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rbled flounder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초

Milt Properties of Four Flatfish Species and Fine Structure of Their Cryopreserved Spermatozoa

  • Chang Yun Jeong;Chang Young Ji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5권2호
    • /
    • pp.87-96
    • /
    • 2002
  •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fresh milt of marbled sole, Limanda yokohamae, brown sole, Limanda herzensteini, starry flounder, Platichthys stellatus and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among flatfishes, and the fine structure of their cryopresserved spermatozoa were investigated.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sperm among these four species was $3.60\pm1.35\times10^{10}/mL$ in marbled sole. Osmolality and pH of seminal plasma in four flatfish species were approximately 330 mOsm/kg and 7.6-8.1, respectively. Seminal plasma compositions showed interspecific differences. The sperm heads of marbled sole, brown sole and starry flounder were ellipsoidal and that of olive flounder was round. The numbers of mitochondria of these four species were eight in marbled sole, seven in brown sole and starry flounder, and six in olive flounder. Cross-sectional view of flagellum showed typical 9+ 2 structure in all species. Most of sperms cryopreserved with a proper method had no visible ultrastructural changes after freeze-thawing, compared with the fresh sperm, but in a few cases, swelling of their heads and midpiece regions were observed.

Cold Storage of Milt from Four Species of Flatfish

  • Chang Yun Jeong;Chang Young Jin;Lim Han Kyu;Lee Jong Kwan;Park Young Je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5권1호
    • /
    • pp.64-74
    • /
    • 2002
  • The proper conditions for cold storage of milt in four species of flatfish were investigated. Various diluents were tested for the preservation of marbled sole, brown sole, starry flounder and olive flounder milt at $1\pm0.5^{\circ}C$ for 7 days. The most effective diluent was $1\%$ NaCl for marbled sole and Stein's extender for brown sole, starry flounder and olive flounder. After 7 days of storage in different dilution ratios (milt: diluent), marbled sole milt diluted with 1:3-10 and brown sole, starry flounder and olive flounder milt diluted 1:1-10 maintained good sperm activity index (SAI). SAI was affected by storage volume and presence of antibiotic. SAI was lower after 7 days storage in the volume of 1.5 mL than in 0.5 or 1.0 mL. SAI after 29 days storage was markedly enhanced by addition of antibiotic in marbled sole (400 ppm gentamicin, 400 ppm neomycin, 200-400 ppm streptomycin), brown sole (600 ppm gentamicin), starry flounder (1,000 ppm gentamicin) and olive flounder (200-1,000 ppm gentamicin, 200-400 ppm neomycin, 200-1,000 ppm streptomycin).

문치가자미 RNA/DNA의 일주기적 변화 (Circadian Variation of the RNA/DNA Ratios in Marbled Flounder Pleuronectes yokohamae)

  • 곽우석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67-272
    • /
    • 2010
  • 문치가자미 Pleuronectes yokohamae의 RNA/DNA비 일주기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부화후 89일, 전장 $23.2{\pm}0.2mm$의 치어를 48시간 동안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채집하였다. RNA/DNA비는 주간(0800, 1100, 1400, 1700)에 높았고 야간(2000, 2300, 0200, 0500 hours)에는 낮게 나타났다. 이번 연구결과에서 문치가자미의 생화학적 일주기 변화를 확인하였고, 이와 같은 RNA/DNA비의 일주기적 변화를 고려하여 시료 채집시간 결정을 포함한 시료채집 계획작성과 data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국 서해에 출현하는 문치가자미(Pseudopleuronectes yokohamae)의 식성 (Feeding Habits of the Marbled Flounder Pseudopleuronectes yokohamae in the West Sea in Korea)

  • 노태형;최동혁;이승환;권대현;한경호;김맹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5권5호
    • /
    • pp.583-589
    • /
    • 2022
  • The feeding habits of the marbled flounder Pseudopleuronectes yokohamae were studied using 384 specimens (10.7-52.3 cm in total length) collected from the West Sea, Korea between January and December 2021. P. yokohamae ate mainly polychaeta and gastropoda, incuding teleostei, caridea, euphausiacea, amphipoda and brachyura. The mean number of preys per stomach (mN/ST)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nd the mean weight of prey per stomach (mW/ST) increased as the total length increased. P. yokohamae ate mainly teleostei in spring and winter. P. yokohamae ate mainly euphausiacea in summer and mainly polychaeta in autumn.

문치가자미(Pseudopleuronectes yokohamae) 치어의 이석 일륜을 이용한 성장 및 산란시기 추정 (Estimation of Early Growth and Spawning Period of Marbled Flounder (Pseudopleuronectes yokohamae) in the Water off Namhae of Korea as Indicated from Daily Growth Increments in Otoliths)

  • 주형운;곽우석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9권1호
    • /
    • pp.35-40
    • /
    • 2014
  • 2011년 2월부터 5월까지 경남 남해군 연안에서 소형 Beam trawl에 채집된 문치가자미 치어 이석을 관찰 분석하여 부화시기와 초기성장을 추정하였다. 문치가자미 치어는 2011년 2월에서 5월까지 총 175개체가 채집되었며, 체장-체중 관계식은 $W=9.76^*10^{-8}L^{4.39}$ ($r^2=0.93$)를, 체장-이석경 관계식은 L=0.0795R+0.2249 ($r^2=0.92$)로 추정되었다. 체장 성장은 $L_t=135{\exp}\{-{\exp}[0.0103(t-116)]\}$ ($r^2=0.83$)로 Gompertz 성장식이 가장 유의하게 회귀되었다. 이석 일령으로부터 추정한 주 산란시기는 12월에서 1월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동해 포항 연안 문치가자미(Pseudopleuronectes yokohamae)의 연령과 성장 (The Age and Growth of Marbled Flounder Pseudopleuronectes yokohamae in the Coastal Waters of East Sea off Pohang)

  • 양재형;이해원;이재봉;차형기;김성태;윤병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278-286
    • /
    • 2017
  • The age and growth of marbled flounder Pseudopleuronectes yokohamae in coastal waters of the East Sea of Korea off Pohang were determined, by evaluating monthly samples of commercial catches, caught by gill nets and longlines from February 2013 to January 2014. New annuli from annually in P. yokohamae otoliths, and the boundary between the opaque and translucent zones forms from March to May. The relationships between total length (TL) and total weight (TW) were $TW=0.009TL^{3.128}$ ($R^2=0.969$) for females and $TW=0.008TL^{3.150}$ ($R^2=0.964$) for males. The TLs at the time of annulus formation, back-calculated from the otolith-length relationship by reference to the von Bertalanffy growth curves, were $L_t=52.63$ ($1-{\exp}^{(-0.231(t+0.033))}$) for females and $L_t=36.22$ ($1-{\exp}^{(-0.400(t+0.117))}$) for males. Commencing at the age of 3 years, females grew faster than males (P<0.05).

통영주변해역에 서식하는 문치가자미(Pleuronectes yokohamae)의 식성 (Feeding Habits of the Marbled Flounder, Peluronectes yokohamae in the Coastal Waters off Tongyeong, Korea)

  • 허성회;남기문;박주면;정재묵;백근욱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77-83
    • /
    • 2012
  • 통영주변해역에서 2010년 1월부터 12월까지 문치가자미 395개체를 채집하여 위내용물을 분석하였다. 채집된 개체는 표준체장 10.5~38.8 cm의 체장범위를 나타내었다. 문치가자미는 저서성 육식어류로써 주로 이매패류, 단각류, 갯지렁이류를 섭식하였고, 그 외 약간의 유형동물류, 산호충류, 등각류, 요각류, 주걱벌레붙이류, 새우류, 게류, 거미불가사리류를 섭식하였다. 문치가자미는 generalized feeder의 섭식전략을 나타냈고, 체장이 커짐에 따른 주 먹이생물의 변화는 나타내지 않았으며, 먹이생물의 크기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동해 포항 연안 문치가자미(Pseudopleuronectes yokohamae)의 성숙과 산란 (Maturity and Spawning of the Marbled Flounder Pseudopleuronectes yokohamae off the Coast of Pohang, East Sea)

  • 김소라;차형기;이재봉;이해원;양재형;백혜자;김성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367-375
    • /
    • 2016
  • Marbled flounder Pseudopleuronectes yokohamae is a commercially important flatfish in the coastal waters of the East Sea off Pohang, Korea. Maturity and spawning dynamics of P. yokohamae were investigated based on samples collected by gill net and long line in the coastal waters off Pohang from January 2013 to December 2014. We analyzed monthly changes in maturity stage, gonadosomatic index (GSI), egg diameter, fecundity, and total length at 50% group maturity. We found that the spawning period was December to February, wherein fecundity ranged from 55,760 eggs at 20.40 cm total length (TL) to 1,559,007 eggs at 46.6 cm TL. The relationship between TL and fecundity (F) was F = 0.0017 TL3.5604 (R2 = 0.6984), and F increased with increasing TL. We estimated the TL at 50% group maturity as 27.4 cm for female and 23.5 cm for male P. yokohamae, respectively. The results from this research will aid in the development of policies on season and minimum catch length for sustainable production of P. yokohamae. We propose that it is necessary to conduct long-term ecological monitoring for this species because biological properties such as spawning ecology and growth performance are being affected by climate change.

미토콘드리아 DNA에 의한 붕넙치과 어류 4종간의 염기치환수 (The Number of Nucleotide Substitutions per Sites of Mitochondrial DNA in the Four Pleuronectid Species)

  • 박중연;김윤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649-658
    • /
    • 1995
  • 붕넙치과 어류의 종간에 있어서의 유전적 분화정도를 DNA level에서 관찰하기 위하여 참가자미, 문치가자미, 돌가자미, 강가자미의 미토콘드리아 DNA를 분리하고, 6염기인식의 14제한효소로써 절단한 절단단편의 염기치환수를 계산하였다. 1) mtDNA 총염기대수는 4종 모두 17.6kbp 부근으로 나타나 동일한 염기대수를 가지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2) 14종류의 제한효소로써 절단한 절단단편의 pattern으로 4종의 종내 및 종간의 haplotype수를 조사한 결과, 참가자미에서는 10개, 문치가자미에서는 4개, 강가자미에서는 2개, 돌가자미에서는 1개의 haplotype이 관찰되었으며, 종간에 있어서는 공통적인 haplotype가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3) mtDNA의 유전적 변이성을 나타내는 haplotype 다양도 (h)는 참가자미에서 0.588, 문치가자미에서 0.371로 나타나 참가자미에서 높은 변이성을 나타내었다. 4) 4종의 유전적 분화의 정도를 mtDNA haplotype간의 제한 부위당 염기치환수 (d)로써 살펴 본 결과, 종내의 평균은 0.0045, 종간의 평균은 0.0344, 속간의 평균은 0.0457로 되어 종간, 속간의 값이 종내에 비해 현저하게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5) 4종간의 mtDNA haplotype는 1개 또는 2개의 염기치환에 의한 차이가 아니고 유전적 불연속을 나타내었다.

  • PDF

가자미류 육엑스분중의 아미노산 및 그 관련화합물의 분포와 가열조건에 따른 변화 (Distribution and Changes of Amino Acids and Related Compounds in the Muscle Extract of the Right-eye Flounder during Heat Treatment)

  • 문수경;안미정;한영실;변재형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6권3호통권12호
    • /
    • pp.43-50
    • /
    • 1990
  • 우리나라 연안에서 어획되는 7종 가자미류를 대상으로 육 엑스분에서 아미노산 및 그 관련화합물의 분포를 측정 비교하였다. 그중 어획이 많은 층거리가자미의 경우는 다른 것에 비해 그 육 엑스분 중의 질소함량이 비교적 높은 편이었다. 가열시간과 온도의 변화에 따른 층거리가자미의 아미노산 및 그 관련화합물의 함량을 분석·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7종 가자미류 육중에는 조단백질이 $17.54{\sim}19.99%$, 그리고 순단백질은 $15.63{\sim}17.95%$가 함유되어 있었고, 그 엑스분 중의 질소함량이 가장 높은 어종은 돌가자미로 2.12%였다. 2) 생육에서 추출한 엑스분 중의 아미노산 및 그 관련 화합물의 조성은 7종 가자미에서 공통적으로 taurine이 전체의 $29.4{\sim}56.9%$로서 그 함량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alanine이 $6.6{\sim}10.4%$, glycine이 $1.6{\sim}16.7%$로 나타났다. 3) 층거리가자미육을 $100^{\circ}C$에서 30분, 60분, 90분, 120분 그리고 150분간 가열시간을 달리 하였을 때 엑스분 중의 아미노산 및 그 관련화합물의 조성은 alanine의 경우는 미소한 증가를 보였다. 반면에 histidine, lysine, ${\alpha}-aminoadipic\;acid$ 및 proline은 감소하였으며, isoleucine, arginine, phenylalanine 및 DL-allo-hydroxylysine은 함량에 큰 변동이 없었다. 4) 층거리가자미육을 $90^{\circ}C$에서 $130^{\circ}C$까지 $10^{\circ}C$간격으로 가열온도를 달리하여 60분간 가열한 뒤의 아미노산 및 그 관련화합물의 조성은 taurine, alanine 및 leucine은 가열온도가 높을수록 그 함량이 증가하여 $130^{\circ}C$에서 가장 높았다. Histidine, lysine 및 aspartic acid는 가열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그 함량이 감소하였고, threonine, serine, valine 및 phenylalanine은 거의 변동이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