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rigold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26초

토양중(土壤中) 카드뮴제거(除去)를 위(爲)한 식물(植物)의 재배이용연구(栽培利用硏究) (Studies on the Cadmium removal from Soil through crops cultivation)

  • 김복영;김규식;조재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11-115
    • /
    • 1989
  • 비오염지토양(非汚染地土壤)에 카드뮴을 15ppm 처리(處理)하고 비식용작물(非食用作物)인 섬유작물(纖維作物) 6종(種), 화훼작물(花卉作物) 4종(種), 묘목(苗木) 2종(種)과 수도(水稻)를 비교작물(比較作物)로 Pot 재배(栽培)하고 그 함량(含量) 및 흡수량(吸收量)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식물체중(植物體中) 카드뮴 함량(含量)은 마리골드가 161.7ppm으로 수도(水稻)의 22.5배(倍)로 가장 높았으며, 왕골은 58.3ppm, 코레옵시스 58.0ppm, 해바라기 43.5ppm, 수세미 38.3ppm, 아마(亞麻) 31.9ppm의 순(順)으로 적었다. 2. 카드뮴의 흡수량(吸收量)은 은수원사시나무에서 24.11mg/pot로 가장 많았으며 수도(水稻)의 35.5배(倍)이었고 이타리안 포프라는 10.86mg/pot, 마리골드 9.61mg/pot, 양마(洋麻) 9.04mg/pot 등의 순위(順位)였다. 3. 토양중(土壤中) 카드뮴의 잔존량(殘存量)은 은수원사시나무가 재배(栽倍)된 토양(土壤)이 가장 적고 다음이 목화재배토양(木花栽培土壤)이였다. 4. 카드뮴의 식물체흡수량(植物體吸收量)과 토양중(土壤中) 잔존농도(殘存濃度)와는 유의성(有意性) 있는 부(負)의 상관(相關)이 있었다.

  • PDF

주요 식용꽃의 포장재 종류에 따른 품질 유지 효과 (Effect of Storage Film Type on Quality Maintenance in Edible Flower)

  • 이정아;유은하;김광진;권혜진;송정섭
    • 화훼연구
    • /
    • 제19권4호
    • /
    • pp.212-218
    • /
    • 2011
  • 식용꽃은 일반적으로 개화된 상태에서 수확, 줄기가 없는 상태에서 유통되므로 저장성이 급격히 저하되는 것이 단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여러 종류의 포장 필름 중 식용꽃의 상온유통을 위한 효과적인 포장재를 선발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식용꽃 재료로는 꾸준한 수요로 연중생산 되고 있는 금어초, 금잔화, 비올라, 패랭이, 팬지, 한련화 등 총 6종으로 실시하였다. 유통 시 적용할 포장 필름을 선발하기 위하여 0.03mm 두께의 polyethlene (PE) film와 polypropylene (PP) film을 대조구로 하였으며 필름 표면의 미세한 천공을 통해 산소투과도 (OTR-Oxygen Transmission Rate)를 조절할 수 있는 6가지 종류의 필름인 PE 0.03 mm (LF10, LF20, LF30), PP 0.0 3mm (LF10, LF20, LF30) 등을 이용하였다. 식용꽃의 상온 유통시 금잔화, 한련화는 필름별 차이가 없었으며, 비올라, 패랭이, 팬지는 PP (LF10)필름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비올라, 패랭이, 팬지는 꽃잎이 바깥쪽부터 말리기 시작하면서 노화 증상이 나타났고, 한련화는 꽃잎 무름과 변색, 금어초는 갈색 점이 나타나면서 부패증상이 나타나는 등 식용꽃 종류별로 노화 유형이 뚜렷하게 구분되었다.

홍수퇴적토의 식재토양 재활용 연구 (Utilization of Flood Sediments as Plant Soil)

  • 조재범;현재혁;김민길;정진홍;김갑수
    • 한국토양환경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63-74
    • /
    • 1998
  • 본 연구는 홍수퇴적토에 대한 토양 특성 분석과 75일 동안의 발아/생장 실험을 통하여 식재 토양으로서의 적용 가능성 여부를 관찰하고자 한다. 또한 각 시료의 입도 분포, 유기물 함량 등이 다르므로 원퇴적토와 탄천 모래의 적절한 혼합(2 : 1, 3 : 1)을 통하여 식물의 발아/생장 최적화를 비교하고자 한다. 결과를 살펴보면, 팬지의 경우 조성비(탄천모래 : 원퇴적토) 3: 1에서 발아/생장이 가장 잘 나타났고 금잔화의 경우 실트와 점토를 충분히 함유하는 원퇴적토에서 발아/생장이 가장 잘 나타남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홍수퇴적토는 식물에 따라 적절한 배합이 이루어지면 식재 토양으로서의 가치가 높음을 알 수 있다.

  • PDF

Characterization of Sclerotinia sclerotiorum, an Emerging Fungal Pathogen Causing Blight in Hyacinth Bean (Lablab purpureus)

  • Prova, Ananya;Akanda, Abdul Mannan;Islam, Shaikhul;Hossain, Md. Motaher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4권5호
    • /
    • pp.367-380
    • /
    • 2018
  • Stems and pods of hyacinth bean cultivated in a farmer's field in Gazipur District, Bangladesh, were found rotted in nearly 5% hyacinth bean plants. A fungus having fluffy mycelium and large sclerotia was isolated from affected tissues. Combined results of morphological, molecular and pathological analyses identified the fungus as Sclerotinia sclerotiorum (Lib) de Bary. Inoculating the fungus on healthy hyacinth bean plants and pods reproduced the symptoms previously observed in the field. The three isolates obtained from naturally infected plants were cross inoculated in hyacinth bean, okra and African-American marigold and they were pathogenic to these hosts. The optimum temperature and pH for its growth were $20^{\circ}C$ and pH 5.0, respectively. Sclerotial development was favored at pH 5.0. Sucrose and mannitol were the best carbon sources to support hyphal growth, while glucose was the most favourable for sclerotial development. The hyacinth bean genotypes, HB-82 (Rupban Sheem) and HB-102 were found highly resistant, while HB-94 (Ashina) was moderate resistant to the fungus. Finally, S. sclerotiorum was sensitive to Bavistin, Dithane M-45 and Rovral fungicides and Ca in the form of $CaCl_2$. This observation could possibly aid in eliminating field loss in hyacinth bean caused by an emerging pathogenic fungus S. sclerotiorum.

Baroque직물에 나타난 floral 패턴의 조형성 (A Study on the Figuration of Floral Pattern of Baroque Textiles)

  • 이선화;권영숙
    • 복식
    • /
    • 제52권7호
    • /
    • pp.1-11
    • /
    • 2002
  • The shape of floral Pattern in the Period of Baroque could be divided single. bunch and vine. The style of representation was stylized, abstract and realistic. the most of style was stylized. The type of composition was fullness, independent and scattered. Floral patterns were shaped simple and complex and components of design could be classified into flower and leaf. flower and fruit. flower and band. bunch of flower, flower and geometry. flower and pot, flower and animal. flower and crest. Kinds of flower were tulip. common marigold, lily, carnation, small bel]flower. lotus, acandus leaf, pomegranate, strawberry. pine cone and abstract anonymous flower which were unfolded by repeat. Characters of floral Pattern were classical elegance, taste of royalty and lively and damask, velvet, brocade which made with gold and silver so, those were a very brilliant and gorgeous. Characters of design were illustrated plane style and stylization where developed arranged on front by repeat or repeat symmetric of vertical. Art, costumes and textiles in this era were a very rich and colorful. The result of study on Baroque's floral pattern will be used to develope a various textile design and chance to be adopted classical pattern into aesthetic value in our time.

Comparison of Stress Relieving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s between Judging and Perceiving Personality Types among Female Undergraduate Students

  • An, Su Yeon;Hong, Jong Won;Jang, Eu Jean;Kim, Jongyun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63-73
    • /
    • 2021
  • Background and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and preferences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s for stress relief according to MBTI personality types (Judging and Perceiving types) of female undergraduate student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15 Judging and 15 Perceiving types based on lifestyle preferences of the MBTI personality test, and a total of 30 participants participated in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s for 6 sessions. Results: Both Judging and Perceiving types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stress after participating in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s. Among the 8 life stress subfactors, Judging types showed significant stress relieving effects in 5 subfactors (relationship with the opposite sex, relationship with family, economic problems, future problems, value problems), while Perceiving types showed stress relieving effects in only 3 subfactors (relationship with family, economic problems, future problems). However, the changes in stress relief of 8 subfactor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personality types. The most preferred program for the Judging types was 'Making a flower basket', while the most preferred ones for the Perceiving types were 'Planting monstera', and 'Making preserved lemons with marigold', suggesting that the preferences varied depending on personality types. Conclus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suitabl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s for different subjects based on their personality types to enhance the effect of the programs on the subjects.

Optimization and Bioassay Guided Comparative Techniques for Efficient Extraction of Lutein Esters from Tagetes erecta (Var. Pusa Narangi Genda) Flowers

  • Kawar Lal Dabodhia;Brijesh Tripathi;Narendra Pal Lamba;Manmohan Singh Chauhan;Rohit Bhatia;Vivek Mishra
    • Mass Spectrometry Letters
    • /
    • 제15권1호
    • /
    • pp.40-48
    • /
    • 2024
  • Capacity of the analytical/quantitative evaluation techniques to satisfy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considerations for effective extraction of marigold oleoresins/xanthophylls and their potential as anti-mycotic and antioxidant activity was assessed. Accelerated solvent extraction (ASE), Soxhlet extraction (SE),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SCFE), Cold extraction (CE), and ultrasonically assisted extraction (USE) techniques were evaluated for extraction of oleoresin/xanthophyll content from Tagetes erecta (Var. Pusa Narangi Genda) with respect to solvent consumption, extraction time, reproducibility, and yield. Followed by the antifungal and antioxidant activity evaluation. The overall yield of Tagetes oleoresin was higher in ASE (64.5 g/kg) followed by SE (57.3 g/kg), USE (50.7 g/kg), SCFE (45.3 g/kg) and CE (31.6 g/kg). The lutein esters represented more than 80% of the constituents. Further, xanthophyll/ lutein content in oleoresin was found to be quite higher in HPLC (r2 = 0.996) analysis than in the AOAC recommended UV spectrophotometer analysis. The oleoresin exhibited moderate antioxidant activity (DPPH assay) and antifungal activity against three phytopathogenic fungi. Based on the various parameters, the reproducibility of ASE was better (0.3-8.0%) than that of SE (0.5-12.9%), SCFE (0.2-9.4%), USE (0.3-12.4%) and CE (0.8-15.3%). ASE with (RSD 1.6%) is preferred being faster, reproducible, uses less solvent, robust and automation allows sequential extraction of the sample in less time.

미량원소복합제가 혼합된 각종 상토에서 고토석회의 시비수준이 매리골드 플러그 묘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olomite Levels in Various Root Media Containing Micronutrient Mixes on Growth of Marigold Plug Seedlings)

  • 최종명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17-224
    • /
    • 2006
  • 세 종류의 입상형 미량원소복합제(MF1, MF2, 및 MF3)를 조제하여 세 종류 상토에 혼합할 경우 고토석회의 시비수준이 매리골드 'Orange Boy' 플러그 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피트모스+부숙수피(1:1, v/v) 혼합 상토에 MF 1을 기비로 혼합한 경우 고토석회 무처리구에서 생육이 가장 우수하였고, 고토석회의 혼합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생육이 저조하였다. MF 2를 혼합한 경우에는 $3.0g{\cdot}L^{-1}$ 처리에서 건물중이 식물체 0.133g으로 가장 무거웠으나 생체중은 $6.0g{\cdot}L^{-1}$ 처리에서 0.686g으로 가장 무거웠다. MF 3를 혼합한 처리와 대조구에서는 각각 $3.0g{\cdot}L^{-1}$$6.0g{\cdot}L^{-1}$ 처리에서 생체중 및 건물중이 무거워 생육이 우수한 고토석회 시비량이 달랐다. 피트모스+부숙왕겨(1:1, v/v) 혼합상토에 미량원소복합제를 혼합한 경우, 고토석회의 혼합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생육이 저조하였데 그 정도는 MF 3이 혼합된 경우 가장 뚜렷하였다. 피트모스+부숙통밥(1:1, v/v) 혼합상토에 MF 1과 MF 3을 혼합한 경우 고토석회 3.0과 $6.0g{\cdot}L^{-1}$ 처리에서 생육이 우수하였으나, MF 2와 대조구에서는 고토석회의 시비량이 높아질 경우 생육이 우수한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들에서 상토의 종류나 미량원소복합제에 따라 최대생육을 보인 고토석회의 처리량이 달랐으며, 작물재배시 이를 반영하여야 최대생육을 보장할 수 있을 것이다.

Neem과 mustard oil이 곤충병원성 선충과 누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eem and Mustard oils on Entomopathogenic Nematodes and Silkworm)

  • 하판정;김태수;이신혜;추호렬;최성환;김영섭;이동운
    • 농약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54-64
    • /
    • 2010
  • 13종의 식물 정유(anise oil, clove oil, marigold, mustard oil, neem oil, quassia, quilaja, rosemary oil, rotenone, tea tree extract, thyme oil, wintergreen oil, and yucca)와 caffeine이 산업곤충인 누에(Bombyx mori)와 생물적 방제 인자의 하나인 곤충병원성 선충 Steinernema carpocapsae GSN-1 계통(Sc)과 Heterorhabditis sp. Gyeongsan 계통(Hg)에 미치는 영향을 실내 검정하였다. 1,000 ppm 농도의 식물체 추출물들 중 neem oil이 누에에 대한 살충활성이 가장 높았다. Neem oil을 처리한 뽕잎을 공급하였을 때, 급상 5일과 10일 후 누에의 치사율은 각각 55.3%와 100%였다. 그리고 neem oil이 처리된 뽕잎을 섭식한 누에는 번데기와 고치를 형성하지 못하였다. Rotenone을 처리한 뽕잎을 공급받은 누에의 고치와 번데기 무게는 각각 0.27 g과 1.01 g으로 가장 적었다. Mustard oil은 곤충병원성선충에 대하여 살선충 활성이 높았다. X-plate에서는 mustard oil 20 ppm 처리 시 곤충병원성선충 Sc와 Hg의 치사율이 처리 3일 후 각각 69.0%와 100%였으며 5 ppm 농도에서도 4%와 36%의 치사율을 보였다. Sand barrier에서 Sc를 100 ppm 농도의 mustard oil과 혼합 처리 시 꿀벌부채명나방(Galleria mellonella) 노숙 유충의 치사율은 무처리구와 차이가 없었으나 Hg의 경우는 무처리구에 비하여 30% 낮은 꿀벌부채명나방 치사율을 보였다. 꿀벌부채명나방 유충의 체내에 정착한 선충 수는 Hg가 Sc에 비하여 적었다. Sand barrier내 생존 Sc 선충 수는 200 ppm 이하 농도에서는 무처리구와 차이가 없었다.

간.혼작을 이용한 유기농 배추 주요해충 발생경감 효과 (Effect of Inter-and mixed cropping with Attractant and Repellent Plants on Occurrence of Major Insect Pests in Organic Cultivation of Chinese Cabbage)

  • 김민정;심창기;김용기;지형진;윤종철;박종호;한은정;홍성준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685-699
    • /
    • 2013
  • 본 연구는 유기농 배추재배를 위한 주요 해충 방제를 위한 push-pull 전략 수립을 하고자 유인 또는 기피식물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2012년 충남 서산의 유기농 배추재배농가에서 발생하는 배추좀나방, 배추잎벌레, 진딧물, 비단노린재 및 갈색노린재에 대한 메리골드, 호밀, 부추, 상추, 치커리, 농우-치커리, 쑥갓, 트레비소 및 겨자채 등, 9가지의 식물에 대한 유인 또는 기피효과를 평가하였다. 10종의 유인 및 기피식물 중에서, 호밀과 치커리는 갈색날개노린재와 비단노린재를 각각 강하게 유인하였다. 진딧물은 다른 식물보다 호밀에 선택적으로 유인되었다. 겨자채는 비단노린재, 갈색날개노린재 순으로 유인하였다. 비단노린재는 상추와 부추 혼작처리에 유인되었다. 유기농 배추포장에서 쑥갓, 트레비소, 청겨자의 단독 또는 혼합처리는 배추잎벌레, 배추좀나방, 비단노린재, 진딧물, 갈색날개노린재의 발생을 강하게 기피하였다. 상기 결과들은 선발한 해충 유인 및 기피식물은 배추의 종합적 해충방제를 위한 인자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