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nagement of labor

검색결과 1,993건 처리시간 0.032초

Labor Productivity Model for Reinforced Concrete Construction Projects

  • Ho Myun Jang;Kyong Hoon Kim;Sang Hyeon Kim;Kyung Hwan Kim;Jae Jun Kim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3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983-989
    • /
    • 2009
  • This study aims to systematically identify direct and indirect factors that influence labor productivity and to build a model that mathematically quantifies them so as to efficiently manage and increase labor productivity in the construction work. This study was performed based on the productivity model for workers in reinforced concrete construction projects, because it aims to establish a general construction labor productivity model that reflects many factors that influence labor productivity. Using statistical analysis, we found that the components that significantly influence productivity were the worker component, the work characteristic component, the work technique component, the work management component, the equipment & materials component, and the work guide component, while the work delay components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 productivity. In addition, a priority analysis was performed based on the components tha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dicated that the influence of work management component and the work technique component is more than that of the worker component and the work characteristic component. The construction labor productivity model that was formulated in this study could be used for the determining the standard productivity during the initial planning stage, so the best strategy for increasing labor productivity could be formulated.

  • PDF

The Re-examination of the role of the Labor Relations Commission on Corporate Performance

  • LEE, Kwan-Su
    • 산경연구논집
    • /
    • 제11권9호
    • /
    • pp.25-35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much continuous investment in human capital contributes to increasing labor productivity at not only individual companies but also at the national level, and causes fundamental as well as increases for labor-management conflicts. The current research aimed to empirically demonstrate the importance of human capital investment and furthermore, based on the effect of human resource investment on labor productivity, also re-examine the role of the Labor Commission as well.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is study was conducted by the Korea Information Service-Financial Accounting System (KIS-FAS) using representative panel data operated by countries to measure whether long-term investment in corporate human resources affects labor productivity. Results: Two distinctive summarized results of the analysis in the Korea Credit Ratings data showed that there was a high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orporate human resource investment and economic performance for a ten-year period from 2009 to 2018. Conclusions: The present study concluded that the role of the labor committee should be effectively formed by the labor as a mediation agency and that the role of the mediation committee members should focus more on how to strengthen the human resources management of the union.

Ownership Structure and Labor Investment Efficiency

  • Jungeun Cho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1권1호
    • /
    • pp.103-109
    • /
    • 2023
  • This study examines the association between ownership structure and labor investment efficiency. Specifically,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owner-manager firms, where managers own a large percentage of shares in the firm, involve in more efficient labor investment. Based on the management entrenchment hypothesis, managers are more likely to make labor investment decisions to maximize their private benefits rather than creating value for shareholders, resulting in lower efficiency in labor investment.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incentive alignment hypothesis, managers tend to make labor investment decisions that will improve future firm performance as their interests are aligned with those of shareholders. In this situation, owner-manager firms are expected to have higher efficiency in labor investment. Our empirical results show that owner-manager firms engage in more efficient labor investment, which contributes to long-term firm value. This study provides empirical evidence that firms' labor investment behavior can var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ownership structure.

구조조정기 노사분쟁의 사례비교연구: 현대자동차와 발전회사의 분규를 중심으로 (Comparative Study of Labor Disputes in the Period of Restructuring: the Cases of Hyundai Motor and Power Generation Companies)

  • 이병훈
    • 노동경제논집
    • /
    • 제27권1호
    • /
    • pp.27-53
    • /
    • 2004
  • 이 논문에서는 구조조정을 둘러싼 두 개 기업(현대자동차와 발전회사)의 노사분규 사례를 중심으로 교섭행위론의 관점에서 그 발생 배경, 노사 쟁점과 교섭 과정, 그리고 분규양태 및 수습 결과에 대해 분석하고 있다. 현대자동차와 발전회사의 노사분규에서는 정부 및 정치권의 개입을 통한 타율적인 분규사태 수습, 노사 상호간의 높은 불신과 배제적 교섭태도, 합의도출이 불가능한 노사의 교섭요구안, 그리고 노사분규의 사후적인 학습효과 결여 등과 같은 특징적 공통점이 발견되고 있다. 이 사례비교 연구를 통해 국내 기업 차원의 노사관계가 노사불신 $\rightarrow$ 교섭요구의 이해상충 $\rightarrow$ 배제적인 교섭태도 $\rightarrow$ 적대적 분쟁 경험으로 이어지는 퇴행적인 순환 과정을 통해 노사갈등 구도를 확대 고착화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게 된다. 결론적으로, 노사관계 혁신의 단초를 마련하기 위해 노사갈등이 확대재생산되는 악순환을 노사협력의 선순환으로 대체하려는 정책적 노력이 노 사 정, 그리고 언론에 의해 기울여져야 한다는 점을 제언하고 있다.

  • PDF

RFID기술을 활용한 건설현장의 노무관리시스템 프로토타입구축 (Development of Labor Management System Based on RFID Technology for Construction Field)

  • 한재구;권순욱;조문영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7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853-858
    • /
    • 2007
  • 건설산업은 노동집약형 산업으로써 공사수행 중 많은 노무자들 필요로 하고 있고, 원가구성 측면에서도 순공사비의 30$^{\sim}$40%를 차지하는 등 노무관리는 매우 중요한 관리요소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설현장의 효율적인 노무관리체계 개선을 위하여 RFID를 기반으로한 노무관리시스템의 프로토타입을 구축하고, 이를 실재 현장에 실험 ${\cdot}$ 적용해 봄으로써 현장적용성 검토를 실시하였다.

  • PDF

노동심판제도의 효율성 평가 (The Efficiency of the Korean System of Lobor Adjudication)

  • 김태기
    • 노동경제논집
    • /
    • 제28권1호
    • /
    • pp.83-104
    • /
    • 2005
  • 노동위원회의 심판제도는 부당해고사건과 부당노동행위사건을 신속하게 해결한다는 점에서 분쟁해결의 중요한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여러 가지 비판을 받고 있다. 본 논문은 노동위원회 심판기능의 효율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노사분쟁을 보다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분석결과는 노동심판제도에 대한 불만이 분쟁해결의 결과보다는 분쟁해결의 과정에 기인하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또한 노동심판제도의 문제점도 노사 당사자의 의식이나 태도보다는 노동위원회의 위원이나 심사관의 자세나 자질 등에 기인하는 바가 크다는 점을 보여준다. 이것은 사건에 대한 노동위원회의 조사활동이 보다 충실하게 이루어져야 하고, 노사 당사자가 자신의 주장을 충분히 뒷받침할 수 있도록 심문회의의 진행방식과 위원들의 심문태도가 개선되어야 하며, 판정을 하는 경우 그 내용이 실효성을 가질 수 있도록 적절해야 하며, 판정이 존중받을 수 있도록 법적 판단에 대한 권위도 확보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 PDF

민간병원과 공공병원 직원들의 노동조합몰입수준 비교분석 (Comparison of Commitment in Labor Union Employees' in the Private Hospitals and Public Hospitals)

  • 정현정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23-41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materials needed to enhance quality of organizational life by identifying the improvements of labor union management in the perspective of hospital organization management. Materials were collected from administrators, nurses and medical technicians in target hospitals from March 3 to March 3 to March 30, 2010 through survey questionnaire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commitment level of the subjects according to their satisfaction was higher when the administrators both in Private hospitals and Public hospitals were not satisfied in their works. 2. The commitment level of the subjects according to the subjects' job dedication level was higher those who had higher emotional attachment to their job in all vocations in both Private hospitals and Public hospitals. 3. The commitment level of the subjects according to the subjects' labor union involvement was higher in those who had higher satisfaction in labor union and perceived their colleagues' attitudes more positively in all vocations in both Private Hospitals and Public Hospitals. 4. From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identify major influencing factors of labor union commitment level, In Private hospital employees, those who had senior officer posts in labor union and higher normative commitment showed higher commitment union. Therefore hospital managers should have democratic and flexible attitudes toward labor union. Additionally, as colleagues attitudes is important determinant in union commitment, hospital managers should have countermeasures to enhance the work atmosphere of hospital employees.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조직신뢰 및 노사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act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on organizational trust and Labor-Management Relations)

  • 신동주;유연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9권5호
    • /
    • pp.123-140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의 영역을 넓혀 나가고 있는 국내 기업과 기관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해당 기업의 노사관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검증해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기업의 구성원으로 하여금 조직신뢰와 노사관계에 긍정적인 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면, 기업이 취해야 할 정책적 또는 전략적 과제는 어떠한 것이 있을 수 있는가를 제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이 사회적 책임활동을 함으로써 직원들의 조직에 대한 활동은 조직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중 하나인 노사관계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업구성원들의 조직신뢰의 향상은 노사관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연구의 결과는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다루어지지 않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조직성과의 중요한 요소인 조직신뢰 및 노사관계간의 직 간접적 영향관계를 입증하였다.

A Study on the Labor Director System of Public Institutions in the Degital Age

  • Park, Jong-Ryeol;Noe, Sang-Ou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11호
    • /
    • pp.231-239
    • /
    • 2022
  • 노동이사제도가 회사법에 도입되기 위해서는 노동이사가 우리 회사법 속에서 설명되어야 하고 도입의 불가피성이 설득되어야 한다. 그리고 주주의 기관 선임권과의 갈등도 해결되어야 하는 과제이다. 영업이익에 연동하는 배당을 받는 주주들에게 경영진은 절대적 의미를 갖는다. 반면 단체행동권을 보장받고 노동의 대가를 계약법과 노동법에 의해 지급받는 노동자에게 경영진은 노사협력의 파트너로서의 위치에 있다고 보아야 하므로 노동이사제도는 자칫 혼동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노사대결을 유발하는 기존의 '통제와 명령' 중심의 인력관리에서 벗어나 '이해와 참여, 협력하는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고 기관의 이해당사자인 노동자들의 직접 경영참여를 통하여 공공기관 낙하산 임용 폐해를 개선할 수 있다는 계기가 될 수도 있다.

노동시장의 유연성과 결과변수와의 관계 및 노조 힘의 조절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Labor Market Flexibility and Outcome Variables and Its Moderating Effect on Union Power)

  • 배성현;박세열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0권4호
    • /
    • pp.475-509
    • /
    • 2011
  • 본 연구는 우리나라 195개의 기업을 대상으로 세계적으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노동시장의 유연성 전략 즉 수량적 유연성과 기능적 유연성이 조직의 결과변수인 생산성, 노사협력성, 고용안정 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기업 단위로 분석하였다. 또한 노동시장 유연성(수량적 유연성 및 기능적 유연성)과 노사협력성 및 고용안정간의 관계에서 노조 힘의 조절역할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다. 결과는 수량적 유연성은 생산성, 노사협력성, 고용안정 등과 유의한 관계를 보여주지 않았으나 기능적 유연성은 생산성, 노사협력성, 고용안정 등에 상당한 정의관계를 보여 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기업의 노동시장 전략에서 기능적 유연성의 중요성을 다시 확인할 수 있다. 서구에서는 기능적 유연성의 중요성을 지속적으로 주장하고 수량적 유연성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기능적 유연성의 긍정적 측면은 확인이 되었으나 수량적 유연성의 부정적 관계가 확인될 수 없었다는 점에서 이들 관계는 앞으로 좀 더 연구가 지속되어야 하는 과제도 남겼다. 노동시장 유연성과 노사협력 및 고용안정과의 관계에서 노조 힘의 조절역할에 대한 분석결과는 수량적 유연성과 노사협력성 관계에서만 노조 힘의 상호작용 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노조의 기회주의적 행동에 대한 가능성을 엿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에 대한 논의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