래환자 중 비복합 및 복합만성질환자의 의료이용과 결정요인 - 2011년 한방의료이용 및 한약소비실태조사보고서(보건복지부)자료를 중심으로 - (The Use and its Affecting Factors of patients aged 30 and over with single and multiple chronic diseases and their usage outpatient Korean medicine clinics - Based on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s 2011 Report on usage of Korean medicine -)

  • 윤진원;최성용;이선동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95-107
    • /
    • 2015
  • Objective : To use and its affecting factors of patients' outpatient treatment that have single and multiple chronic illnesses Method : We used the 2011 study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Report on Usage and Consumption of Korean Medicine." This report was conducted on outpatients and inpatients that visited Korean traditional medicine, from August 25th, 2011, to September 30th, 2011. Our research was based on 1729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aged 30 and over who received outpatient treatment during the last three months. Results : There were 1365 patients with non-complex chronic diseases, while there were 364 patients with complex chronis diseases. Patients had 1 - 8 chronic diseases, and the average number (standard deviation) was 1.26 (0.59).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y sex(P<0.0001), age(p=0.0045), marriage (p=0.0060), education level(p<0.0001), income level(P=0.0063), and types of health insurance(p=0.0023). The diseases most common among patients with non-complex chronic diseases were: low back pain, arthritis, gastrointestinal disorder, frozen shoulder, side effects from motor accidents, high blood pressure, fracture, stroke, diabetes, cancer, atopic dermatitis, and asthma. The diseases most common among patients with non-complex chronic diseases were: arthritis+low back pain, low back pain+gastrointestinal disorder, low back pain+side effects from motor accidents, low back pain+frozen shoulder, arthritis+gastrointestinal disease, gastrointestinal disease+frozen shoulder, arthritis+low back pain+gastrointestinal disease, high blood pressure+arthritis, arthritis+low back pain+frozen shoulder, arthritis+fracture, and arthritis+side effects from motor acciden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usage of medical clinics by: frequently used clinic (p<0.0001), number of treatment (p<0.0001), the cost of outpatient treatment (p=0.0073), the satisfaction rate (p=0.0171), whether the clinic is the preferred clinic (p=0.0040). In model 1, men than women, people who had local benefits instead of type 1 medical aid, and patients with complex chronic diseases were more likely to use Korean medical clinics. In model 2, men than women, people who had local benefits than people with types 1 and 2 medical aids, people who went to pharmacies and Korean medicine pharmacies than people who went to hospitals, people who went to get treatment 1-10 times than people who visited 11-20 times and more than 41 times, and people who spent less than ten thousand Korean won than people who spent 1 to 2 million Korean won, and people without complex chronic diseases were more likely to use Korean medical treatment. Conclusion : There were differences i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usage of medical clinics between patients with non-complex chronic diseases and patients with complex chronic diseases. Among patients with complex chronic diseases, women, patients with types 1 and 2 medical aid, patients who used Korean medical clinics, patients who were treated 11-20 times and more than 41 times, and patients who spent 1 million to 2 million Korean won on outpatient treatment used less treatment than patients with non-complex chronic diseases. However, patients with complex chronic diseases used pharmacies and Korean medicine pharmacies more.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에 나타난 '가족'에 관한 연구 - 2007 개정 교육과정의 '변화하는 가족' 단원을 중심으로 - (A Study of 'Families' as presented during the Technology-Home Economics Subject in Middle School: Focusing on the 'The Changing Family' of the 2007 Revised Curriculum)

  • 전미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9-49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기술 가정교과에 나타난 가족의 양상을 살펴보는 것이다. 기술 가정 교과의 목표 중 하나는 가족 대한 이해에 있기 때문에, 기술 가정 교과서에서 가족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가를 분석하는 것은 우리 사회의 가족에 대한 이해을 파악할 수 있는 지표임과 동시에 향후 가족에 대한 바람직한 기술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일이다. 이를 위해 2007 개정 기술 가정 교육과정 해설서와 11권의 기술 가정 교과서 중 8학년 '변화하는 가족' 단원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07 개정 교육과정은 이전 교육과정에 비해 '가족' 단원의 비중이 커졌다. 또 청소년의 가족생활 능력의 함양을 위해 오늘날의 가족변화에 대한 이해와 수용을 강조하였다. 둘째, 11종 가정교과서에서 가족은 가족의 의미, 특성, 형태, 기능, 역할, 가치관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전개 양상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셋째, 기술 가정교과서에서 가족은 '사회의 기본집단', '혈연, 결혼, 입양으로 이루어진 집단', '애정 집단', '동거 집단' 등으로 규정했다. 동시에 가족을 지나치게 낭만적으로 묘사하는 경우도 많았다. 가족에 대한 이러한 기술은 청소년의 개별적 가족 경험을 수용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넷째, 가족 형태에 대한 설명은 교과서 간 일치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또 모든 교과서에서 가족 형태의 다양성을 강조하였으나 핵가족 이외의 가족이 갖는 구조적 특성과 문제점을 중심으로 전개되어, 가족 형태와 가족생활의 다양화를 이해하는 데 부족하였고 오히려 고정관념을 강조하는 효과를 낳았다. 다섯째, 가족의 기능에 대한 설명은 교과서간 대동소이 했으며 건강한 가족생활을 이루기 위해 세대간 협력과 양성평등한 가치관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또 기술 가정 교과가 가족생활의 성공을 위한 가족원의 능력의 함양에 목적을 두고 있기 때문에, 가족에 대한 설명은 개별 가족의 역동이나 특징을 무시한 계몽적 선언과 같은 방식이 아니라 청소년이 자신의 가족 현상을 주체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실천적 문제 중심의 방식으로 전개되어야 한다.

  • PDF

가족주의 관점에서 본 KBS<이웃집 찰스>의 이주민 가족 재현 연구 - 이주 남성 가족을 중심으로 (Representation of Migrant Families in TV Reality Shows from a Familialism Viewpoint - Focusing on Male Participants in KBS )

  • 박미경;이헌율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12-24
    • /
    • 2017
  • 본 연구는 이주민의 미디어 재현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KBS <이웃집 찰스>에 나타난 새로운 이주민의 재현을 내용분석하였다. <이웃집 찰스>는 지상파 프라임타임 시간대에 편성되어, 안정된 시청률을 보이면서 방송되고 있다. 기존 이주민 프로그램과 비교, <이웃집 찰스>가 재현에서 보이는 차이점은 크게 인구사회학적으로 다양한 속성의 이주민 출연과 결혼이주남성의 주인공 등장을 들 수가 있다. 차이의 원인을 보면, 최근 이주의 형태가 동남아 결혼여성과 노동자 중심에서 지역적으로 서구 사회를 포함하고 결혼남성이 증가하는 형태로 다양화하고 있다. 이런 변화가 미디어 재현을 부분적으로 견인하고 있다고 본 연구는 발견하였다. <이웃집 찰스>에서 이주민 재현 대상자는 다양해졌지만, 이주민을 한국 전통 문화에 통합되어야 하는 대상으로 간주했던 민족주의적인 특징도 잔존했다. 이주민의 활동을 공적 영역으로 확장시키고, 사회적 차이와 편견에 대한 의견 개진, 한국 전통문화에 대한 비판 등은 이주민의 재현을 긍정적으로 확장시킨다. 동시에, 젠더적인 관점에서 보면, 이주민 가족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형태의 문제들이 재현되었지만, 전통적인 가족주의 담론이 문제 해결 수단으로 제시되었다. 정리하면, 본 연구는 이주민과 관련한 사회적 변화와 함께 나타나는 이주민 재현 변화를 분석, 기존 이주민 연구를 보강하고자 한다.

싱글족을 위한 다기능 가구 디자인 컨셉연구 (A Study on the Multi-function Furniture Design Concept for the 'Singles')

  • 오시림;이보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103-112
    • /
    • 2014
  • 전통사회로부터의 발전 및 변화에 따라 사람들의 사고방식과 생활습관도 변하고 있다. 현대 사회에서는 전통적인 가치관의 탈피와 결혼관 등의 변화로 인해 싱글족이 점차 늘어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싱글족의 행동방식, 생활환경, 소비습관 역시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싱글족의 출현으로 전통 가구 역시 이미 이들의 수요를 만족할 수 없게 되었고, 때문에 싱글족의 특성에 맞춘 가구 디자인을 개발해야 한다. 본 연구는 싱글족의 발생배경 및 소비심리에 대한 연구를 통해, 싱글족의 소비와 기호의 특성을 분석했으며, 가구수요를 조사해 싱글족의 거주형태, 가구종류 및 특징에 대해 정리하고 있다. 또한 SWOT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싱글족 가구의 장단점에 관하여 한층 더 체계적인 연구를 진행했다. 더불어 싱글족의 가구 수요, 거주형태 및 싱글족 가구의 장단점에 대한 분석을 종합하여 싱글족을 위한 멀티형 가구 디자인이라는 개념을 내놓았으며, 이를 기초하여 싱글족의 특징 및 수요를 만족할 수 있는 가구 디자인으로 싱글족의 가구수요를 만족시키기 위해 본 연구를 진행했다. 마지막으로 멀티형 디자인 및 접이식 기능은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켰으며, 새로운 제품 디자인 개발방법을 제시한 점에서 새로운 의미를 가진다.

서구의 '케어와 이민의 결합' 연구와 한국 사례의 기여 가능성 탐색 ('Care-migration Iintersection' Research in the West and the Potential Contributions of the Korean Case)

  • 김규찬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9권1호
    • /
    • pp.103-123
    • /
    • 2017
  • 본 연구는 케어와 이민의 관련성에 관해 서구에서 이루어진 기존 연구들을 검토하고, 한국의 경험이 이러한 연구 성과들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을지 탐색하려는 연구이다. 이 논문은 케어, 이민 그리고 그 둘의 결합, 이렇게 세 영역의 선행연구들을 검토했다. 케어는 다면적 개념이며 따라서 다양한 접근방법이 가능하다. 특히 케어를 사회적 재생산 노동으로 정의할 때, 케어는 개인과 가족 차원을 넘어 복지국가의 다양성과 진화의 경로를 분석하는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세계화와 국제이민의 맥락에서 케어 개념은 복지국가와 사회정책 연구에 있어 방법론적 국가주의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다. 그간 축적된 증거들은 계급, 젠더 그리고 인종 등과 같은 사회적 실체들의 관계에 대해 초국가적 관점을 적용함으로써만 케어의 사회적 분배 역학을 제대로 파악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케어와 이민의 관계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은 유럽 복지국가들에서 케어의 이민자화 경향의 광범위한 수렴을 발견했지만, 케어와 이민이 결합하는 구체적 방식은 제도적, 역사적 맥락을 반영하여 다양화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케어-이민 결합 연구가 널리 알려진 복지국가(레짐)들의 사례들을 넘어서야 할 필요성이 바로 여기에 있다. 한국의 사례는 새로운 복지국가레짐 유형(소위 생산적/발전주의 복지국가)과 이민레짐 유형(동포이민과 결혼이민)을 기존의 케어-이민의 결합 연구에 포함시킴으로써, 이 연구의 지리적, 이론적 적용범위를 확대하는 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만성관절염 환자의 동통, 불편감, 우울과 대응양상의 관계 (A Study on Pain, Discomfort, Depression and Coping Patterns in Chronic Arthritis Patients)

  • 문미숙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71-87
    • /
    • 199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pain, discomfort, depression and coping patterns and the relations between these in chronic arthritis patients. The sampling method was a purposive sampling technique. 1) Who have been diagnosed as having chronic arthritis and. 2) Who were at the out patients clinic of rheumatoid arthritis departments of one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between september, 11, 1993 to september, 18, 1993.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Graphic Rating Scales of pain, discomfort level of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developed by Lee, Eun Ok and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The research used to measure coping patterns was a tool developed by the present study researcher. Analysis of data was done frequency,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OVA, regression and ANCOVA. The results were summerlized as follows ; 1. Female exceed male patients in number and onset of joint pain were more prevalent in the age groups of the 40s and the 50s. The average duration of suffering from the pain were seven years six mounths. 2. The mean pain score : The mean sensory score was 119mm and the affective score was 109mm. 3. The discomfort level of ADL, the mean score was 2.95 out of a possible score of 5.0 and depression syndrome subjects were 62.2%. 4. The coping responses for each pattern were as follows : 1) "Active coping" mean score was 2.28. 2) "Wishful coping" mean score was 2.89. 3) "Receptive coping" mean score was 3.31. 4) "Negative coping" mean score was 1.82. 5.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age, religion, marriage status and the coping patterns of patients. 1) In the coping pattern of "receptive coping", the score of the age groups of the 50s were higher than that of 20s, and in the coping pattern of "negative coping", the score of the age groups of the 20s were higher than other age groups. 2) In the coping pattern of "wishful coping", the score of the christian were higher than other religion groups. 3) In the coping pattern of "negative coping", the score of the marrieds were lower than other groups. 6. Patients who scored low on factor 2, wishful coping, were much more likely to report having pain sensory than patioets scoring high on this factor. 7. Patients who scored high on factor 4, negative coping, were significantly more likely to report having pain sensory than patients scoring high on this factor. Consider overall, chronic arthritis patients report using a wide varity of strategies, certain strategies such as receptive, wishful and active coping are used frequently, whereas other strategies such as negative coping are rarely used. One of the most important finding of present study is that the reported use of coping strategies is related to adjustment to a chronic pain problem.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negative coping is related to poor emotional adjustment as assessed by depression, but not pain ratings. Considered overall, this pattern of findings suggests that counseling patients to decreased their use of negative coping may be useful. The present study has a number of limitations. First, the sample is restricted to chronic arthritis patients. Weather chronic pain patients suffering from other types of pain syndromes use similar coping strategies needs to be determined in subsequent research. Second, the tool of coping pattern must be studied further to obtain reliability.

  • PDF

아내폭력의 실태와 관련변인들 - 충남 서산 지역의 사례를 중심으로 - (The Current State of Wife Abuse and Related Variables in Seosan City, Chungnam Province)

  • 이종원;옥선화;남영주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3권8호
    • /
    • pp.141-159
    • /
    • 2005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of wife abuse in Seosan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wife abuse and the related variables. A total of 132 couples took part in this study. All couples live in Seosan city, range in age from their 20s to 50s and each couple has at least one child. Stratification sampling method was used to select the couples. They were asked to complete self-report questionnaires. Subjects completed a Korean version of the self- esteem scale, marital conflict scale, communication style scale, family history of violence scale, alcohol dringking, and wife abuse scale. In order to examine the current state of wife abuse, such as, frequency, mean, standard deviation and paired t-test, t-test were calculated and analyzed. Next, to identify differences in wife abuse between the upper group and the lower group, t-test was peformed. Finally, to investigate the relative influences of independent variables upon wife-abu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formed. All these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SPSS 10.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terms of the current state of wife abuse, there are three main observations. First, $23\%$ of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had beat their spouse or been beaten by their spouse before and after their marriage. Second, compared with physical violence($2{\~}16\%$), other types of violence such as verbal($7{\~}4\%$), emotional($41{\~}64\%$), economical($3{\~}29\%$) and sexual violence($4{\~}38\%$) were reported to occur more often in these relationships. Third, following the abuse most wives tend to tolerate the situation instead of taking an active action like reporting the abuse to police. 2) As for the husbands, subjects that drank a high level of alcohol, blaming and super-reasonable communication style, and family history of violence reported more frequent cases of wife abuse. As for the wives, subjects with high levels of self-esteem, irrelevant communication style, marital conflict, and family history of violence reported having more cases of that abuse. 3) In the case of husbands, alcohol, communication style and family history of violence explained $40\%$ of wife abuse. In the case of wives, marital conflict and family history of violence explained $77\%$ of their experiences with abuse. This study makes the contribution to aims to develop education programs and family therapy relevant to prevent wife abuse and to reconsider the existing laws governing domestic violence in Korea.

여성 화자의 시집살이담에 나타난 관계와 고난의 양상 (A Study on the Aspects of the Relationships and Hardships on a 'Sijipsali' Narratives in Korean Women's Married Life)

  • 김경섭;김정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2호
    • /
    • pp.409-417
    • /
    • 2020
  • 자신의 삶을 훌륭하게 구연하는 구술연행은 그것만으로도 하나의 훌륭한 언어예술이다. 시집살이담은 여성 생애담 중 결혼을 매개로 가족관계나 사회·문화적 문제로부터 벌어지는 일련의 일들을 구술한 서사체이다. 그러므로 시집살이담은 여성 생애담의 하위 장르이다. 시집살이담은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살필 수 있다. 첫째는 며느리와 가족 구성원 사이의 관계로부터 비롯되는 '가족관계 층위'이다. 여기서 가장 일반적인 것은 물론 시어머니 시집살이이며, 그 밖에 시아버지 시집살이, 남편 시집살이, 자식 시집살이를 들 수 있다. 둘째는 인간관계에서 비롯된 것이 아닌 며느리로서 갈등을 겪게 되는 제반 사항들에 관련된 이야기들로 '사회·문화 층위'이다. 가장 일반적인 것은 가난과 역사적 사건에서 비롯된 시집살이이며, 며느리의 가문이나 용모, 태도 등 때문에 심한 시집살이를 한 경우도 있다. 실제의 시집살이는 이 두 가지 양상이 뚜렷하게 구별되기보다는 서로 혼합되어 나타난다. 가족관계에서 비롯된 시집살이는 항상 가난이나 사건과 관련될 수 있으며, 반대로 가난이나 사건은 가족관계로 확대되어 여성들을 괴롭혔던 것이다. 본 연구는 다양한 시집살이담에 나타난 관계와 고난의 양상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