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nila clam protein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2초

Isolation of HIV-1 Pretense Inhibiting Peptide from Thermolysin Hydrolysate of Manila Clam Proteins

  • Lee, Tae-Gee;Yeum, Dong-Mi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8권2호
    • /
    • pp.154-157
    • /
    • 2003
  • A peptide inhibiting HIV-1 pretense was isolated from the hydrolysate of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proteins digested with thermolysin. The peptide was purified by using membrane filtration,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ion exchange chromatography, and reverse phase HPLC, The amino acid sequence of the peptide was determined to be Ile-Tyr-Glu-Gly. This tetrapeptide sequence exists in some proteins of Physarum polycephalum and Mycobacterium smegmatis. Chemically synthesized Ile-Tyr-Glu-Gly showed the $IC_{50}$/ value of 22.3 $\mu$M.

Temporal Variation in the Reproductive Effort and Tissue Biochemical Composition in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from a Sand Flat on the East Coast of Jeju Island Korea

  • Ngo, Thao T.T.;Yang, Hyun-Sung;Choi, Kwang-Sik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40권1호
    • /
    • pp.15-22
    • /
    • 2018
  •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emporal variation in the reproductive effort and biochemical contents in adult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at Shi-Heung-Ri beach on the east coast of Jeju Island. Gonad-somatic index (GSI), a ratio of the egg mass to the total biomass determined using ELISA increased dramatically from late May to June (7.1% to 19.5%). In mid-July, GSI dropped to 15.1%, indicating spawning on a small scale during this period. GSI also declined dramatically from late August (15.5%) to September (4.3%), suggesting that massive spawning occurred during this period. A posi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clam size and potential fecundity, while potential fecundity ranged between 1.19-8.40 million eggs/clam. Total proteins and lipids in the tissue increased from late spring to mid-summer, coinciding with an increase in GSI. Protein, lipid and carbohydrate contents in the tissue were lowest in January, indicating that clams were suffering from poor nutritional circumstances, which may be associated with poor food supply from the environment. Monthly increase and/or decrease in the body weight were closely related to gonad maturation and subsequent spawning, which was also linked to temporal changes in the contents of protein, lipid and carbohydrates in the tissue.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Cathepsin D: Molecular analysis and immune response against brown ring disease causing Vibrio tapetis challenge

  • Menike, Udeni;Ariyasiri, Krishan;Choi, Jin-Young;Lee, Youngdeuk;Wickramaarachchi, W.D.N.;Premachandra, H.K.A.;Lee, Jehee;De Zoysa, Mahanama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55-161
    • /
    • 2013
  • Cathepsins are lysosomal/cysteine proteases belong to papain family (C1 family) that is involved in intracellular protein degradation, antigen processing, hormone maturation, and immune responses. In this study, member of cathepsin family was identified from Manila clam (Mc-Cathepsin D) and investigated the immune response against brown ring disease (BRD) causing Vibrio tapetis challenge. The identified Mc-Cathepsin D gene encodes characteristic features typical for the cathepsin family including eukaryotic and viral aspartyl protease signature domain and two highly conserved active sites ($^{84}VVFDTGSSNLWV^{95}$ and $^{270}IADTGTSLLAG^{281}$). Moreover, MC-Cathepsin D shows higher identity values (-50-70%) and conserved amino acids with known cathepsin D members. Transcriptional results (by quantitative real-time RT-PCR) showed that Mc-Cathepsin D was expressed at higher levels in gills and hemocytes than mantle, adductor muscle, foot, and siphon. After the V. tapetis challenge under laboratory conditions, Mc-Cathepsin D mRNA was up-regulated in gills and hemocytes. Present study indicates that Mc-Cathepsin D is constitutively expressed in different tissues and potentially inducible when infecting BRD by V. tapetis. It is further suggesting that Mc-Cathepsin D may be involved in multiple role including immune response reactions against BRD.

바지락 단백질 Thermolysin 가수분해물의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저해 Peptide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Peptides from Thermolysin Hydrolysate of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Proteins)

  • 이태기;염동민;김선봉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529-533
    • /
    • 2002
  • 바지락 단백질의 thermolysin 가수분해물로부터 분자량 한계범위가 10,000 da인 한외여과막을 통과한 저분자량의 물질을 Sephadex LH-20 column을 이용한 겔 크로마토그래피에서 ACE에 대하여 저해 활성을 가지는 3개의 획분을 분취하여 SP-Toyopearl 650S column과 SuperQ-Toyopearl 650S column을 이용한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4개의 활성 획분을 얻었다. 이 중 가장 높은 절해 활성을 나타내는 획분의 아미노산 조성은 alanine, leucine, isoleucine 및 threonine의 함량이 많았고, 활성 발현에 있어 C 말단 아미노산 잔기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proline의 함량도 $3.7\%$%인 것으로 나타났다. ACE 저해 활성은 $IC_{50}$ 값이 0.748 $\mu$g이었다.

바지락(Ruditapes philippinarum)과 생체지표유전자를 이용한 서해안 갯벌 건강도 평가 (Evaluation of Health of Tidal Flat on the West Coast using Biomarker Genes and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 최희찬;최윤석;강한승;이윤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59-66
    • /
    • 2018
  • 갯벌의 건강 수준에 대한 평가는 갯벌에 서식하는 생물의 건강에 의해 평가될 수 있다. 생체지표유전자의 발현 분석을 통하여 갯벌에 서식하는 생물의 건강 수준을 평가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heat shock protein 70 (Hsp70), heat shock protein 90 (Hsp90), glutathione S-transferases (GST) 및 thioredoxin (TRX)과 같은 생체지표유전자를 이용하여 서해안 갯벌의 건강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들 유전자는 스트레스, 면역 및 항산화 관련한 유전자들로서 이들 유전자의 발현을 통해 생물의 건강 정도를 관찰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해안의 8개 정점에서 바지락(Ruditapes philippinarum)을 수집했다. 유전자의 발현은 RT-qPCR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Hsp70, Hsp90, GST 및 TRX 유전자들의 발현이 8개 정점에서 차별적으로 발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Hsp90 및 GST의 발현 또는 Hsp70 및 TRX의 발현은 유사하였다. 이것은 각 유전자에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물질이 존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이화학적 분석결과에 근거하여 분석에 적합한 유전자를 선택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 결과는 Hsp70, Hsp90, GST 및 TRX 유전자는 갯벌의 건강을 평가하기 위한 생체지표유전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함을 시사한다.

오염 퇴적물 평가 기법으로서의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 세포내 에너지 할당 (cellular energy allocation, CEA) 적용성 검토 (Evaluation of cellular energy allocation (CEA) in the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as a tool for assessment of contaminated sediments)

  • 성찬경;강신길;정지웅;박동호;이종현;이창훈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45-54
    • /
    • 2016
  • 환경오염 평가를 위한 생물지표로 세포내 에너지할당(CEA) 의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해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 조직을 대상으로 에너지 함량과 에너지 소비율을 분석하였다. 원유를 인위적으로 오염시킨 퇴적물에 바지락을 1, 2, 4, 7, 10 일간 노출 후 일부 조직 (발, 입출수공, 아가미 그리고 몸통) 내 지질, 글루코오스, 단백질 함량, 그리고 전자전달계 (electron transport system, ETS) 활성을 측정하였다. 바지락의 체내 지질, 글루코오스, 단백질 에너지 함량(energy available, EA)은 오염의 수준과 노출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이와 대조적으로 ETS 활성은 그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바지락의 조직별 EA는 발 > 입출수공 > 아가미 > 몸통 순이었다. EA와 EC의 분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노출 최고 농도 (58.3 mg TPAHs/kg DW) 에서만 발견되었다. 노출 1 일째 발과 아가미에서, 노출 2, 7 일째 몸통에서 EA가 감소하였고, 노출 4 일째 몸통에서 EC가 증가하였다. CEA는 EA 또는 EC 보다 오염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였다. 특히, 노출 1-7 일 기간 동안 몸통에서 CEA는 오염 수준이 낮은 (6.5 mg TPAHs/kg DW) 범위에서도 크게 감소하였다. CEA는 급성독성이 나타나지 않는 낮은 수준의 퇴적물오염 평가에서 EA 또는 EC보다 더 민감하였다. 바지락을 이용한 오염 퇴적물 평가시 노출은 4 일간, 그리고 몸통부위에서 CEA를 측정하는 것이 가장 민감하고 신뢰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여름철 산란기에 있어 바지락 번식량의 공간적 변이와 기생 원생생물 Perkinsus olseni 감염이 바지락 번식에 미치는 영향 (Spatial Variation in the Reproductive Effort of Mani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during Spawning and Effects of the Protozoan Parasite Perkinsus olseni Infection on the Reproductive Effort)

  • 강현실;홍현기;양현성;박경일;이택견;김영옥;최광식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7권1호
    • /
    • pp.49-59
    • /
    • 2015
  • 이 연구에서는 바지락의 성 성숙이 활발한 봄철에 경기만 선재도, 전북 곰소만, 및 남해 완도 등, 연중 수온 분포가 다른 지역에 분포하는 바지락 채집하여 P. olseni 감염이 번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바지락의 산란은 연중 수온이 곰소나 선재도보다 높은 완도 바지락이 서해안 곰소 및 선재도 바지락보다 빠른 성 성숙 및 산란 활동을 보였다. P. olseni 감염이 바지락의 번식에 미치는 영향은 감염도가 다른 지역에 비해 세 배 이상 높은 완도에서 관찰되었으며, 완도 바지락은 여포 크기, 여포 내 성숙 난의 수 및 번식량 등이 타 지역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 따라서 P. olseni 감염은 폐사 이외에도 다른 연구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번식 활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꼬막, Tegillarca granosa (Linnaeus)의 용존산소 변화에 따른 생리적 반응 (Effects of the Dissolved Oxygen Concentration on the Physiology of the Manila clam, Teillarca granosa (Linnaeus))

  • 신윤경;문태석;위종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485-489
    • /
    • 2002
  • 전남 보성군 장도해역의 펄질에 서식하는 꼬막의 환경내성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수중내 용존산소의 감소에 따라 생존율, 호흡률, 여수율 둥의 생리적 반웅 및 혈액성상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꼬막의 용존산소농도의 감소에 따른 $LC_{50}$은 수온 $10^{\circ}$에서 16일동안 큰개체 1.31 mg DO/L, 작은 개체는 0.95mg DO/L이었으며, 수온 $25^{\circ}C$의 경우에는 각각 1.13와 1.24mg DO/L이었다. 호흡률과 여수율은 용존산소의 감소에 따라 대체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혈 액 성분은 Hemoglobin, glucose, total protein, total cholesterol, GOT 및 GPT 등을 분석하였다. 혜모글로빈은 모든 개체에서 수중내 용존산소의 감소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스트레스의 지표로 이용되고 있는 glucose는 수온 $25^{\circ}C$, 용존산소 1.6-1.2mg DO/L에서 일시적 증가를 보였으며, 1.2mg DO/L 이하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외 total protein, total cholesterol, GOT 및 GPT 등은 용존산소의 감소에 따라 감소하거나 불규칙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뱀장어(Anguilla japonica) 자어 먹이로 유기물 분해산물의 활용 가능성 (Fermented Organic Matter as Possible Food for Rearing Anguilla japonica Leptocephali)

  • 김효원;김정현;김명희;김광현;박진철;박흠기;한창희;김대중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12호
    • /
    • pp.1424-1431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BFT (biofloc technology) system 수조로부터 분리된 미생물(Bacillus sp.)을 이용하여 Marine snow와 유사한 유기물 분해산물을 만들어 뱀장어 자어먹이로 활용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유기원으로는 계란, 참다랑어, 뱀장어, 담치, 갯지렁이, 멍게, 바지락 그리고 새우를 이용하여 8 종류의 유기물 분해산물(HE, TM, EM, PC, TA, MS, HA, SP)를 생산했다. 생산된 유기물 분해산물은 특정한 형태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크기도 $10-20{\mu}m$의 미세한 것부터 $100{\mu}m$ 이상 되는 것까지 다양하였다. 부화 후 20일부터 다양한 유기물 분해산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4 종류의 먹이(A, B, C, D-type)를 급이한 결과 A, B, C-type의 먹이를 급이한 뱀장어 유생은 각각 부화 후 37일, 39일, 37일까지 생존하였으나, D-type의 먹이를 급히한 뱀장어 유생은 부화 후 60일 동안 생존하였다. 각 먹이의 단백질 함량은 비슷하였지만, D-type 먹이의 n-3 HUFA 농도는 다른 type의 n-3 HUFA 농도보다 약 2배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