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rginal value of product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6초

업종별 공업용수의 한계생산가치 및 가격탄력성 추정 연구 (The Study on the Marginal Product Value and Price Elasticity of Disaggregated Industrial Water)

  • 민동기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0권11호
    • /
    • pp.869-876
    • /
    • 2007
  • 본 연구는 수자원정책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판단 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업종별 공업용수의 한계생산가치 및 공업용수의 가격탄력성을 추정하였다. 두 가지 형태의 생산함수를 설정하여 추정한 공업용수의 한계가치 및 가격탄력성을 추정 결과를 보면 공업용수의 한계가치는 산업별로 차이가 있으나 공업용수의 평균 가격에 비하여 매우 큰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가격탄력성 추정결과는 가격 현실화 정책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선택형 실험을 이용한 신제품 멀티크림의 가치 분석 (An Analysis of the Value of New Product Multi Cream Using Choice Experiment)

  • 이상학;최세현;하현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1390-1395
    • /
    • 2014
  • 본 연구는 대학에서 새로이 개발한 멀티크림의 속성별 가치를 추정하여 신제품의 가격을 책정하고 제품 개발 방향을 설정하는 등 마케팅 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분석 방법으로는 선택형 실험을 이용하였으며, 조건부 로짓 모형을 추정하여 브랜드, 용기 형태, 기능성, 가격 등 각 속성별 한계지불의사금액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소비자의 한계지불의사금액은 브랜드에 있어서는 대기업이 개당 21,754원, 중소기업이 11,033원, 대학은 16,178원으로 나타났으며, 기능성에 있어서 보습효과 강화는 7,476원, 주름개선효과 강화는 12,107원으로 추정되었다. 대학 브랜드가 중소기업 브랜드보다 선호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대학과 중소기업이 협력하여 공동으로 사업을 추진할 경우 저가 브랜드 시장에서 경쟁력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보습효과나 주름개선효과 등 기능성을 강화한 제품을 개발할 필요도 있다.

청대추칩의 속성별 소비자 가치 추정 (Estimation of Consumers Valuation by Attributes of Green Jujube Chip)

  • 하현정;이상학;최세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4830-4836
    • /
    • 2013
  • 본 연구는 "청대추칩"이라는 신제품의 제품 개발 방향 설정을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청대추칩의 속성별 소비자 가치추정을 실시하였다. 방법적으로는 선택형 실험(Choice Experiment)을 이용하였으며, 조건부 로짓 모형을 추정하여 각 속성별 지불의사금액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중소기업 제품은 1,333원/개, 대기업은 1,752원/개, 대학은 1,703원/개, 포장 단위는 350원/개, 원료 등급은 548원/개, HACCP은 1,322원/개, ISO22000은 1,166원/개로 추정되었다. 대학 브랜드의 지불의사금액은 중소기업 브랜드보다는 높고 대기업 브랜드보다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 브랜드 제품을 다소 고급제품으로 인식하고 있으므로 이에 걸맞는 제품을 개발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우선적으로 HACCP을 취득할 필요가 있고 우수한 원료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산업단지 내 공업용수 공급의 경제적 가치 및 한계생산가치 변동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Economic Value and Variance on Water Supply in Industrial Complexes)

  • 김길호;김덕환;김경탁;김형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90-200
    • /
    • 2018
  • 본 연구는 공업용수 공급사업에 따른 경제적 가치를 확인하기 위하여 생산함수 접근법에 기반한 한계생산가치를 추정하였다. 이를 위해 Cobb-Douglas, Translog, Sector 더미변수를 포함한 Trasnslog 생산함수를 기준으로 11개 산업유형별로 구분된 4가지 자료세트(Case)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전 산업 평균 한계생산가치는 각각 3,217~5,357원/ton, 2,994~4,569원/ton, 3,620~5,342원/ton로 나타났으며, 산업유형별 결과는 가구 및 기타제조 산업에서 가장 크게 추정되었고, 섬유 가죽산업에서 가장 낮은 한계생산가치를 보였다. 전체적으로 Cobb-Douglas 함수에 의한 결과가 높게 나타났으며, 자료세트에 따른 변동성 또한 Cobb-Douglas 함수에서 크게 나타났다. 생활용수에 비해 공업용수의 경제적 가치에 관한 연구는 그동안 미흡하였으나, 향후 활발한 연구를 통해 다학제간 합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재활용산업에 대한 공공융자지원사업 효과분석에 관한 소고 (A Note on the Impact of Public Financing for Recycling Firms on Output)

  • 곽승준;유승훈;김찬준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11권2호
    • /
    • pp.279-290
    • /
    • 2002
  • This paper explores the impact of public financing for recycling firms on output, using a specific case study of Korea. To this end, we employ a production function approach and apply generalized method of moment estimation technique. The results show that the impact appears to be not only positive but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more interestingly the estimate for financed capital is numerically larger than that for non-financed capital.

  • PDF

공업용수의 수종별 경제적 가치 추정 (Economic Value of Industrial Water Use)

  • 이주석;박선영;류문현;유승훈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5권4호
    • /
    • pp.373-381
    • /
    • 2012
  • 공업용수의 경제적 가치에 대한 정보는 학술적 연구 분야뿐만 아니라 정책평가 영역에서도 광범위하게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제이론에 근거하여 수종별 공업용수의 경제적 가치를 추정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전국 국가산업단지 및 지방산업단지 등에 위치한제조업체 1,017개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한 자료를 이용하여 공업용수의 경제적 가치를 추정을 시도하되 원수 침전수 정수 등 수종별로 구분된 경제적 가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2010년 말 기준 공업용수의 수종별 한계생산가치는 정수가 1,861.95(원/$m^3$), 침전수가 896.76(원/$m^3$), 원수가 769.24(원/$m^3$)로 추정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한국개발연구원이 수자원부문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 수정 보완 연구(제4판)의 보완을 위한 공업용수 공급편익 산정요령 가이드라인(2011)에서 2003년 산업총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로 제시한 공업용수 침전수의 한계생산가치885.1원/$m^3$(침전수, 2010년 말기준)과 비교할 때 별 차이가 없다. 이러한 점은 현재 한국개발연구원에서 현재 적용하고 있는 공업용수 침전수의 공급편익 원단위가 적절함을 시사한다.

전남 동부 지역 음식점들에 대한 관광객 선호도 평가 (Measuring the Tourist Preference for Restaurants in Eastern Area of Jeonnam)

  • 강종헌;정항진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10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estimated coefficient and marginal willingness to pay of attribute level: origin logo, origin description, traditional food, fusion food, service guarantee, and price, which influence tourist preference for restaurants. Also, the study identified the attribute which confers the highest importance to tourists. Conjoint experiment and the ordinal probit model were used for this study. A total of 210 surveys were conducted by tourists.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s of all attributes on tourist preference for restauran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ourists regarded an origin logo as the very important attribute, and were more willing to pay for the case where the menu contained origin logo. These findings suggested new marketing opportunities for restaurant managers. Although this study provides some evidence on the value of the local product brand to tourists, a similar measure has not been developed for local residents. This is an area in need of future research.

  • PDF

The Use of Preferences under the EU - Korea FTA

  • Gulczynski, Michal;Nilsson, Lars
    • Journal of Korea Trade
    • /
    • 제23권5호
    • /
    • pp.66-86
    • /
    • 2019
  • Purpose - This paper describes the use of trade preferences under the EU-Korea free trade agreement (FTA) and empirically examines potential reasons for the less than full use, using data on daily EU imports from Korea at the product level. Design/methodology - We employ a probit model to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 of trade preferences on the one hand and variables such as potential duty savings, rules of origi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good traded (intermediate input or final product) on the other. Findings - The paper finds that EU imports from Korea make good use of trade preferences with an overall preference utilisation rate of close to 90% in 2016, which is up from about 80% in 2012. It further shows that potential duty savings influence preference utilisation positively and that more than one quarter of the observations in our sample made use of preferences under EU-Korea FTA in 2012, despite duty savings standing at €10 or less. Originality/value - The finding that a non-negligible share of observations use preferences even when the duty savings are low has not yet figured in the literature. We further show how preference utilisation rates differ by importing EU Member State and by section of the Harmonised System and estimate the marginal impact of an increase in potential duty savings on the preference utilisation rate by broad product group, which is novel.

제조업 생산에 대한 공업용수의 한계생산가치와 가격탄력성 연구 (Estimating the Contribution of Industrial Water on Output and Price Elasticities in Manufacture)

  • 민동기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15권5호
    • /
    • pp.961-974
    • /
    • 2006
  • 본 연구는 공업용수 수요관리 정책의 효율성을 제고시키는 정책결정의 토대를 제공하기 위하여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투입요소로서의 공업용수의 역할을 나타내는 산출에 대한 공업용수탄력성을 추정하고 공업용수 수요관리 정책 효과의 평가 수단으로 공업용수 수요량의 가격탄력성을 추정한다. 이러한 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해외에서 진행된 산출의 공업용수탄력성 및 가격탄력성 추정 연구 사례에 대하여 살펴보고 생산함수를 이용하여 산출에 대한 공업용수 및 가격탄력성을 추정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공업용수탄력성은 노동 및 중간투입재와 같은 다른 투입요소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값으로 추정되었다. 그리고 이 공업용수탄력성을 이용하여 추정한 공업용수의 한계가치는 공업용수의 평균가격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가격탄력성 추정에서는 용수의 평균가격을 이용하여 추정하는 방법의 한계를 극복하는 방안으로 Translog 생산함수를 이용하여 공업용수 수요량의 가격탄력성을 추정하였다. 이 추정치는 비탄력적이지만 음의 값을 가져 수요관리를 위한 공업용수가격 정책이 어느 정도 용수 사용량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

  • PDF

Service Matters: Capital Misallocation and Sectoral Economic Growth

  • WOO JIN CHOI;WOO JIN ROH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45권1호
    • /
    • pp.1-32
    • /
    • 2023
  • Growth of the Korean economy has been sluggish, and this situation is more pronounced in the service sector. We argue that capital misallocation, especially in the service sector, could contribute to this slowdown. Utilizing firm and sectoral level data, first we assess the rising dispersion of the marginal revenue product of capital (MRPK) driven by the service sector. This could represent a widening misallocation of capital. Furthermore, a panel regression shows that within-sector misallocations at the sectoral level are closely correlated with the lower growth rate of sectoral real value added. Again, this is mainly observed in the service sector, but not in the manufacturing sector. Misallocations of other resources, labor and the intermediate inputs do not stand ou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