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ntel test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66초

Extension of the Mantel-Haenszel test to bivariate interval censored data

  • Lee, Dong-Hyun;Kim, Yang-Jin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29권4호
    • /
    • pp.403-411
    • /
    • 2022
  • This article presents an independence test between pairs of interval censored failure times. The Mantel-Haenszel test is commonly applied to test the independence between two categorical variables accompanied with a strata variable. Hsu and Prentice (1996) applied a Mantel-Haenszel test to the sequence of 2 × 2 tables formed at the grids which are composed of failure times. In this article, due to unknown failure times, the suitable grid points should be determined and the status of failure and at risk are estimated at those grid points. We also consider a weighted test statistic to bring a more powerful test. Simulation studies are performed to evaluate the power of test statistics under finite samples. The method is applied to analyze two real data sets, mastitis data from milk cows and an age-related eye disease study.

$2\times2$ 분할표를 이용한 조건부 독립성 검정 (A Study on Mante1-Haenszel Test of Conditional Independence)

  • 김지현;임현선
    • 응용통계연구
    • /
    • 제11권2호
    • /
    • pp.257-268
    • /
    • 1998
  • 역학연구에서 두 수준을 갖는 위험인자 X와 이항 반응변수 Y의 관계에 관심을 갖는 경우가 많다. 이 때 두 변수의 상관관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자 Z의 값을 제어함에 따라 X와 Y의 상관관계가 여전히 존재하는지를, 즉 X와 Y의 조건부 독립성을 검정할 필요가 있다 관측값의 수가 많지 않을 때, X와 Y의 조건부 독립성 검정을 위해 Mantel-Haenszel 검 정 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 만 X와 Y의 상관관계가 Z의 수준에 따라 그 방향까지 변할 경우 이 검정은 낮은 검정력을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이 경우에 높은 검정력을 갖는 대안 검정통계량을 제안한다. 대안 검정통계량의 분포에 대해 알아보고 모의실험을 통해 Mantel-Haenszel 검정과 비교해 본다.

  • PDF

Jackknifed Cochran-Mantel-Haenszel Test for Conditional Independence in Sparse $2\tims2\tims$K Tables

  • Jeong, Kwang-Mo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8권1호
    • /
    • pp.51-63
    • /
    • 2001
  • We are interested in the conditional independence in sparse $2\tims2\tims$K tables with very rare cell counts. The most popular test is Cochran-Mantel-Haenszel statistic when sample sizes are moderately large enough to guarantee the chi-square approximation. We will consider jackknifing the CMH test and also suggest an approximate normal distribution for the standardized jackknifed CMH statistic. The main focus of this paper is to improve the chi-squared approximation to the CMH test by using the asymptotic normality of the jackknifed CMH test when sample sizes are very sparse but K and N$\infty$.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jackknifed test, in the sense of significance level control and power, will be compared with that of the CMH test through a Monte Carlo study.

  • PDF

토양 및 지형학적 특성에 따른 영산강유역의 소유역 분류 (Morphological Classification of Unit Basin on Soil & Ge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in Yeongsan River Basin)

  • 손연규;현병근;정석재;허승오;정강호;서명철;하상건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7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46-252
    • /
    • 2007
  • 농업 비점오염원으로부터의 수질 보전이나 수자원 관리는 유역단위로 하여 농업적 관리뿐만 아니라 수질 관리 및 수자원 관리를 위해서도 유역단위 특히, 소유역의 토양특성을 포괄하는 단위로 체계적으로 분류할 필요성이 있다. 우리나라의 남서쪽에 위치한 영산강유역의 50개 소유역을 대상으로 토양도, 지형도, 하천도 및 유역도를 이용하여 만곡도, 산림의 비율, 평탄지의 비율, 다른 소유역으로부터의 유입이 있는지의 여부 등 토양학적으로 중요한 4개의 특성을 가지고 군집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5개의 군으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이 구분의 적합도를 검정하기 위하여 Mantel test를 한 결과 r = 0.81825로 나타나 적합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이와 같이 토양과 지형특성을 포괄하는 소유역의 분류 및 유사성에 따른 그룹화는 농업에서의 최적영농관리나 오염물질에 따른 수질관리, 수문모형의 적용성 확대 및 수자원 관리에 합리적 유용성을 제공할 것이며 체계적 관리의 밑바탕이 될 것이다.

  • PDF

계방산 장기생태조사지에서 10년간 하층식생구조변화 (Changes of Understory Vegetation Structure for 10 Years in Long-Term Ecological Research Site at Mt. Gyebang)

  • 천광일;천정화;양희문;임종환;신준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1호
    • /
    • pp.1-11
    • /
    • 2014
  • 본 연구는 계방산 온대북부 낙엽활엽수림에서 하층식생(관목층과 초본층)의 식생조성 변화를 구명하였다. 조사지에 출현하는 식물은 56과 93속 124종 17변종 3품종 2아종 1미분류군으로 총 146분류군이 조사되었으며, 종면적 곡선에서 초본층과 관목층의 종수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Mantel-test 분석 결과, 상층의 기저면적은 하층의 변화에 영향을 주는 인자 중 하나로 분석되었다(p < 0.0001). 평균중요치는 관목층에서 생강나무(21.585%), 철쭉(19.774%)이 우점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초본층에서는 조릿대(14.082%)와 생강나무(7.921%)가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목층의 NMS 배열 결과, 높은 연관성을 가지는 종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상층의 기저면적 증가에 따라 반응하는 종이 다른 것으로 분석되었다. 초본층 조사구의 NMS 배열 결과, 관목층의 철쭉과 진달래가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MRPP-test에 대한 식생조성의 변화 결과, 관목층은 5년 그리고 10년에 따른 식생조성의 변화가 유의차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초본층은 5년 그리고 10년에 따른 식생조성의 변화가 유의성 있게 분석되어, 하층식생 중 초본층의 종조성은 관목층보다 종조성의 변화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토양 및 지형학적 특성에 따른 영산강유역의 소유역 분류 (Morphological Classification of Unit Basin based on Soil & Ge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in the yeongsangang Basin)

  • 손연규;현병근;정석재;허승오;정강호;서명철;하상건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62-268
    • /
    • 2007
  • 농업 비점오염원으로부터의 수질 보전이나 수자원 관리는 농업적 관리뿐만 아니라 수질관리 및 수자원 관리를 위해서도 유역단위 특히, 소유역의 토양특성을 포괄하는 단위로 체계적으로 분류할 필요성이 있다. 우리나라의 남서쪽에 위치한 영산강유역의 50개 소유역을 대상으로 토양도, 지형도, 하천도 및 유역도를 이용하여 만곡도, 산림의 비율, 평탄지의 비율, 다른 소유역으로부터의 유입 여부 등 토양학적으로 중요한 4개의 특성을 이용하여 군집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5개의 군으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이 구분의 적합도를 검정하기 위하여 Mantel test를 한 결과 r = 0.83으로 나타나 적합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이와 같이 토양과 지형특성을 포괄하는 소유역의 분류 및 유사성에 따른 그룹화는 농업에서의 최적영농관리나 오염물질에 따른 수질관리, 수문모형의 적용성 확대 및 수자원 관리에 합리적 유용성을 제공할 것이며 체계적 관리의 밑바탕이 될 것이다.

Quantile-based Nonparametric Test for Comparing Two Diagnostic Tests

  • Kim, Young-Min;Song, Hae-Hiang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14권3호
    • /
    • pp.609-621
    • /
    • 2007
  • Diagnostic test results, which are approximately normal with a few number of outliers, but non-normal probability distribution, are frequently observed in practice. In the evaluation of two diagnostic tests, Greenhouse and Mantel (1950) proposed a parametric test under the assumption of normality but this test is inappropriate for the above non-normal case. In this paper, we propose a computationally simple nonparametric test that is based on quantile estimators of mean and standard deviation, instead of the moment-based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s in some parametric tests. Parametric and nonparametric tests are compared with simulations under the assumption of, respectively, normality and non-normality, and under various combinations of the probability distributions for the normal and diseased groups.

만경강 수질개선 편익측정을 위한 조건부가치평가에 있어서 범위효과 분석 (Empirical Evidence on Scope Effects in Contingent Valuation of Water Quality Improvement in Man Kyoung River)

  • 엄영숙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10권3호
    • /
    • pp.387-412
    • /
    • 2001
  • This paper is to empirically test scope effects proposed to judge the internal consistency of contingent valuation method. The application was illustrated for the case of estimating people's WTP for improving water quality at Man Kyoung River in the Chon Buk area. The CV survey was carefully designed and implemented by carrying out recommendations from the NOAA Blue Ribbon panel. Using a split sample, we conducted the Cochran-Mantel-Haenszel test with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no responses, calculated the Turnbull low bound mean for WTP, and measured the mean WTP from estimated variation functions. The test results consistently exhibited that the CV estimates of WTP were adequately responsive to the size of water quality changes being offered. The mean WTP for improving water quality suitable for swimming (5,171 and 5,212 won)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at for agricultural use and fishing activity (3,280 and 3,136 won).

  • PDF

울릉도 섬잣나무-솔송나무림의 구조 및 하층식생의 종 다양성 (Structure and Understory Species Diversity of Pinus parviflora - Tsuga sieboldii Forest in Ulleung Island)

  • 조용찬;홍진기;조현제;배관호;김준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0권1호
    • /
    • pp.34-4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울릉도 태하령의 섬잣나무-솔송나무림에서 10개의 영구방형구($10m{\times}10m$) 및 30개의 소방 형구($1m{\times}3m$)를 설치하여 임분구조, 식생조성 및 종다양성을 밝히며 종다양성 모형을 수립하였다. 섬잣나무-솔송나무 임분의 광량은 평균 $3.7mol{\cdot}m^{-2}{\cdot}day^{-1}$, 수관 열림도는 평균 8.6 %로 분석되었다. Mantel 검정 결과, 임분 상층의 구조가 장기적으로 지속되기 어려울 것으로 나타났다. 하층식생의 조성은 지상부의 구조 및 토양 나출도와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었다. 중회귀분석을 통한 종다양성 모형에서 섬잣나무의 양적 요인(단면적 및 밀도) 및 숲 바닥 조건이 유의한 예측변수로 분석되었다. 섬잣나무-솔송나무림의 유지에는 비교적 큰 규모의 교란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종다양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여우꼬리사초 및 큰두루미꽃과 같은 단일 군반을 형성하는 교란지 종의 확장을 제어하는 것이 필요하다.

형제 및 자매의 유전자형 자료에 기초한 전달불균형 검정법에 관한 연구 (Transmission and Disequilibrium Tests Based on Sibship Data)

  • 김진흠;장양수
    • 응용통계연구
    • /
    • 제21권1호
    • /
    • pp.81-94
    • /
    • 2008
  • 전달불균형 검정법(transmission and disequilibrium test)과 같은 가계중심(family-based) 검정법들은 질병 관련 유전자를 찾는 데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사례-대조군 연구와 달리 가계중심 검정법들은 집단혼합(population admixture)으로 인한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질병 관련 유전자와 표지자(marker) 사이의 집단 혼합으로 인한 가짜 연관성(spurious association)에 노출될 위험이 없다. 가계중심 검정법들은 대체로 표지자에 대한 부모의 유전자형(genotype) 정보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고령층에서 발병하는 질병의 경우에는 발단자(proband) 부모의 유전자형을 구할 수 없는 상황에 종종 마주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런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부모의 유전자형 대신 질병에 노출되지 않은 발단자 형제나 자매의 유전자형을 이용한 검정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가능한 모든 일배체형(haplotype)에 대해 Mantel-Haenszel 형태의 통계량을 정의하고 그것에 기초한두 가지 검정통계량을 제안하였다. 모의실험 결과, 제안한 검정법은 집단 혼합으로부터 로버스트하고 유전 양식(mode of inheritance)에 관계 없이 상대위험(relative risk)이 증가함에 따라 단조적으로 증가하는 검정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안한 검정법을 연세대학교 심혈관계질환 유전체연구센터로부터 수집한 자료에 적용하고 그 결과를 고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