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imating the Contribution of Industrial Water on Output and Price Elasticities in Manufacture

제조업 생산에 대한 공업용수의 한계생산가치와 가격탄력성 연구

  • Published : 2006.12.29

Abstract

This paper estimates output and price elasticities of the industrial water in order to provide the government with tools that help make educated decisions with regard with the water provision policies rendering the latter more efficient. The estimated output elasticity produces useful insights on the role of industrial water as an input into the production process while the estimate of price elasticity enablesus to forecast the effects of various water pricing policies. This paper employs the marginal productivity method in order to estimate the abovementioned elasticities. The magnitude of the estimated output elasticity imply that the value of industrial water is much higher than its average price while the price elasticity estimate suggests that the water pricing policy can be an effective tool of controlling the demand for industrial water.

본 연구는 공업용수 수요관리 정책의 효율성을 제고시키는 정책결정의 토대를 제공하기 위하여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투입요소로서의 공업용수의 역할을 나타내는 산출에 대한 공업용수탄력성을 추정하고 공업용수 수요관리 정책 효과의 평가 수단으로 공업용수 수요량의 가격탄력성을 추정한다. 이러한 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해외에서 진행된 산출의 공업용수탄력성 및 가격탄력성 추정 연구 사례에 대하여 살펴보고 생산함수를 이용하여 산출에 대한 공업용수 및 가격탄력성을 추정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공업용수탄력성은 노동 및 중간투입재와 같은 다른 투입요소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값으로 추정되었다. 그리고 이 공업용수탄력성을 이용하여 추정한 공업용수의 한계가치는 공업용수의 평균가격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가격탄력성 추정에서는 용수의 평균가격을 이용하여 추정하는 방법의 한계를 극복하는 방안으로 Translog 생산함수를 이용하여 공업용수 수요량의 가격탄력성을 추정하였다. 이 추정치는 비탄력적이지만 음의 값을 가져 수요관리를 위한 공업용수가격 정책이 어느 정도 용수 사용량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