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rket knowledge creation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26초

프롭테크 비즈니스의 가치창출 평가지표 개발 및 평가 프로세스 제언 (Evaluation Index and Process for Business Value Creation of Proptech)

  • 김재영;강연실;이성희
    • 지식경영연구
    • /
    • 제22권2호
    • /
    • pp.289-300
    • /
    • 2021
  • 부동산 시장에 정보기술이 적용된 프롭테크는 다양한 가치창출모델들을 제시하면서 부동산 거래혁신을 이끌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프롭테크에 기반한 비즈니스에서 창출 및 공유되고 있는 가치를 분류하여 이해하는 동시에, 개별 가치 영역 간의 상대적 중요도를 반영한 평가자료를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프롭테크의 가치창출 차원을 위계적으로 구성하였고, 다종 산업이 혼재되어 있는 프롭테크 산업의 하위 산업에 대한 상대적 가치창출 정도를 평가하였다. 제안된 지표 간의 상대적 중요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업계 및 학계 전문가를 대상으로 AHP 분석을 시행하였다. 1단계에서는 무형적 가치, 관계적 가치, 고도화 가치를 제시하였으며, 2단계의 분해과정을 거쳐 총 9개 평가지표들의 이원 비교를 통하여 지표 간 가중치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프롭테크 산업의 부문별 가치창출 정도를 평가해 봄으로써, 향후 한국 프롭테크 생태계 전반의 가치창출 역량 향상 및 발전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반도체 IP 산업에서 지식기반 기업의 기술혁신 전략에 대한 사례연구 (Knowledge-based company's technology innovation strategy and case analysis in semiconductor IP industry)

  • 김민식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500-532
    • /
    • 2012
  • 본 연구는 반도체 IP산업의 지식기반 기업에 있어 기술혁신전략에 대하여 분석한 것이다. 분석을 위한 이론적인 논의는 i)지식의 창조 보호 활용과 혁신에 관한 이론, ii)혁신으로부터 가치 창출에 대한 이론 iii)모듈화, 시장진입시기, 표준(지배적 디자인)의 등장 경쟁 등의 중심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이론적인 선행 연구를 통해 지식기반 기업의 기술혁신전략에 대한 탐색적인 연구가설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이러한 반도체 IP산업의 대표적인 지식기반 기업으로 ARM과 INTEL의 기술혁신 전략 사례 분석을 분석하여, 제시된 연구 가설들을 확인하였다. 첫째, 기술 주기에 있어 초기단계에 진입하는 지식기반기업은 i)상호보완적 자산(지식)에 대한 접근성이 낮아 수직 통합하는 기술 전략을 선택하며, ii)환경변화로 인한 산업의 가치사슬 분화에도 불구하고 수직결합적인 기술 전략을 주요한 방향으로 유지한다. 둘째, 기술 주기에 있어 후기단계에 진입하는 지식기반 기업은 i)상호보완적 지식자산에 대한 접근성이 높아져 계약거래를 통한 기술 혁신 전략을 선호하며, ii)보유한 지식자산에 있어 불연속적인 특징의 존재여부에 따라 기술 혁신 전략의 경로를 다르게 선택한다.

  • PDF

지식 경영 프로세스의 모형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Knowledge Management Process Models)

  • 장영택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9권1호
    • /
    • pp.157-188
    • /
    • 2000
  • Today a knowledge management systems (KMS) is an enabler for gaining competitive position in the market environments. However, it is just recognized as a conceptual management paradigm not as realistic management philosophy in an organization. A firm just accustomed to deal with tangible assets such as inventory and buildings based on the cumulated experiences. However, the firm often struggle with how to define and apply the knowledge management system into its real business activities such as business strategy and productivity. For example, one of textile company, E-land, in Korea found the way how the firm utilize intelligent assets of its employees to overcome the performance differences among the employees in an organization to increase their ability. Managers in an organization should fully understand and try to figure out the concept of knowledge management systems to implement KMS more efficiently and effectively. Even though lots of previous knowledge management literature proposed several unique knowledge management process models, they have their own terms, process sequences, or different approaches. There are three common knowledge management processes: knowledge creation, knowledge store and search, knowledge sharing process. In this study, a new KM process theoretical framework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es is developed. This study will guide to those who will adopt or implement of KMS in the organization in near future.

  • PDF

ASEAN 진출대상국의 IT 정책과 인프라 분석 (An Analysis on IT Policy and Infrastructure of ASEAN Countries)

  • 권오성
    • 정보학연구
    • /
    • 제6권4호
    • /
    • pp.135-146
    • /
    • 2003
  • 최근 다른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정보화에 뒤진 ASEAN 국가들은 통신시장 자유화를 추진하면서 국가정보화실현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역내의 IT협력을 위해 e-ASEAN계획을 추진하고, ASEAN+3 체제에서 IT협력을 도모하고 있다. 이런 상황은 우리나라가 IT강국으로서 ASEAN과의 IT협력을 강화하면서 전략적으로 ASEAN에 진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ASEAN국가의 IT정책과 IT인프라 현환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였고, 분석결과를 토대로 IT시장의 성장잠재성이 매우 큰 ASEAN국가에 성공적으로 진출할 수 있는 전략을 국가 차원과 기업 차원에서 제시하였다.

  • PDF

Direction for Designing a 3D Animation Curriculum Utilizing AI Technology

  • Jibong Jeon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30권5호
    • /
    • pp.141-158
    • /
    • 2023
  • In the field of animation, as technology advances, production technology, production methods, and production culture are also steadily developing. The demand for content is increasing rapidly around the OTT platform, and the demand for animation content and diversity is increasing. With these market changes, animation creation ability is becoming a more important animation education goal. There is also a need to innovate educational methods to provide students with the skills and knowledge required in the modern animation business. This paper investigated the composition of the educational curriculum of domestic and foreign animation universities education. It examines artificial intelligence (AI) technology that can be used in animation creation and explores the design and direction of the university animation curriculum using it. AI technology has already proven its potential in various areas, and it is integrated into the animation curriculum to present various development potentials. Using AI technology, students can focus on practical and essential animation education by preventing technical difficulties in animation creation, increase their experience in animation production, and experiment with planning and producing various contents. It is proposed to design an educational curriculum that further strengthens animation creation and production capabilities by forming smart animation classes to foster talents who can lead the future animation industry in a new direction.

효과적인 지식창출을 위한 인터넷 상의 지식채굴과정: 주식시장에의 응용 (Knowledge Discovery Process In Internet For Effective Knowledge Creation: Application To Stock Market)

  • 김경재;홍태호;한인구
    • 한국데이타베이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데이타베이스학회 1999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지식경영과 지식공학
    • /
    • pp.105-113
    • /
    • 1999
  • 최근 데이터와 데이터베이스의 폭발적 증가에 따라 무한한 데이터 속에서 정보나 지식을 찾고자하는 지식채굴과정 (knowledge discovery process)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기업 내외부 데이터베이스 뿐만 아니라 데이터웨어하우스 (data warehouse)를 기반으로 하는 OLAP환경에서의 데이터와 인터넷을 통한 웹 (web)에서의 정보 등 정보원의 다양화와 첨단화에 따라 다양한 환경 하에서의 지식채굴과정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상의 지식을 효과적으로 채굴하기 위한 지식채굴과정을 제안한다. 제안된 지식채굴과정은 명시지 (explicit knowledge)외에 암묵지 (tacit knowledge)를 지식채굴과정에 반영하기 위해 선행지식베이스 (prior knowledge base)와 선행지식관리시스템 (prior knowledge management system)을 이용한다. 선행지식관리시스템은 퍼지인식도(fuzzy cognitive map)를 이용하여 선행지식베이스를 구축하여 이를 통해 웹에서 찾고자 하는 유용한 정보를 정의하고 추출된 정보를 지식변환시스템 (knowledge transformation system)을 통해 통합적인 추론과정에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한다. 제안된 연구모형의 유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재무자료에 선행지식을 제외한 자료와 선행지식을 포함한 자료를 사례기반추론 (case-based reasoning)을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 제안된 지식채굴과정이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효과적인 지식창출을 위한 인터넷 상의 지식채굴과정 : 주식시장에의 응용 (Knowledge Discovery Process In Internet For Effective Knowledge Creation : Application To Stock Market)

  • 김경재;홍태호;한인구
    •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1999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지식경영과 지식공학
    • /
    • pp.105-113
    • /
    • 1999
  • 최근 데이터와 데이터베이스의 폭발적 증가에 따라 무한한 데이터 속에서 정보나 지식을 찾고자하는 지식채굴과정(Knowledge discovery process)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기업 내외부 데이터베이스 뿐만 아니라 데이터웨어하우스(data warehouse)를 기반으로 하는 OLAP 환경에서의 데이터와 인터넷을 통한 웹(web)에서의 정보 등 정보원의 다양화와 첨단화에 따라 다양한 환경 하에서의 지식 채굴과정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상의 지식을 효과적으로 채굴하기 위한 지식채굴과정을 제안한다. 제안된 지식채굴과정은 명시지(explicit knowledge)외에 암묵지(tacit knowledge)를 지식채굴과정에 반영하기 위해 선행지식베이스(prior knowledge base)와 선행지식관리시스템(prior knowledge management system)을 이용한다. 선행지식관리시스템은 퍼지인식도(fuzzy cognitive map)를 이용하여 선행지식베이스를 구축하여 이를 통해 웹에서 찾고자 하는 유용한 정보를 정의하고 추출된 정보를 지식변환시스템(knowledge transformation system)을 통해 통합적인 추론과정에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한다. 제안된 연구모형의 유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재무자료에 선행지식을 제외한 자료와 선행지식을 포함한 자료를 사례기반추론 (case-based reasoning)을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 제안된 지식채굴과정이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시스템반도체산업의 기술혁신패턴의 진화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Evolution of Technological Innovative Pattern in System Semiconductor Industry)

  • 문주현;박규호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320-342
    • /
    • 2011
  • 본 연구는 시스템반도체의 기술혁신패턴의 진화를 지식의 생성방식의 진화와 이에 따른 기업간 관계의 진화라는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특히 설계도구인 EDA의 등장 이후에 지식의 생성방식이 변화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기업유형의 진화, 기업간 관계의 진화 풍 기술혁신패턴이 진화하였음을 문헌자료에 대한 검토와 주요 기업에 대한 인터뷰를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스템반도체의 혁신활동은 과거 지식의 축적을 통한 설계활동 중심의 기술개발에서 지식 및 기술활용을 위한 탐색활동 중심의 혁신활동으로 진화하고 있다. 즉, 특정 기능의 구현을 통한 제품개발이 아니라 IP를 활용한 시스템 구축으로 제품개발이 이루어지는 설계활동의 분업화로 지식과 기술의 탐색활동이 중요해지고 있다. 둘째, 지식의 가치가 높아짐에 따라서 지식을 통한 신시장의 창출과 기업간 관계를 통한 신산업, 신기술의 개발이 일어나고 있다. 동시에 기존의 설계활동보다 설계비용 절감과 설계기간이 단축되면서 시장과 기술의 진화에 더욱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업유형으로 전문적 분업화가 일어나고 있다. 셋째, 지식의 활용측면이 점차적으로 강조됨에 따라 기업간 네트워크는 다른 기업과의 상호보완적인 기술개발구조를 구축하기 위해 다양하게 형성되고 있다. 이러한 논의는 국내외 기업간 네트워크를 전략적으로 활용하고, 시장창출과 지식활용 등 탐색활동을 위한 제반 전략이 강구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 PDF

Enhancing Indonesian Hotel Performance Through Distribution-Market Orientation and Value-Centric Innovation in Distribution

  • Amron AMRON;Roymon PANJAITAN;Febrianur I. F. S. PUTRA;Irwan SYAH
    • 유통과학연구
    • /
    • 제22권5호
    • /
    • pp.27-37
    • /
    • 2024
  • Purpose: Evaluating hotel performance is crucial in the tourism industry, and expanding knowledge through value-centric innovation in distribution is approached from the service-dominant logic perspective. This study aims to explore and enhance understanding of efforts to improve hotel performance by introducing a new concept of significant value-centric innovation in distribution. A novel proposition is presented, synthesizing diverse marketing innovations through the lens of service-dominant logic to foster originality.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Data from 166 respondents across various levels of hotel structural positions in Indonesia were analyzed using SEM-PLS. The relationship between market orientation and hotel performance was explored using the SEM-PLS technique. Results: The findings indicate that market orientation contributes to enhancing hotel performance. Additionally, value-centric innovation in distribution is crucial in addressing inconsistencies observed in previous studies and indicators related to variables significantly affecting hotel performance. Moreover, value-centric innovation in distribution directly improves performance indicators. Conclusions: The practical implication of this research is leveraging market orientation to enhance hotel performance. Hotel owners are encouraged to effectively implement value-centric innovation in distribution by fostering collaboratively generated shared value creation.

첨단 기술 기반 B2B 회사의 관계 네트워크에서의 공동 가치 창출을 위한 자원 및 역량 도출 (Identification of resources and competences for value co-creation in the relationship network of high-tech B2B firm)

  • 박창현;이희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4191-4197
    • /
    • 2014
  • 공동가치창출 현상은 B2B 및 B2C 시장 모두에서 중요한 비즈니스 전략으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주체들 및 복잡한 네트워크로 구성된 첨단 기술 기반의 B2B 시장에서 공동가치창출을 위한 핵심 자원 및 역량을 도출하였다. 대만의 파운드리 반도체 선두업체인 TSMC가 사례 연구로 선정되어 공급자, 고객, 파트너들간의 공동가치창출 현상에 대해 연구하였다. 관찰 연구, 내용 분석 및 TSMC 직원들과의 비구조화된 인터뷰를 통해 수집한 질적 데이터를 정성적 데이터 분석(Qualitative data analysis) 툴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귀납적 추리 (Inductive reasoning)에 기반한 사례 연구 및 사례 연구를 바탕으로 한 이론수립을 연구방법론으로 적용하여 4가지의 핵심 자원 (재무적 자원, 지식 자원, 효율성 자원, 지적 자원)과 6가지의 핵심 역량 (관계 역량, 협력 역량, 전략적 역량, 혁신 역량, 관리 역량, 서비스 역량)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자원과 역량을 기반으로 관계 네트워크 하에서의 공동가치창출을 연구하기 위한 연구 체계를 수립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