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rgin of error

검색결과 265건 처리시간 0.033초

서포트 벡터 기계에서 TOTAL MARGIN을 이용한 일반화 오차 경계의 개선 (Improving the Generalization Error Bound using Total margin in Support Vector Machines)

  • 윤민
    • 응용통계연구
    • /
    • 제17권1호
    • /
    • pp.75-88
    • /
    • 2004
  • 서포트 벡터 기계(Support Vector Machines, SVMs) 알고리즘은 표본 점들과 분리 초평면 사이의 최소 거리를 최대화하는 것에 관심을 가져왔다. 본 논문은 모든 데이터 점들과 분리 초평면 사이의 거리들을 고려하는 total margin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기존의 서포트 벡터 기계 알고리즘을 확장하고, 일반화 오차 경계를 개선하게 된다. 새롭게 제안하는 total margin알고리즘이 기존 방법들과의 비교를 통하여 더욱 우수한 수행능력을 가지고 있음을 수치 예제들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서포트 벡터 기계에서 잡음 영향의 효과적 조절 (Support Vector Machines Controlling Noise Influence Effectively)

  • 김철응;윤민
    • 응용통계연구
    • /
    • 제16권2호
    • /
    • pp.261-271
    • /
    • 2003
  • 서포트 벡터 기계(Support Vector Machines, SVMs)에서의 일반화 오차의 경계는 훈련점들과 분리 초평면 사이의 최소의 거리에 의존한다. 특히, 소프트 마진 알고리즘은 목표 마진과 slack 벡터의 놈들에 의하여 경계가 결정된다. 이 논문에서는, 자료들에 있어서 잡음들에 의한 오염들을 직접적으로 고려하는 새로운 소프트 마진 알고리즘을 공식화하였다. 그리고, 수치적 예제를 통하여, 제안된 방법과 기존의 소프트 마진 알고리즘을 비교하였다.

An Adaptively Segmented Forward Problem Based Non-Blind Deconvolution Technique for Analyzing SRAM Margin Variation Effects

  • Somha, Worawit;Yamauchi, Hiroyuki
    • JSTS:Journal of Semiconductor Technology and Science
    • /
    • 제14권4호
    • /
    • pp.365-375
    • /
    • 2014
  • This paper proposes an abnormal V-shaped-error-free non-blind deconvolution technique featuring an adaptively segmented forward-problem based iterative deconvolution (ASDCN) process. Unlike the algebraic based inverse operations, this eliminates any operations of differential and division by zero to successfully circumvent the issue on the abnormal V-shaped error. This effectiveness has been demonstrated for the first time with applying to a real analysis for the effects of the Random Telegraph Noise (RTN) and/or Random Dopant Fluctuation (RDF) on the overall SRAM margin variations. It has been shown that the proposed ASDCN technique can reduce its relative errors of RTN deconvolution by $10^{13}$ to $10^{15}$ fold, which are good enough for avoiding the abnormal ringing errors in the RTN deconvolution process. This enables to suppress the cdf error of the convolution of the RTN with the RDF (i.e., fail-bit-count error) to $1/10^{10}$ error for the conventional algorithm.

수 Gbps 고속 인터페이스의 오류검출을 위한 자가내장측정법의 가속화 연구 (A Study on Accelerated Built-in Self Test for Error Detecting in Multi-Gbps High Speed Interfaces)

  • 노준완;권기원;전정훈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49권12호
    • /
    • pp.226-233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고속 인터페이스 비트오류율(BER, Bit Error Rate)의 수학적 모델을 기반으로, 간단하고 정확하게 시간마진을 추정할 수 있는 '선형 근사화 추정법(linear approximation method)'을 제안하였다. 기존의 Q-factor를 이용한 추정법과 제안한 선형 근사화 추정법을 이용하여 $10^{-13}$ 이하의 BER을 얻기 위한 시간마진을 추정한 결과는 실측한 값과 비교할 때 약 0.03UI 정도의 작은 오차를 갖는다. 이 중 선형 근사화를 이용한 가속 자가내장측정법(built-in self test)을 내부 BERT(BER Tester)를 포함한 하드웨어로 구현하였다. 3Gbps, 95% 신뢰 수준에서 $10^{-13}$ BER 기준의 시간마진을 직접 측정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약 5.6시간인데 반해, 가속 자가내장측정법은 0.6초 이내에 유사한 정확도로 시간마진을 추정한다. 시간마진 추정치는 시간마진을 내부 BERT로 직접 측정한 값과 0.045UI 이하의 작은 오차를 보였다.

$K^n$ 요인배치법에서 포화실험에 의한 요인효과의 검정 (Tests of Factor Effect Using Saturated Design in $K^n$ Factorial Design)

  • 최성운
    • 대한안전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95-299
    • /
    • 2008
  • This paper discusses tests of factor effect or contrast by the use of saturated design $k^n$ factorial design. The nine nonparametric rank measures in normality test using normal probability pot are proposed. Length's PSE(Pseduo Standard Error) test [4] which relies on the concept of effect sparsity is also introduced and extended to the margin of error(ME) and Simultaneous margin of error(SME).

  • PDF

환자 SET-UP ERROR에 따른 선량분포와 DVH 변화 분석 (The dose distribution and DVH change analysis wing to effect of the patient setup error)

  • 김경태;주상규;안재홍;박영환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81-89
    • /
    • 2004
  • 목적 : 방사선 치료에서 환자와 근무자에 의한 setup error등은 치료성적이 결정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라고 볼 수 있다. 이에 환자와 근무자에 의한 SET-UP ERROR가 환자치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실험은 human phantom을 이용하여 C-T scan시 Left방향의 Lateral Level을 0mm, 3mm, 5mm, 7mm, 10mm, 15mm, 20mm로 변화시켜 SET-UP ERROR를 유발하였고, 각각에 대하여 C-T scan을 시행하였고, SET-UP ERROR가 유발된 각각의 C-T image를 얻어 RTP장비를 이용하여 임상에서 많이 사용되는 plan을 사용하여 7개의 C-T image에 각각의 plan-대향이문조사plan, Box-4문조사plan, 3Dimension plan-3개를 시행하여 총 21개의 plan을 실시하였다. (CTV+1cm margin, CTV+0.5cm margin, CTV+0.3cm margin = PTV) 이렇게 얻어진 plan을 이용하여 SET-UP ERROR가 유발이 안된 0mm image의 plan 3개와 SET-UP ERROR가 있는 6개 image의 총 18개의 plan을 대향이문조사plan, Box4문조사plan, 3Dimension plan으로 나누어 선량분포와 DVH를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SET-UP ERROR를 유발시킨 3mm, 5mm, 7mm C-T image에서는 대향이문조사plan을 제외하고는 모든 plan에서 충분히 치료에 영향을 미칠만한 변화가 나타났으며, Box4문조사plan에서는 SET-UP ERROR에 의한 CTV가 Field 밖으로 빠짐으로 선량분포와 DVH가 나빠지는 현상이 나타났다. 결론 : 환자의 움직임, CTV 3차원형태, CTV margin등이 치료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영향을 줄이기 위해서는 환자의 긴장감과 움직임을 줄일 수 있는 환자교육과 정확한 환자setup능력이 치료의 승패를 좌우한다고 생각된다. 또한 재현성과 움직임을 줄일 수 있는 accessory 개발과 보급이 중요하다.

  • PDF

몬테칼로 전산모사를 이용한 셋업오차가 임상표적체적에 전달되는 선량과 셋업마진에 대하여 미치는 영향 평가 (Evaluation of Setup Uncertainty on the CTV Dose and Setup Margin Using Monte Carlo Simulation)

  • 조일성;곽정원;조병철;김종훈;안승도;박성호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3권2호
    • /
    • pp.81-90
    • /
    • 2012
  • 방사선 치료에서 부정확한 환자 셋업이 표적에 전달되는 선량에 미치는 영향과 치료 마진과의 연관성을 몬테칼로 기법을 사용한 전산모사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실제 방사선 치료를 받은 직장암 환자에 대한 임상표적체적(CTV: Clinical Target Volume) 및 주요장기의 구조와 치료계획 시스템(Eclipse 8.9, USA)을 이용하여 수립된 세기조절 방사선치료계획에서의 선량분포에 대한 데이터를 전산모사에서 사용하였다. 전산모사 프로그램은 리눅스환경에서 오픈소스인 ROOT 라이브러리와 GCC를 기반으로 본 연구를 위하여 개발되었다. 환자셋업오차의 확률분포를 정규분포로 가정한 것에 따라 무작위로 생성된 크기만큼 셋업이 부정확한 경우를 모사하여 임상표적체적에서의 선량분포의 변화와 오차크기에 따른 마진크기를 3차원입체조형 방사선치료에 사용되는 마진공식과 비교분석 하였다. 셋업오차 생성에 사용된 정규분포의 표준편차 크기는 1 mm부터 10 mm까지 1 mm간격으로 두었으며 계통오차와 통계오차별로 2,000번 전산모사했다. 계통오차의 경우 전산모사에 사용된 표준편차가 커질수록 임상표적체적에 조사되는 최소선량 $D_{min}^{stat{\cdot}}$은 100.4%에서 72.50%로 감소하였고 평균선량 $\bar{D}_{syst{\cdot}}$도 100.45%에서 97.88%로 감소한 반면에 표준편차${\Delta}D_{sys}$는 0.02%에서 3.33%로 증가하였다. 통계오차의 경우 최소선량 $D_{min}^{rand{\cdot}}$은 100.45%에서 94.80%감소하였고 평균선량 $\bar{D}_{syst{\cdot}}$도 100.46%에서 97.87%로 감소하였으며 표준편차 ${\Delta}D_{rand}$는 0.01%에서 0.63%로 증가하였다. 그리고 마진공식으로부터 전산모사에 사용된 셋업오차에 해당되는 마진크기를 구하고 모집단비율(population ratio)을 정의하여 기존 마진공식의 목적이 세기조절방사선치료에 만족함을 확인했다. 개발된 전산모사 프로그램은 해당 환자의 치료계획 정보를 직접 사용하므로 직장암만 아니라 두경부암, 전립선암 등 여러 환부에 적용 가능하며 셋업오차 및 선량변화에 연관된 연구에도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LVDT 출력 분기에 따른 신호 감쇠 현상 연구 (A Study for Signal Attenuation as splicing the output on LVDT)

  • 권종광;김환우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89-98
    • /
    • 2006
  • This paper describes signal attenuation characteristics as splicing the output on LVDT for stability and reliability of switching mechanism, which is developed to use common signal between FLCC and EDFLCC, on T-50 aircraft. The method of test is classified a Pspice simulation and an actual hardware evaluation. The difference of error margin for two methods is 10times, the latter higher. The result in this experiment shows that the signal attenuation as splicing the output on LVDT doesn't affect and the static error margin is 53% for develope the EDFLCC.

위성 통신 링크에서 강우 감쇠 보상을 위한 신호 레벨 예측기법 (A Signal-Level Prediction Scheme for Rain-Attenuation Compensation in Satellite Communication Linkes)

  • 임광재;황정환;김수영;이수인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6A호
    • /
    • pp.782-793
    • /
    • 2000
  • 본 논문은 10GHz이상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위성 통신 링크에서 강우에 의해 감쇠된 신호 레벨을 동적으로 예측하기 위한 비교적 간단한 예측 기법을 제시한다. 예측 기법은 이산시간 저역 통과 필터링, 기울기에 근거한 예측, 평균 오차 보정, 고정 및 가변 혼합 예측 여유 할당의 4가지 기능 블록을 갖는다. Ku 대역의 측정 데이터로부터 주파수 스케일링에 의해 얻어진 Ka 대역 강우 감쇠 데이터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평균 오차 보정을 갖는 기울기 예측 기법은 1dB 이하의 표준 편차를 가지며, 평균 오차 보정에 의해 약 1.5~2.5 배의 예측 오차 감소를 보인다. 요구되는 평균 여유 면에서, 혼합 예측 여유 할당은 고정 여유 방법과 가변 여유 방법에 비해 더 적은 평균 여유를 요구한다.

  • PDF

LQ 조절기의 안정도 영역에 관한 연구 : 시간 영역에서의 해석 (A Study on the Stability Magin of the LQ Regulator : Time Domain Analysis)

  • 김상우;권욱현;이상정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1987년도 한국자동제어학술회의논문집; 한국과학기술대학, 충남; 16-17 Oct. 1987
    • /
    • pp.125-129
    • /
    • 1987
  • The stability margin of the LQ regulator is investigated in the time domain. it is shown that the same guaranteed gain margin as that of the frequency domain analysis can be obtained with simple assumptions for the continuous time systems. It is also shown that the allowable modelling error bound can be expressed in terms of system matrices and Riccati equation solution. Guaranteed qain. margin and the allowable modelling error bound for the discrete time systems are also obtained by the similar procedures. In this case, through the some examples, the gain margin is shown to be less conservative than the frequency domain analysis resul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