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marital characteristics on the marital stability among the elderly couples. Each participant was measured using a scale for the concept of marriage, a scale for marital coherence, a marital stress scale, a coping behavior scale and a marital stability scale. Elderly people who have a living spouse and who are living In Seoul were recruited. The data from two hundred and forty participants over 60-years-old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es.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demographic factors such as educational level, health, economic status, the main source of income, and employment status appeared to significantly predict the elderly folks'marital stability Second, gender seems to be a factor In elderly couples'experience of marital stability. Husbands perceived marital stability to be higher than wives did. Third, the perception of marital stress, positive coping behavior and marital coherence influence the marital stability of the elderly couples. That is, the less elderly couples perceived marital stress and the less they relied on negative coping behaviors, the higher they perceived marital stability. These results imply that a healthful coping behavior to marital stress is important in enhancing marital stability for elderly couples.
Purpose: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ffect of physical, emotional and environmental status on safety consciousness of the elderly who live alone. Methods: A total of 228 participants were the elderly living alone aged 65 years and older. Three questionnaires were developed to measure safety consciousness, physical status, and environmental status by researchers. 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 was used to evaluate emotional status of the elderly.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Average scores of participants were $3.71{\pm}1.49$ (range 0~6) for physical status, $8.28{\pm}3.38$ (range 0~15) for environmental status, $7.21{\pm}3.40$ (range 0~15) for GDS and $17.00{\pm}6.54$ (range 0~37) for safety consciousness. Safety consciousnes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education, marital status, drinking, and depression as emotional status. These variables explained 13.6% of the variance in safety consciousness. Conclusion: The levels of safety consciousness among the elderly living alone were low. Education, marital status, drinking, and depression were the factors affecting safety consciousness. Risk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these factors are needed to increase safety consciousness of the elderly.
Purpos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onditions of the leisure type, health status,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of the elderly living alone. Method: The subjects were 189 elderly. The instrument was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s: The frequency of the leisure types of the elderly living alone was in the order of culture, rest, social activity and sports. The following factor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 gender, education, religion and marital status with leisure type; age, economic status, job and leisure type with perceived health status; education, economic status and religion with self-esteem; and economic status, marital status and religion with social support.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ADL and both perceived health status, and self-esteem, bu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self-esteem and perceived health status, and between social support and both perceived health status and self-esteem. Conclusion: To maintain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living alone, this study suggests that providing various leisure activities could raise self-esteem, and thereby complement for any deficiencies in family and social support.
이 연구의 목적은 노인인구에 대한 전국규모의 자료를 활용하여 노년기 결혼지위 점유와 건강의 관련성을 실증적으로 밝히는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첫째, 사별노인과 유배우 노인의 신체 및 정신 건강, 사회관계망의 내용을 비교하였고, 둘째, 유배우노인과 사별노인 간의 건강격차가 사회관계망 특성에 의해 설명되는지를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사회관계망이 건강에 미치는 효과가 유배우/사별노인에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2004년도 노인실태조사자료>를 분석한 결과, 결혼지위 점유에 따른 신체 및 정신건강 수준은 노인의 연령과 건강차원에 따라 그 양상이 상이하였다. 지각된 건강, 주요 만성질환 수에서는 노인의 결혼지위 점유에 따른 건강 격차가 크지 않았고, 관찰되는 차이는 성, 연령, 계층 등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이 고려되자 감소하였다. 그런데 행복감 차원에서는 성과 연령을 비롯한 사회·인구학적 특성이 고려된 이후에도 유배우자는 사별자보다 행복감을 높게 지각하였다. 친한 친구/이웃 접촉, 친한 자녀접촉, 사회활동으로 요약되는 사회관계망의 특성이 신체 및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에서는 사별노인과 유배우 노인에서 차이가 있었다. 이는 사회관계망의 필요성이나 기능이 노인의 결혼지위에 따라 다름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30세 이상 한국성인의 결혼상태와 채소섭취와의 연관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7~2010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조사 참가자의 성별, 연령대별 채소섭취량을 비교하고, 채소를 권장섭취횟수보다 부족하게 섭취할 위험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결혼상태에 따라 성별, 연령대별 채소섭취량에 차이가 있었다. 남녀 모두 유배우자 동거 집단의 김치를 포함한 채소섭취량이 결혼한 적 없는 집단과 별거/이혼/사별 집단과 비교해 가장 높았다. 김치를 포함한 채소를 권장섭취횟수보다 적게 섭취할 위험도는 유배우자 동거집단에 비해 결혼한 적 없거나 별거/이혼/사별인 경우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65세 이상 남자의 경우 결혼한 적 없음/별거/이혼/사별 집단은 유배우자 동거 집단과 비교해 채소섭취량이 낮았으며, 채소를 권장섭취횟수보다 적게 섭취할 위험도는 높았다. 결혼상태와 채소섭취량의 관계를 명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결혼상태와 식생활의 변화를 함께 조사할 수 있는 코호트 연구가 수행돼야 한다. 또한 결혼상태의 지속기간, 결혼상태의 만족도 등 결혼상태를 다양하게 파악할 수 있는 정보와 함께, 식생활 상태를 평가할 수 있는 자료를 수집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suggest the efficient communication method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marriage and life in the elderly couples. For this study we considered variables connected with the communication efficiency of elderly couples. We investigated 462 elderly men and women whose spouse is alive and Seoul and the National Capital regio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communication efficiency of elderly couples was over than middle level so we could find that they communicate efficiently. 2) The communication efficiency of elderly couples differs significantly according to sex, education level, economic condition, health status, family type, social activity, sociotropy Personality, self-esteem, internal-external controllability, marital intimacy, relative comparison in the level of living. 3) The communication efficiency of elderly couples was dependently affected by intimacy, economic status, relationship; this variables had 40% explanation for communication efficienc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familial characteristics and health status in early stage of elderly life. In this study, a total of 252 Korean males and females aged 55 to 74 were interviewed to obtain information on various socio-familial characteristics such as age, gender, residence, marital status, education, religion, distance with children, household size, and living arrangements. They were also examined for self-perceived depression and diagnosed health problems. The analysis of the results show that marital status, gender, and living arrangement were major characteristics differentiating health status; widowed women living apart from their children are at lower level for most items of hea1th status such as emotional, circulatory, respiratory, digestive, and muscle and skeletal function. Based on this analysis, suggestions are made for efficient health management. First, widowed females living without children are encouraged to participate in regular health promotion programs in self-organized groups. Second, usual welfare service programs need to be segregated for each age group, so that relatively young elderly are not frustrated from being treated together with extremely frail older elderly. Third, low education group living in rural area are offered preventive medical services for muscular and skeletal related health problems.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of the elder abuse perception with the caregiving stress of adult caregivers and to investigate influencing factors on them.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398 adults aged 30-65, and analyzed with the SPSS/WIN program. Results: In the elder abuse perception, there were differences in age, marital status, education, job, person to be taken care of, age of elderly mother, duration of caregiving, economic status and health status of elderly parents. As for the caregiving stress, there were differences in age, marital status, income, health status, relationship with the elder, person to be taken care of, economic status and health status of elder parents. Influencing factors on the elder abuse perception included caregiving stress, education, marital status, health status of elders, and economic status of parents (30%). On the caregiving stress, elder abuse perception, economic status of elders, and relationship between caregivers and elders were influencing factors (24%).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eded to develop a nursing program to prevent elder abuse and to decrease caregiving stress in caregivers. In addition, it should be considered in tandem with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s that were found in this study.
This study examined the retirement adaptation process for middle-aged and elderly couples. Twelve couples who had experienced retirement were recruited by theoretical sampling.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analyzed through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of Strauss and Corbin (1998). This study showed the results of 124 concepts, 41 sub-categories and 17 categories indicated through an open coding process. As a paradigm in axial coding, the causal conditions in the adjustment procedures of elderly couples whose spouses are retired were 'retirement preparation,' 'retirement acceptance,' and 'marital satisfaction.' A central phenomenon was 'crisis and conflicts of twilight couples.' The contextual conditions that correspond to this phenomenon were 'psychological separation from adult children,' 'division of household labor,' and 'economic status.'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to control the phenomenon were 'recognition of marital relationships,' 'conflicts coping,' 'resolution methods,' and 'self-reflection.' The intervening conditions that facilitat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were 'attitudes of husbands,' 'mutual awareness of couple,' 'health status,' and 'support systems.' The consequences were 'readaptation of marital relationships,' and 'unresolved conflicts,' and 'trying alone.' This research classified middle-aged and elderly couples' adaptation into three types such as mutual effort, separation & resignation, and conflicts vestige. The findings provide basic information to develop a retirement adaptation program for the middle-aged and elderly.
This study identified the rate of income poverty and multidimensional poverty, correlation between income poverty and multidimensional poverty, and adjusted multidimensional poverty rate. We also analyzed the factors that affected the number of poverty dimension and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poor or not in 3,159 elderly households including 474 poor households and 2,685 middle class households. First, in poor households, the employment poverty rate was the highest and the housing poverty rate was the lowest. In middle class households, the relation poverty rate was the highest and the employment poverty rate was the lowest. Second, in poor households, correlation between asset poverty and relation poverty had the highest coefficient of .205 and asset poverty and housing poverty had the lowest coefficient of .149. In middle class households, the correlation between income poverty and relation poverty had highest coefficient of -.290 and employment poverty and relation poverty had the lowest coefficient of .038. Third, in poor households, the number of average poverty dimension was 4.30, but the number of average poverty dimensions of middle class households was 2.310. Fourth, the variable affecting the number of poverty dimensions in poor households were gender, age, level of education, marital status; however, the significant variables were gender, education level, marital status, income poverty in the middle class households. The variable that affected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poor or not in poor households was age. However, the significant variables were gender, education level, marital status, residence, and income poverty in middle class households.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