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rket character

검색결과 244건 처리시간 0.03초

시청률에 기반한 유아용 TV 애니메이션 캐릭터 스토리텔링 분석 (A Study on Character Storytelling for Children's TV Animation Based on Viewing Rate)

  • 김설리;김남훈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79-85
    • /
    • 2017
  • 국내에는 미취학 아동을 대상으로 TV용 창작 애니메이션 제작이 활성화되면서 애니메이션 캐릭터가 관련 완구 사업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완구 연계사업 성공으로 TV용 애니메이션은 극장용까지 장르를 확대하고 있으며 국내 애니메이션의 수익구조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유아용 시청률이 높은 애니메이션의 캐릭터 스토리텔링 특성을 분석함으로 향후 애니메이션 캐릭터 기획 및 제작에 산업적으로 기여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연구를 위해 시청률이 높은 애니메이션을 20개를 선정한 후 캐릭터를 역할별로 선정해 95개 캐릭터의 스토리텔링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유아용 애니메이션에는 다양한 역할의 등장인물이 등장해 서로 도우며 유아 간 사회성을 기를 수 있도록 장려하는 캐릭터들이 많았다. 캐릭터 역할에 따라 외적 설정의 비율에도 차이가 있었으며, 내적 설정에서도 전체적으로는 리더십 키워드가 가장 많이 등장했다. 캐릭터 역할을 기준으로 키워드를 살펴보면 주인공은 책임감, 모험감, 적대자는 공격적, 비판적, 순진소심한 보조자는 민감한, 영리한, 사고뭉치 보조자는 산만한, 능력있는 보조자는 리더십과 갈등중재로 각각 키워드에도 차이가 있었다.

콜라보레이션 화장품의 캐릭터 특성이 소비자의 호감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haracter Characteristics of Collaboration Cosmetics on Consumer Preferences)

  • 배소정;임하늘;김경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4호
    • /
    • pp.1-10
    • /
    • 2018
  • 현재 화장품 시장은 새로운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 이에 소비자의 호감도에 대한 중요성은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에 따른 대안에 대해서는 많은 관련 기업과 시장에서 노력하고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외부 캐릭터를 이용한 콜라보레이션 화장품의 캐릭터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 소비자의 호감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살펴보았다. 콜라보레이션 제품을 1회 이상 구매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구조방정식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본 연구는 친숙성과 창의성이 소비자의 호감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인터넷상에서 캐릭터를 활용한 수익 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venue model of Character business on the Internet)

  • 김준영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4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78-83
    • /
    • 2004
  • 일상생활의 거의 모든 커뮤니케이션 분야에 걸쳐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는 인터넷이 중요한 미디어로 확실히 자리 잡혀 감에 따라 인터넷을 통한 거의 모든 정보가 무료였던 시대에서 비즈니스의 수익 구조가 구성되어 가고 있는 가운데 캐릭터의 OSMU 중 인터넷상에서의 활용 범위가 점차 확장되고 있는데, 캐릭터가 활용되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모델에 관하여 연구한다.

  • PDF

남성 정장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제2보) -20∼40대 남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Men's Suit Purchasing Behaviors (Part II) Focus on Men in Their 20's∼40's-)

  • 김민정;이숙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615-625
    • /
    • 2004
  • This study was attempted to segment the male consumers' market for men's suit based on brand preferences and to identify the group differences in apparel purchasing behaviors and demographic features and to suggest basic information applicable to marketing strategy. 705 men were selected for the study; they were in their twenties through forties, and they lived in Seoul and its suburbs. 655 survey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used for analysis. Using the SAS package, frequency, factors, reliability, correlation, genealogical group analysis, distribution analysis, the ($\chi$$^2$-test and the Duncan test for verification were actualized for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ale-suit consumers tend to prefer the national brand(61.07%), licensed brand(19.39%), volume character brand(7.63%), prestige character brand(6.56%), and directly imported brand(5.34%) in order.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pparel shopping orientations, purchasing behavior variables and demographic variables among the 5 classified groups.

위반행위를 통해 본 재래시장 건축의 공간형성에 관한 연구 - 남대문시장의 현황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patial Formation of Conventional Market through its violation - Focused on the present condition of Nam-dae-mun market -)

  • 송지은;김광수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06-111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nding the spatial character for autogenous space design through the violation of Nam-dae-mun market. The violation is defined as the possession of space in excess of one's property. In Nam-dae-mun market, the violation is sanctioned by usage. Through the violation, Nam-dae-mun market naturally acquires autogenous energy and pliability. According to three steps, this research proceed. 1. To investigate the limitation of modern architecture and the meaning of the violation. 2. To research the present condition of Nam-dae-mun market and the process of spatial formation. 3. To compare 'F' building in Nam-dae-mun with Sam-ik fashion building which was redeveloped.

  • PDF

Rope Survival: 온라인배틀과 캐릭터육성기능을 결합한 줄다리기게임 (The On-line tug of war Battle game with Character raising mode)

  • 안후영;김목련;박영호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271-277
    • /
    • 2006
  • 최근 전 세계적으로 모바일장치의 확산과 초고속 인터넷의 확장에 따라 모바일게임시장이 더욱 활성화되고 있다. 모바일게임은 기술의 발전과 함께, 이젠 사회적으로 분명한 대중문화로서 자리 잡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모바일 게임들은 오프라인 형태로 사용자가 한 번 다운 받아 즐기는 게임이거나 온라인 네트워크 모바일 게임의 형태이라 할지라도 배틀 형태의 대전 게임으로만 이루어져 있는 종류의 게임이 대부분이다. 본 논문은 온라인 배틀 게임의 형태와 캐릭터를 육성 시키는 게임의 형태를 혼합하여 두 가지 방법으로 하나의 게임을 즐길 수 있는 한 줄다리기 게임을 제안한다. 따라서 단순한 온라인 배틀 게임이 아닌, 오프라인의 연습과정을 트레이닝 모드라고 정의하여 기존의 모바일 게임들과 차별되는 혁신적인 모바일 게임 모델이라 말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Rope Survival게임은 네트워크 대전게임과 캐릭터의 육성 게임을 동시에 즐기는 게임이라는 측면에서 모바일게임의 연구분야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다.

  • PDF

아시아 시장에서 엔터테인먼트 콘텐츠 수출의 One Source Multi-Use(OSMU) 효과분석 - 일본.중국.대만.홍콩 시장을 중심으로 - (Effect Analysis of OSMU on Entertainment Contents Export in East-Asia Market)

  • 이찬도
    • 통상정보연구
    • /
    • 제9권1호
    • /
    • pp.427-449
    • /
    • 2007
  • The question of what our cultural goods might have known in a major exporting market, has intrigued investigators since 2000 year. Actually, Maybe Korean cultural assets just didn't have time to get to know International or Asia market. But now, a new euphoria can be tasted, on the lips of the small but growing Korean Contents Mania, as New Korean Wave-Crust begin to welcome the priciest contents from korea. Given Asian's surging population for our entertainment contents-drama, movie, music, character, etc., and the sense of a positive response its newly international market, it is hardly surprising. Now, Korea Wave must play an important roles in our country- economy, business, specially. This paper is seeking in OSMU on Korean Contents in East-North Asian Market, and is developing about Korean Wave study model. and It also points to a different strategy for exporting cultural contents, suggesting it should be effected for model to OSMU.

  • PDF

브랜드인지도 제고를 위한 TV광고의 캐릭터 사용패턴 및 효과분석 (A study of the pattern and the effect analysis of the characters on TV ads for the brand awareness)

  • 조규창
    • 디자인학연구
    • /
    • 제17권4호
    • /
    • pp.259-268
    • /
    • 2004
  • 요즘은 브랜드전쟁의 시대라고 한다. 정보와 기술발달에 의한 21세기 시장환경 하에서 기업간 경쟁요소와 소비자의 선택기준이 변화함에 따라 브랜드자산은 기업의 가치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등장하게 되었다. 소비자의 머릿속에 브랜드의 변별력을 제고하는 방법으로써 TV광고를 통한 브랜드광고에서의 캐릭터 사용은 일반적이고 유용한 방법으로 오래전부터 활용되어 왔다. 마케팅차원에서 브랜드의 인지도를 높이는 수단으로서 캐릭터의 역할과 가능성을 좀더 상세히 알아보고 미국 광고대행사인 FCB사의 그리드 모델을 통해 TV광고에서의 카테고리별 캐릭터 사용패턴과 관여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해 보았다. 또한 캐릭터 사용소재별 분석, 그리고 표현양식에 따른 분석을 통해 최근의 카테고리별 캐릭터 사용태도와 기법 등을 조사하였다.

  • PDF

테디베어 캐릭터를 응용한 3D 디자인 및 SNS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3D design and SNS developmenst using teddy bear character)

  • 정유섭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4호
    • /
    • pp.123-136
    • /
    • 2021
  • 테디베어는 100년이 넘는 시간 동안 귀엽고 친근한 이미지를 바탕으로 전 세계인의 사랑을 받아온 대표적인 봉제 인형이며 오랜 시간 동안 함께 해온 만큼 단순한 동물 인형의 차원이 아닌 남녀노소 및 연령에 상관없이 추억이 담긴 사람들의 친구로서 여겨지고 있다. 테디베어는 완구를 넘어 한 시대의 사회상과 이슈를 상징하는 역할을 해오며 그 모습과 성격이 계속 발전해 오고 있으나 여전히 봉제 완구의 이미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인터넷과 스마트폰을 바탕으로 큰 변화를 겪고 있는 현재의 환경과 시장 상황에 발맞춰 보다 발전된 테디베어 캐릭터가 탄생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캐릭터의 개념과 시장의 발전을 돌아보고 테디베어가 지닌 의미와 현재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현대사회의 흐름과 추세에 맞춰 탄생시킨 새로운 테디베어 이야기 및 세계관을 바탕으로 캐릭터의 형태와 성격을 스케치와 디자인 프로그램을 통해 개발하고 개발된 캐릭터를 3D 프로그램을 통해 입체화했으며 이렇게 만들어진 3D 결과물은 영상 채널, SNS 채널을 통해 전파될 수 있는 영상물로 만들어졌다. 또한 우리나라의 캐릭터 비즈니스가 전 세계적인 변화에 발맞춰 발전 할 수 있는 방향을 살펴보고 캐릭터 강국으로서의 진입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오프라인 인쇄체 문장부호, 일본 문자, 영문자, 한자 인식에서의 오인식 문자 교 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 Correction of the Wrongly Recognized Sentence Marks, Japanese, English, and Chinese Character in the Off-line printed Character Recognition)

  • 이병희;김태균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4권1호
    • /
    • pp.184-194
    • /
    • 1997
  • 최근 상용 오프라인 문자 인식시스템들이 계속 발표되고 있다. 본 눈문에서는 적 은 메모리와 빠른 시간내에 검색이 가능한 자기조직화 구조를 가진 단어 사전을 구축 하고 검색하는 알고리즘을 제시하며 오프라인 문자 인식 시스템을 이용하여 오인식 교정의 측면에서 문장부호, 영문자, 한자를 인식한 후에 나온 오인식된 문자들을 수 집하여 오인식 형태를 제분류하였다. 영문자에 대해서는 영문자의 오인식 형태와 오 인식의 예들을 조사하고 오인식이 자주 일어나는 글자에 대해 오인식 혼동 테이블을 작성하였으며 25,145개의 영어 단어가 입력된 자기조직화된 영어 단어 사전을 가지고 교정을 행하여 0.5%의 인식률 향상을 가져왔다. 한자에 대해서도 영문자와 마찬가지 로 오인식 행태를 조사하고 혼동 테이블을 작성하였으며 34,593개의 단어가 입력된 자기조직화된 한자 단어 사전을 이용하여 교정을 행하여 인식률을 6.1% 향상시켰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