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rketing

검색결과 10,074건 처리시간 0.043초

The Effects of Purchase Intention of Oriental Medicine Cosmetics on Selection and Brand Asset Attributes

  • Bae, Jeong-Tae;Kim, Bo-Young;Oh, Sung-Ho
    • 유통과학연구
    • /
    • 제17권1호
    • /
    • pp.73-87
    • /
    • 2019
  • Purpose -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that the selection of oriental medicine cosmetics and brand asset attributes have on consumers' economic, emotional and social values in order to shed light on the forms and characteristics of consumption within the globally developing oriental medicine cosmetics market, and in the end positively verify how such perceived values affect purchase intention. In addition, it proposes research outcomes by comparing the differences between national and cultural consumer purchase behavior based on the comparisons of consumer groups in South Korea and China, the major markets for oriental medicine cosmetic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Based on advanced research a total of 9 hypotheses were designed and questionnaires consisting of 16 questions to identify six major variables were conducted. Research was carried out centered on Seoul, South Korea, and its surrounding metropolitan area as well as Beijing and Shanghai, China, and a total of 577 sets of significant data were collected. A comparison analysis was then conducted on the data from 285 Koreans and 292 Chinese. A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were also carried out based on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suggest results. Results - Research results show brand value assets had a more crucial impact on consumers' perceived value than consumer selection of oriental medicine cosmetics, while emotional value had a bigger effect on purchase intension than social or economic values. For Chinese consumers in particular, social, economic and emotional values affected purchase intention, while emotional value was the most crucial factor for Korean consumers. Conclusions - With oriental medicine cosmetics, brand characteristics and images that helped express emotional desire proved to be more effective in marketing than the performance aspect of cosmetics, including their functions and ingredients. In the end, products that highlight individual desire and emotion should be introduced instead of those that emphasize price, functions and social characteristics in order to expand the global market of oriental medicine cosmetics.

브랜드경험과 긍정적 감정이 소비자-브랜드관계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폰 브랜드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Brand Experience and Positive Emotion on Consumer-brand Relationship -Focusing on smartphone brand)

  • 류주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0호
    • /
    • pp.495-503
    • /
    • 2015
  • 본 연구는 소비자가 실제 제품이나 브랜드 사용 이외에 광고나 판매촉진 등 기업의 마케팅활동에 의해서도 브랜드를 경험할 수 있고 이러한 경험을 통하여 자아인식과 소비자-브랜드관계가 향상될 수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총 248명을 대상으로 갤럭시S 스마트폰 브랜드에 대한 조작물로 브랜드를 경험하게 한 결과 브랜드경험 이후 긍정적 감정과 자아인식이 향상되었고, 긍정적 감정 또한 자아인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실제 브랜드를 이용하여 브랜드경험이 자아인식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또한 브랜드경험과 이를 통한 자아인식의 향상은 소비자-브랜드관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게 되며 궁극적으로 만족도, 추천의도 및 재구매 의도 등을 포함하는 브랜드 애호도까지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강력하고 매력적인 브랜드를 경험하는 것은 소비자에게 긍정적 감정의 형성이라는 혜택을 줄 수 있으며, 기업차원에는 소비자-브랜드관계를 통하여 구매의도 및 추가지불의도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관계를 밝혀낸 점이 주목할 만하다.

하둡 상에서 ARIA 알고리즘을 이용한 HDFS 데이터 암호화 기법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HDFS Data Encryption Scheme Using ARIA Algorithms on Hadoop)

  • 송영호;신영성;장재우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5권2호
    • /
    • pp.33-40
    • /
    • 2016
  • 최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발전으로 빅데이터가 출현하였고, 이를 분석하기 위한 분산 병렬 플랫폼으로 하둡이 개발되었다. 하둡을 사용하는 기업은 개인적인 정보가 포함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마케팅 등에 활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하둡에 저장된 센서티브(sensitive) 데이터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데이터 암호화 연구가 수행되었다. 하지만 기존 데이터 암호화에 대한 연구는 국외 표준인 AES 암호화 알고리즘만을 지원하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한편 정부에서는 데이터 암호화 알고리즘으로 ARIA 알고리즘을 국내 표준으로 지정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하둡 상에서 ARIA 알고리즘을 이용한 HDFS 데이터 암호화 기법을 제안하였다. 첫째, 제안하는 암호화 기법은 하둡의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ARIA 암호화 및 복호화를 수행하는 HDFS 블록 분할 컴포넌트를 제공한다. 둘째, 제안하는 암호화 기법은 데이터의 마지막 블록이 128비트 단위의 데이터가 아닐 경우, 더미(dummy) 데이터를 추가하여 암호화 및 복호화를 수행하는 가변길이 데이터 처리 컴포넌트를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성능 평가를 통해, 제안하는 ARIA 기반 암호화 기법이 텍스트 문자열 처리 응용 및 과학 데이터 분석 응용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였다.

고객의 이탈 가능성과 LTV를 이용한 고객등급화 모형개발에 관한 연구 (A Model for Effective Customer Classification Using LTV and Churn Probability : Application of Holistic Profit Method)

  • 이훈영;양주환;류치훈
    • 지능정보연구
    • /
    • 제12권4호
    • /
    • pp.109-126
    • /
    • 2006
  • 성공적인 고객관계관리(CRM :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효과적인 고객 등급화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고객등급화는 고객별로 LTV를 산정한 다음 일정한 비율로 고객을 분류하여 등급을 정하는 방법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등급간의 이질성을 명확하게 반영하지 못하기 때문에 적지 않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Holistic Profit을 이용해서 고객을 등급화 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A 생명보험회사의 고객자료을 이용해서 이를 검증하였다. Holistic Profit은 신용대출 승인정책에서 승인임계점수(Cutoff Point) 책정에 활용되고 있는 방법들 중의 하나이다. 요약하면, 본 논문의 목적은 Holistic Profit을 활용하여 보다 효과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으로 고객 등급화 하는 방법의 개발과 검증에 있다. 본 논문에서 제시된 방법을 사용해서 고객을 등급화 함으로써 기업은 보다 효과적인 고객관계관리(CRM)와 마케팅 활동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고객관계관리의 시장 세분화를 위한 Self-Organizing Maps 재고찰 (Rethinking of Self-Organizing Maps for Market Segmentation in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 방정혜
    • 지능정보연구
    • /
    • 제13권4호
    • /
    • pp.17-34
    • /
    • 2007
  • 본 논문은 고객관계관리를 위한 시장 세분화를 하기 위해 자주 사용되는 SOM에 대하여 고찰한다. 일반적으로, SOM은 군집의 수를 미리 파악하기 위하여, 구체적인 군집 분석이 이루어지기 이전에 사용된다. 그러나 인터넷이 발달하고 수집 가능한 데이터의 종류와 양이 증가함에 따라 복합적인 분석이 필요하게 되었다. 또한, 그에 따라 한가지 주제만으로 군집을 파악하는 것보다는 여러 가지의 주제들을 대상으로 고객데이터의 군집을 파악해야 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게 된 것이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이렇게 한가지의 주제가 아닌 여러 가지의 주제로 군집분석을 할 경우 한번으로 이루어지는 SOM 어프로치가 과연 군집의 수를 파악할 수 있는지를 실험하였다. 이미 구조를 알고 있는 데이터를 생성하여 실험을 해본 결과, 전체 데이터를 대상으로 여러 주제를 한꺼번에 포함시킨 경우 (single SOM 방식) 에는 그 구조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였으며, 하나의 주제마다 각기 다른 SOM을 사용(multiple SOM 방식)한 결과, 미리 정해졌던 구조를 제대로 파악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 논문은 군집분석을 하게 될 경우, 좀더 조심스러운 접근법이 필요하며, 여러가지 주제를 포함하고 있는 데이타를 다룰 경우, SOM 분석 방법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PDF

멀티미디어 콘텐츠화면에서의 효과적인 PPL 배치 (Effective PPL Arrangements in the Screen of Multimedia Contents)

  • 이영재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875-881
    • /
    • 2007
  • 최근 멀티미디어 분야에서 새로운 수익모델로 주목받고 있는 PPL(Product Placement)을 활용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 화면의 주목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컴퓨터 화면을 9사분면으로 분할한 후 각각의 위치에 2D, 3D 숫자 정지 영상, 숫자 부분 동영상, 동영상 등을 배치하여 영상의 유형과 위치에 따라 사용자의 주목도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가에 관해 연구하였다. 분석 결과 2D 숫자 정지 영상과 동영상의 경우엔 5사분면에 높은 주목도를 나타냈으며, 3D 숫자 정지영상과 동영상의 경우 역시 일관성 있게 5사분면에 높은 주목도를 나타냈다. 특히 정지영상 내 동영상이 존재하는 부분 동영상의 경우엔 동영상이 존재하는 분면에 압도적인 주목도를 나타냈다. 이는 영상의 노출형태가 사용자의 주목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정지영상보다는 동영상 형태의 노출이 사용자의 주목효과(attention of effects)를 높일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화면에서의 PPL 제작 시 어떤 위치에 PPL을 배치해야 사용자의 주목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가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경남지역 국화농가의 소득률 분석 (An Analysis of Income Ratio of Chrysanthemum Farms in GyeongNam Province)

  • 김윤식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4권5호
    • /
    • pp.137-146
    • /
    • 2010
  • 경남지역은 우리나라 국화 재배의 중심지로 1960년대부터 국화 재배를 시작하여 전국에서 가장 먼저 국화 재배를 도입한 지역 가운데 하나이다. 과거 경남지역 국화농가의 소득률은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으나 최근에는 지속적으로 약화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경남지역 국화농가의 소득률을 분석하여 소득률이 저하되는 원인을 찾는 데 있다. 분석 결과, 조수입보다는 경영비 측면에서의 원인으로 소득률이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경영비 가운데에서도 특히 유가 변화에 영향을 받는 광열동력비의 변화에 따라 소득률이 큰 폭으로 변화하였다. 경남지역을 포함한 우리나라 국화농가의 경우, 유가(면세유 기준)가 리터당 700원 이상이 되면 소득률이 크게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접목선인장 수출 증대 방안 (Exporting Promotion Strategy of Grafted Cacti)

  • 송천영;안덕현;조창휘;정재운;남상용
    • 화훼연구
    • /
    • 제17권1호
    • /
    • pp.67-73
    • /
    • 2009
  • 본 연구는 최근 수출이 정체 상태에 빠져있는 접목선인장에 대하여 수출 증대를 위한 대책을 강구한 것이다. 첫째 수출용 접목선인장 생산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인건비를 절감하기 위하여 양액재배기술의 도입과 경영규모의 확대가 필요하다. 둘째, 외국 Buyer의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수요가 확인된 접목 게발선인장이나 대형 접목선인장 등과 같이 수출품목을 다양화하고 시장특성을 살린 적극적인 수출 촉진 대책이 필요하다. 셋째 완성형 접목선인장의 수출 촉진으로 부가가치를 증대하고 넷째, 수출용 접목선인장의 품종 및 재배기술의 개발과 이들 지적재산권의 보호 대책강화, 관세인하와 식물검역기간 단축 등의 국제적 교섭을 강화하여야 한다. 다섯째, 차별화된 브랜드와 새로운 마케팅 방법의 도입이 필요하다.

국유림 복합경영사업에 대한 중요도·만족도 분석 (A Study on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for National Forest Complex Management)

  • 정병헌;김재성;김현근;김의경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5권6호
    • /
    • pp.33-40
    • /
    • 2011
  • 본 연구는 산림복합경영사업의 관리와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찾기 위하여 참여 작목반원들의 의식조사, 산림복합경영사업 관리 등에 대하여 중요도 만족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국유림에서 추진중인 산림복합경영사업에 대한 작목반원의 만족도는 매우 높게 나타났다. 또한, 총 15개의 항목중에서 중요도 만족도 분석을 통해 산림복합경영사업에서 집중적 관리전략이 필요한 분야로 전자상거래 및 직거래 활성화, 생산 및 판매 유통정보 2개 항목이 도출되었다. 그리고 현 상태의 지속적 유지가 필요한 분야는 6개 항목, 낮은 우선순위를 가지는 분야는 3개 항목, 과잉노력을 지양해 할 분야는 4개 항목으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산림복합경영사업의 추진방향 설정 및 제도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양잠산물 생산·판매 구조와 산업분야별 개선과제 (The Status of the Sericulture Industry and the Development Strategy)

  • 김경필;권태진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5권2호
    • /
    • pp.135-145
    • /
    • 2011
  • 최근 국내 양잠산업은 의류중심의 전통적인 양잠산업에서 기능성 양잠산업으로 변화를 꾀하고 있다. 이런 여건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2009년에 "기능성 양잠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 시행되어 기능성 양잠산업 종합계획 수립 근거가 마련되었다. 기능성 양잠산업 발전을 위한 종합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현재 양잠산업의 실태와 문제점 파악이 선결되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양잠산물의 생산 판매구조와 산업 분야별 애로요인 및 개선사항에 제시하는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 내용은 양잠산물 단위당 생산액, 생산 및 소비형태, 가공업체의 원료구매 및 제품 판매구조, 양잠산물 유형별 부가가치 발생 크기, 분야별 애로요인 및 개선사항으로 구성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