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rket revitalization policy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29초

김정은 체제에서의 북한 의생활 변화 연구 (A Study on the Change of Clothing Culture of North Korea under the Regime of Jong Un Kim)

  • 최현숙
    • 복식
    • /
    • 제66권6호
    • /
    • pp.122-134
    • /
    • 2016
  • With the advent of the new political regime of Jong Un Kim, North Korea is undergoing many changes, with its main motivation being economic growth.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hanges in clothing in North Korea under the new political climate. The research conducted a review on literature and empirical study. For literature review, books and papers from studies related to North Korea have been reviewed. For the empirical part, interviews with diverse class of North Korean refugees including Hanawon, videos on TV, 1,100 pictures and related articles from newspapers and Internet have been collected. Through this analysis, the study found that subtle changes in North Korean fashion started prior to the Jong Un Kim's regime, but has become full-blown since Kim's assumption of power. This proves that the country is not yet independent from its political situ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ppearance of Ri Sol-ju has liberalized the fashion concept of North Korean women, and the popularity of her trademark style has actually contributed to a more amicable image for Kim. Second, the "Hallyu" style has spread to North Korea through various channels, and has started new trends. Third, the diversification of fashion styles has been greatly accel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expansion of market, resulting from the economic revitalization policy. Last of all, Jong Un Kim's direct orders concerning fashion have resulted in some significant changes. The sophisticated uniforms of flight attendants and the development of luxury cosmetics being prime examples. As studies on this subject are extremely rare,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to identify the changes on the clothing culture under Jong Un Kim's regime, and to present an expanded view, as the two countries work towards an united Korea.

사회적 환경 변화에 따른 복지기관의 정책적 대응 고찰 (Research Policy Countermeasures of Welfare Agency While the Social Environmental Changes)

  • 김영춘;정민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251-261
    • /
    • 2010
  • 본 연구는 급변하는 사회적 환경 속에서 지역사회 주민들의 종합적인 복지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설립운영되고 있는 지역사회복지관의 정체성 확립과 활성화를 위한 대응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사회복지 환경의 변화를 크게 제도적 측면과 실천적 측면으로 구분하여 지역사회복지관의 대응방안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지역사회복지의 핵심기관으로서 지역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서비스 제공과 더불어 체계적인 관리를 위한 사례관리기관으로서 역할과 지역주민의 조직화를 통한 지역사회 문제의 공동대처를 위한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역할이 요구된다. 또한 대상별 다양화되고 있는 단종복지 기관의 출현과 유관기관의 설립으로 과거의 종합적 복지서비스 제공에서 다양한 기관과의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이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시장화, 민영화로 이루어진 최근의 사회복지 환경변화에 따른 단순한 서비스 제공기관이 아닌 타기관과의 경쟁적 관계에서 생존할 수 있는 기관의 정책적 대응 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내생적 농촌지역발전 수단으로서의 적정기술 적용 가능성 탐색 - 전남 영광군을 사례로 - (Exploring the Applicability of the Appropriate Technology as a Means Endogenous Development of Rural Areas - Focused on Yeonggwang-gun in Jeollanam-do -)

  • 고경호;안병일
    • 농촌계획
    • /
    • 제25권3호
    • /
    • pp.45-57
    • /
    • 2019
  •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olicy directions to apply and activate the appropriate technology in rural area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ndogenous and sustainable regional development theories. To this end, according to the analysis framework based on ideas, values, and strategies that are common to both endogenous regional development strategic theories and sustainable regional development theories, in this paper, various surveys and reviews were conducted on the study area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localization of the appropriate technology. The policy implications derived from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ural areas have high potential and scalability to apply and activate the appropriate technology, particularly in the field of renewable energy, due to their nature based on local resources. Second, for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appropriate technology, first of all, together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role of public sector, it is necessary to plan the projects based on the cooperation network of the relevant innovation entities within and outside the regions and to build the implementation systems. Third, the training system for high skilled manpower and indigenous entrepreneurs should be stably built in order to create independent conditions, which are key elements for growth of the appropriate technology. Fourth, there is a need to find the market and establish policies that can solve the typical economic problems of rural areas such as aging population, depopulation and decline in youth, economic unrest. Fifth, in order for the appropriate technology to contribute to socio-economic innovations and the revitalization of the virtuous circle economy in the region, technical items and various business items suitable for the industrial infrastructures and autonomous conditions of rural areas are essential.

해외사례 조사를 통한 국내 ESCO 산업 활성화 방안 (Designing the Promotion Policy of Korea ESCO Industry through the Examination of Foreign Country Exercises)

  • 민은주;김명록;남기태;강민구;김수덕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26권1호
    • /
    • pp.103-121
    • /
    • 2017
  • 국내 ESCO 사업은 에너지효율향상 제도 중에 하나로 1992년도에 도입되어 시행되고 있다. 현재 스마트그리드, 신재생에너지 등의 에너지시장 여건의 변화와 수요반응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이에 사업 모델의 다양화 요구됨에 따라 해외 사례를 통한 국내 활용방안을 검토하였다. ESCO 산업이 활성화되었다는 유럽이나 미국에서의 사업영역은 에너지 공급 설비 및 공급 서비스부터 최종 사용자까지를 포함한 전 영역의 에너지 설비의 효율 개선 조치를 포함한다. 이런 ESCO 해외비즈니스 모델은 다양한 유형으로 구분이 가능함을 알 수 있으며, 그 유형을 프로젝트 수행방식, 공급자 수요관리, 파이낸싱의 방법, 기후변화 및 배출권 등, 신재생에너지, 에너지투자, IT연계관련, 신 ESCO사업, 기타의 기준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각각의 비즈니스 사례 적용방안으로 국내에서도 IEC (Integrated Energy Contracting) 계약방식을 활용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에너지절약이라는 목표달성을 위해 개별사업유형의 나열함으로써 이를 허용하는 형태는 오히려 관련 시장 활성화를 가로막는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바, 현행 에너지이용합리화사업을 위한 자금지원지침을 개정방안으로 투자사업 및 설치사업 모두를 포함하는 다양한 에너지절약사업을 대상사업으로 추가하되, 네거티브시스템(Negative system)의 도입을 제안한다.

일본의 문화경제전략과 미술품 유동성 활성화에 관한 연구 - 문화청의 선진미술관 정책 추진을 중심으로 - (Research on the revitalization of Japanese artworks: Focus on Japan Advanced Art Museum Policy)

  • 추민희
    • 예술경영연구
    • /
    • 제51호
    • /
    • pp.135-166
    • /
    • 2019
  • 최근 일본 문화청은 미술관의 지속 가능성과 경제성 강화를 통한 산업증진 등을 위하여 리딩 뮤지엄(선진미술관)으로 대표되는 예술시장 활성화 방안을 발표하였다. 인구감소 시대로 진입함에 따라 인구절벽과 지역사회 공동화 등은 큰 사회적 문제이다. 문화의 향유자와 창조자 모두 급감하여 문화 기반 자체가 붕괴할 위험이 있고, 이러한 상황에서 문화 분야의 지원 예산이 현안에 밀려 우선순위가 낮아지면 현재의 문화 지원의 수준도 유지하기 어려울 것이다. 또한 일본 국민의 자산 수준이 국제적으로 보아도 높은 수준임에도 불구하고 일본의 미술산업 시장은 미국, 중국 등에 비하여 매우 낮은 수준이다. 일본 정부는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방안으로 미술품의 유동성을 높여 미술산업 시장을 활성화하겠다는 것이다. 문화청은 일본 내 미술관의 일부를 미술 시장 활성화를 위한 선진미술관으로 지정하여 예산 지원과 학예사 인력을 증원과 체질을 강화한 후 소장 미술품 등의 가치를 평가하여 수장품의 보존 여부를 판단 후 투자유치를 위하여 소장품을 시장에 매각하겠다는 전략이다. 이러한 정책 발표와 함께 일본의 문화계와 비평계가 찬반으로 나뉘어 큰 갈등에 휩싸였고 반대 여론이 높아져 현재 정책 추진이 잠정 유보된 상황이다. 반대 이유로는 보존과 전승이라는 박물관의 고유 목적에 부합하지 않고 상업주의가 예술계를 망칠 수 있다는 것이고 찬성 이유는 일본의 예술사회는 미술관과 박물관 이외에도 비영리단체, 예술제의 운영조직, 지원인력, 자원봉사자 등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보조금 편향성이 높다 보니 실질 인건비도 지급하지 못하여 사실상 방치상태라는 것이다. 또한, 사회 변화에 따라 보조금 의존도를 줄여야 예술사회 자체가 살아남을 수 있다는 경각심도 나타나고 있다. 일본과 상황이 크게 다르지 않다 보니 우리나라 역시 미술품 유동성 활성화를 위한 미술품 감정·평가기능 수행하는 국립미술은행의 신설이나 미술품 담보대출, 미술품 신탁 등이 활발히 논의되고 있다.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인구절벽이 현실로 다가오는 상황에서 보조금만으로 현실적 문제를 타개하기 어려우므로 우리 역시 문화에 대한 투자를 확충시켜 문화와 경제가 일원적·연쇄적으로 운용될 수 있게 하는 방안을 찾아야 할 것이다.

내륙 거점 물류단지 기능중첩 및 연계체계 불합리성에 관한 연구: 영남권 복합물류 터미널을 사례로 (A Study on the Function Overlap and Irrational Hierarchy System of Logistics Complexes of Inland Base: Focusing on the Case of the Integrated Freight Terminal in the Yeongnam Area)

  • 정진욱;박운호;조창현;박동주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04-317
    • /
    • 2016
  • 교통, 정보통신 등 기술의 발전은 물자의 흐름을 가속시켜왔으며, 지역적 범위의 물류가 국가적 범위의 물류로 확장됨에 따라 국가 물류정책에 대한 중요성은 증가하고 있다. 국내 물류시장의 급격한 성장으로 인한 물류시설의 공급부족, 물류시설의 비효율적 운영, 유통구조의 복잡성과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거점물류시설을 건설하여 효율화를 도모하였으나 저조한 운영실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거점물류시설에 대하여 활성화 방안에 관해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사설 물류업체와의 기능중첩에 초점을 맞춘 원인분석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영남내륙화물기지의 기능상실에 따른 인근 물류시설과의 기능중첩과 연계체계의 불합리성에 대하여 분석 하였다. 국내 화물수송의 대부분인 육로운송에서 기능 중첩에 따른 거점물류단지 미 이용에 대한 원인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국가단위 물류 인프라 정책의 측면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스마트 모바일 환경에서 고객관계관리 구축을 위한 감리 모형 (An Audit Model for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in Smart Mobile Environments)

  • 정웅;김동수;이혜경;김희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5호
    • /
    • pp.187-199
    • /
    • 2013
  •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모바일 환경으로의 변화는 모바일 시대라는 전환기를 가져왔다. 스마트 모바일 오피스는 바로 이러한 스마트폰이라는 새로운 모바일 환경과 소셜 미디어가 결합된 형태이다. 스마트폰을 이용한 모바일오피스 환경 구축은 스마트폰 시장의 활성화를 가져왔으며, 고객관리를 위한 CRM구축은 새로운 요구사항으로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현행 정보시스템 감리 기준만으로는 스마트 모바일 오피스 환경에서의 CRM 구축을 위한 감리에 적용하기에는 점검분야나 점검항목이 부족한 현실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모바일 오피스 환경에서의 CRM 시스템 구축을 감리를 위한 모델을 제안하였다. CRM 구축에서 감리 영역 및 점검 항목들을 제안하였으며, 도출된 감리영역, 점검항목이 스마트 모바일 오피스 환경에서의 CRM 구축 감리의 목적에 부합되는지를 설문조사를 통하여 제안한 모델의 적합성을 검증하였으며, 검증결과 보통이상 만족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적합하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국내 클라우드 정책의 성과 분석을 통한 수요자 관점의 산업 활성화 연구 (A Study on the Industrial Revitalization through the Performance Analysis of the Korean Government's Cloud Policy in Service Consumer's Perspective)

  • 조문증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159-167
    • /
    • 2020
  • 정부는 2009년부터 다양한 클라우드 활성화 정책을 추진하였고, 2015년에는 세계적으로 처음 클라우드 발전법을 제정하여 클라우드 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 제도, 지원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로 클라우드 산업 규모가 비약적으로 성장하였고, 기업의 수, 인력규모도 늘어났다. 본 논문에서는 2016년부터 2019년까지 수행된 산업 실태 조사와 설문 조사를 바탕으로 클라우드 서비스의 수요자인 기업들의 클라우드 도입 상황, 활용 분야, 기대효과와 저해 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클라우드 수요자인 기업 관점에서 클라우드 활성화의 장애 요인인 보안에 대한 우려, 비용 절감에 대한 불확실성, 역량 부족을 도출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기업들의 전략, 인식 전환, 기업 체계 개선방안을 제안한다.

Netflix와 Youtube 플랫폼 내의 영화 자막오역 분석을 통한 영상번역 실태와 개선점: 한국어 번역본을 중심으로. (The actual condition and improvement of audiovisual translation through analysis of subtitle in Netflix and YouTube: focusing on Korean translation.)

  • 오경한;노영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3호
    • /
    • pp.25-35
    • /
    • 2021
  • 인터넷과 연결 가능한 기기만 있다면 어디서든 외국의 영상매체를 시청할 수 있게 되었다. Netflix와 Youtube는 대표적인 영상 플랫폼이고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기도 하다. 그러다보니 외국어를 알지 못하는 경우, 전적으로 자막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두 개의 인기 플랫폼에서 양질의 번역을 제공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두 곳에서 동시에 상영하고 있는 영화를 골라 한국어 번역본을 가지고 비교해보고 더 나은 방향과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좋은 번역이란 번역가가 시청자들이 집중을 할 수 있게 적절한 생략과 자세한 설명을 한정된 시간과 공간 안에 할 수 있어야 한다. 작업물을 심도 있게 연구하고 충분한 시간을 들여 작업에 임한다면 번역의 퀼리티는 확연히 올라갈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영상번역에 대한 가이드라인 없이 싼 단가에 최소한의 시간을 들여 제작한 영상물들의 오역을 통해 아직 과거에 머물고 있는 영상번역 시장 활성화에 기여하였다.

Revitalization of Urban Regeneration through the Happiness Housing Project as Public Housing Policy

  • Kim, Ok-Yeon;Lee, Jae-Pyeong
    • 토지주택연구
    • /
    • 제5권3호
    • /
    • pp.151-167
    • /
    • 2014
  • Urban space structure in South Korea when through drastic changes ever since public housing policies began their full-fledge implementation. That is, public housing policies represent the main cause for formation of the current urban space structure, as the public houses are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changes of demographic/social structure, considering changes of housing demand, in urban spaces demanded by the end users. After rapid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in the 1960's, each government in different periods have implemented housing supply policies through massive urban developments, to resolve the issue of housing shortage and residential instability. Phase 1 New Towns were developed in the 1980's resulting in suburbanization of the Seoul Area, followed by urban sprawl due to construction of small-size New Towns after deregulation in the 1990's, and construction of Phase 2 New Towns for resolution of housing shortage in the early 2000's and the resulting urban problems. In the mid-2000's, construction of Bogeumjari houses in GB areas led to insufficient housing supply in downtown areas, and the period after 2010 witnessed continuous deterioration of existing urban areas and acceleration of the rental housing crisis caused by rental housing shortage in downtown areas. Moreover, the residentially vulnerable classes consisting of young, 1~2-member households is expanding, with the real estate market in recess. Therefore, the government is trying to achieve urban regeneration through public housing policies so as to resolve the urban space problem and the housing problem at the same time, and the Happiness Housing Project has been implemented as a policy to achieve that goal. The Happiness Housing Project for young, residentially vulnerable classes in downtown areas, is going through diversification aimed at conjunction with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downtown areas, as exemplified by conversion of rental houses in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districts and redevelopment/reconstruction project districts into happiness housing, and supply of happiness housing in conjunction with small reorganization projects for deteriorated residential areas in such areas as those excluded from New Town designation. Continuous supply of Happiness Housing in conjunction with urban regeneration requires mixed-use residential development which includes convenience facilities and public facilities, along with improvement of rental conditions (rental period/rent) and diversification of project methods, considering that the project is implemented in downtown are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