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mmary gland adenocarcinoma cell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6초

개 유선종양의 병리학적 관찰 및 유선 혼합종양의 연골기원에 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Pathologic observations on the canine mammary gland tumors and immunohistochemical study on the origin of chondroid tissue in mammary gland mixed tumors)

  • 김용백;서일복;김재훈;박은정;김대용;한정희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843-854
    • /
    • 1997
  • Sixteen mammary gland tumors were collected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Kangwon National University. The average age of the bitches with mammary gland tumor was 10 years. Total 17(60.7%) out of 28 tumor masses observed in 4th and 5th glands. Classification of these tumors according to Hampe and Misdorp were simple adenoma, complex adenoma, benign mixed tumor, papillary adenocarcinoma, solid adenocarcinoma and malignant mixed tumor. Immunohistochemical reaction of the intermediate filaments against normal canine mammary gland showed as followed; anti-cytokeratin 18 was strong and anti-cytokeratin 14 was moderate to the luminal epithelium. Anti-cytokeratin 14 and anti-pancytokeratin to the myoepithelium were showed strong, but anti-vimentin was weak in reactivity. Anti-vimentin to the interstitial cells was represented strong reactivity. The origin of cartilage in mixed tumor of canine mammary gland was studied immunohistochemically with antibodies against intermediate filament. In mammary gland mixed tumors, cartilage tumor tissues were surrounded with the irregularly demarcated three zones composed of adjacent star shaped cells in myxoid areas, proliferative spindle shaped cells and basal located proliferated cells. From basal proliferated cells to star shaped cells, the immunohistochemical reactivity of myoepithelium specific anti-pancytokeratin was decreased gradually and the reactivity of interstitial cell specific anti-vimentin was increased gradually. Based on these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patterns, we suggested that the origin of cartilagenous components in canine mammary gland mixed tumor is most likely to the proliferation and metaplsia of myoepithelium.

  • PDF

수종식물의 MCF-7 세포에 대한 세포사 및 항ㆍ증식효과 (Apoptotic Effects of Some Plants on MCF-7 Mammary Gland Adenocarcinoma Cells)

  • 정용자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61-66
    • /
    • 2004
  • 식용식물 Capsicum annuum L., Lactucs dentata Makino., Sedum sarmentosum Bunge, Perilla frutescens Brit., Agastache rugosa Kuntz, Equisetum arvense L., Chrysanthemum coronarium, Arctium lappa, Cinnamomum camphora Sibe.들의 MCF-7 mammary gland adenocarcinoma cell line에 대한 증식억제효과를 관찰하기 위해 MTT 비색정량법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Cupsicum annuum L. 추출시료를 첨가한 경우에 MCF-7세포의 성장은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며, 결과에서 분명한 항암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특히 Capsicum annuum L. leaf은 1 $\mul/ml$ 첨가에서 35,3%의 증식억제효과를 보였고, 2.5 $\mul/ml$에서 42.9%, 7.5 $\mul/ml$에서 94.8%의 세포성장억제를 관찰할 수 있었다. Capsicum annuum L. fruit unripen 추출물 10 $\mul/ml$에서 75%, 25 $\mul/ml$에서 80%의 성장억제률을 보였다. Equisetum arvense L. 와 Lactuca dentata Makino. var. flaviflora Makino에서도 세포성장이 억제됨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Lactuca dentata Makino. var. flaviflora Makino추출시료 첨가군에서는 10 $\mul/ml$ 첨가에서 30%, 25 $\mul/ml$에서 52%의 성장억제률을 보였다. Equisetum arvense L.은 10 $\mul/ml$ 첨가군에서 11%, 25 $\mul/ml$에서 25%의 성장억제률을 보였다. 배양세포의 형태변화를 관찰해 본 결과에서도, 첨가시료가 Capsicum annuum L. leaf인 경우 착상이 어렵고 3일부터는 세포탈락과 세포파괴가 일어나기 시작하여 6일째엔 거의 모든 세포에서 세포사현상이 관찰되었다. 그리고 Capsicum annuum L. fruit unripen와 Lactuca dentata Makino. var. flaviflora Makino 추출액을 첨가한 경우에도 배양4일에 세포의 변형과 성장지연이 관찰되었으며, 8일째에 파괴되기 시작하여 배양14일과 19일에 많은 세포사현상의 파편들이 관찰되었다. Equisetum arvense L.는 배양4일에 세포성장은 지연되었으나 여전히 잘 자랐으며 일부세포에서 변형이 관찰되었다. 12일째에도 성장은 계속되었고 일부세포만이 변형을 보였으며 18일째에도 비슷한 결과로 관찰되었다.

개의 유선암종과 악성 비만세포 종양에서 발생한 종양억제 유전자 p53의 변이 (Mutation of Canine Tumor Suppressor Gene p53 in a Mammary Gland Adenocarcinoma and a Malignant Mast Cell Tumor)

  • Lee, Chung-ho;Kweon, Oh-kyeong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95-198
    • /
    • 2002
  • 개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한 12예의 종양에 대해, 종양 억제 유전자 p53의 변이와의 관계를 확인해 보았다. 종양조직에서 일반적인 방법으로 DNA를 추출하여, PCR 기법으로 p53을 증폭하여 염기서열을 확인한 결과, 개의 유선암종 예에서 exon 8의 codon 285에서 CCT $\longrightarrow$ TCT (proline $\longrightarrow$ serine)로 점변이 된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악성 비만세포 종양 예에서도 exon 8의 codon 249에서 AGT $\longrightarrow$AGC로 점변이 된 것이 확인되었으나 silent point mutation (serine)으로 판명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개의 유선암종과 악성 비만세포 종양에서 종양억제 유전자 p53의 변이가 확인되었으며, 이는 종양의 형성과 관련된 p53의 역할이나 종양의 치료 및 예후 판정에 p53 을 활용하는 연구의 초석이 되리라 사료되며, 차후 이 유전자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하리라 생각된다.

Rat mammary carcinoma의 발육(發育)에 있어서 비만세포(肥滿細胞)의 영향(影響)에 관한 병리조직학적(病理組織學的) 연구(硏究) 1. DMBA 투여(投與)에 의한 발암(發癌)과 비만세포(肥滿細胞)의 분포상황(分布狀況) (Histopathological studies on the influence of mast cell in the growth of rat mammary carcinoma 1. Distribution of mast cell on the development of DMBA-induced mammary carcinoma)

  • 김태환;이차수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47-457
    • /
    • 1990
  • In order to observe the distribution of mast cell on the stages of the mammary carcinogenesis, the numerical changes of mast cells in the mammary tumor development in rats treated with DMBA and compound 48/80 have been investigated by the light microscope. The results observ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appearance of tumor were not observed during the whole experimental period in the rats of the control group received injection of sterile saline, but tumors appeared in 100% of the animals, the tumor induction time that represented the number of days elapsing between the 3rd DMBA administration until a first tumor became $10{\times}10mm$ in diameter was $42.5{\pm}4.7$ days and the mean number of tumor masses per rat was $3.4{\pm}1.2$ in the DMBA treated group. And the majority of the DMBA-induced mammary neoplasms were appeared cervical mammary gland and thoracic mammary gland. The histological findings of mammary carcinoma were recognized adenocarcinoma in the DMBA treated group. Mast cells were distributed within the adipose tissues and the interglandular connective tissue in the control, but found to be randomly dispersed within the tumor cell masses, in the connective tissues adjacent to the periphery of the tumor, the adipose tissues and the subcutaneous tissues contiguous to the region of tumor development in the DMBA treated group. Numerical alterations of mast cells were observed in the mammary tumors that separated into three major classes of tumors: hyperplasia, atypical hyperplasia and carcinoma. The number of mast cells were distributed in the connective tissues adjacent to the mammary gland was $45.3{\pm}3.4$ cells in the control group, but was $50.2{\pm}4.9$ cells, $126.7{\pm}10.5$ cells and $340.3{\pm}19.2$ cells according to each stages of mammary tumorigenesis in the DMBA treated group.

  • PDF

개 자연발생 유선종양 2종의 세포주 확립 및 특성분석 (Establishment and Characterization of Canine Mammary Gland Cancer Cell Lines)

  • 이선태;권오경;김완희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32-239
    • /
    • 2010
  • 개에서 자연발생한 유선종양으로부터 채취, 배양된 세포주 2개를 확립하고 특성을 분석하였다. 9세 령의 퍼그 종 개와 동일연령의 토이푸들 종의 개에 발생한 종양을 무균 상태를 유지하여 수술적으로 채취한 후 primary culture를 실시하였다. 두 종양의 조직병리검사에서는 각각 선암종과 혼합암종이 진단되었으며, 이후 두 마리 모두 전이로 인해 폐사하였다. 배양된 종양세포는 1년 이상의 기간 동안 60회 이상 계대를 반복하면서 형태학적으로 일관성을 유지하였고, 특성분석을 위해 광학현미경검사, 성장곡선 산출, 배가 시간 계산, 누드 마우스에 이종이식, 면역조직 화학검사를 실시하였다. 각 세포주는 다각형의 긴 세포형태를 보였으며, 세포질 연결을 형성하였으며, 배가 시간은 각각 47.1 시간과 18.6 시간이었다. 암컷 누드마우스의 등 부위에 피하이식 후 4주 이내에 10마리 중 9마리에서 촉진이 가능한 종괴의 형성이 확인되었으며, 면역조직화학검사 시 한 세포주에서는 keratin과 cytokeratin 8에서 다른 세포주에서는 smooth muscle actin과 cytokeratin 8에서 강한 염색성이 확인되었다. 두 세포주는 개의 유선종양의 시험관내, 체내 연구에 있어 모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식용식물들이 MCF-7 cell의 chromosome형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me edible plants on changing chromosomal morphology, and apoptosis of MCF-7 cell)

  • 정용자;곽수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340-348
    • /
    • 2002
  • Capsicum annuum, Lactuca dentata Makino., Equisetum arvense, 들의 MCF-7 mammary gland adenocarcinoma cell line에서의 항증식효과는 현미경관찰과 세포수 관찰에서 얻은 결과와 거의 동일하게 Chromosome의 condensation, PI염색에서의 핵 변화, 전기영동과 흡광도법을 이용하여 관찰된 세포의 DNA fragmentation 결과에서도 시료에 따른 항종양증식억제효과가 유사하게 관찰되었다. 즉 그 결과는 Capsicum annuum L. var. angulosum Mill, leaves 추출시료틀 첨가한 경우에는 세포증식을 위한 탁상조차도 제대로 되지 않음이 확인되었고, 세포변형과 apoptosis의 일부가 2∼3일후 부터 관찰되었다. chromosome 농축 현상도 시료첨가 37시간에 관찰되었고, PI염색법에서도 시료첨가 3시간에 핵 농축현상이 관찰되기 시작하였다. 그 핵 농축현상을 배양시간에 따라 농축현상이 더해가다가 48시간에 파쇄현상을 보였다. 이 실험결과에서 Capsicum annuum L. var. angulosum Mill 추출물을 첨가한 배지의 MCF-7cell은 apoptosis의 형태학적 특징인 chromosome의 degradation과 PI염색법에서 핵의 농축이 발견되었으며 48시간 위 핵파편들을 관찰할 수 있었다. 전기영동을 이용한 세포의 DNA fragmentation관찰에서도 염색체 DNA의 관찰이 거의 확인되지 않았다. 260 nm 흡광도측정으로 부유층의 흡광도를 측정한 결과에서도 Capsicum annuum L. var. angulosum Mill은 배양초기부터 부유층의 흡광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들의 결과에서 Capsicum annuum L. var. angulosum Mill은 MCF-7 cell의 세포사를 유도하여 강한 항암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Equisetum arvense L와 Lactuca dentata Makino. var. flaviflora Makino에서도 배양 2∼3일에 세포성장이 억제되고 2일에 chromosome의 condensation과 degradation이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Capsicum annuum, Lactuca dentata Makino, Equisetum arvense 추출물에서 모두 항암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HER-2/neu 단백질이 개 유방암에서의 발현분석 (HER-2/neu Protein Expression in Canine Mammary Adenocarcinoma)

  • 양해걸;도선희;위엔동웨이;홍일화;기미란;박진규;구문정;이혜림;홍경숙;황옥경;한정연;박호용;유성은;정규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6-22
    • /
    • 2008
  • 개에서의 유선 종양진단은 총 49 case 중에서 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HER-2/neu, c-erbB-2),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 Activated leukocyte cell adhesion molecule (ALCAM) 등 면역조직화학적염색법을 실시하였다. 우선 49 case를 두 그룹으로 즉: 양성종양그룹 (22 case)과 악성종양그룹 (27 case)으로 구분하였다. 면역조직화학적염색법의 분석결과 HER-2/neu의 발현은 양성종양에서는 31.8% (7/22), 악성종양에서는 29.6% (8/27)의 발현율을 보였고, EGFR의 발현은 양성종양에서는 27.3% (6/22), 악성종양에서는 22.2% (6/27)의 발현율을 보였으며, ALCAM의 발현은 양성종양에서는 40.9% (9/22), 악성종양에서는 7.4% (2/27)의 발현율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개에서의 유선종양진단의 발현율은 사람에서 보고된 것($25%{\sim}30%$)과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임상진단분야에서 HER-2/neu항체로 개에서의 유선종양진단에서 유용한 평가수단으로 적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견종양(犬腫瘍)의 병리학적(病理學的) 검색(檢索) (Pathological Study of Tumors Occurring in Dog)

  • 임창형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7-38
    • /
    • 1975
  • 개에 자연발생(自然發生)한 다음과 같은 종양(腫瘍)을 수집(蒐集)하여, 그 육안적(肉眼的) 및 조직학적(組織學的) 소견(所見)을 검토(檢討)하고, 이에 관(關)한 간단한 고찰(考察)을 가(加)했다. 피부(皮膚) 및 피하직(皮下織)의 종양(腫瘍) : 섬유종(纖維腫), 지방종(脂肪腫), 표피성(表皮性) 낭종(囊腫), 흑색육종(黑色肉腫), 한선종(汗腺腫), 비만세포종(肥滿細胞腫)(2예(例)), 비만세포육종(肥滿細胞肉腫), 피지선암종(皮脂腺癌腫). 비장(脾臟) 및 임파절(淋巴節)의 종양(腫瘍) : 비피막(脾被膜)의 섬유육종(纖維肉腫), 비(脾)의 평활근육종(平滑筋肉腫), 임파절(淋巴節)의 임파육종(淋巴肉腫)(2예(例)). 폐장(肺臟)의 종양(腫瘍) : 기관지성암종(氣管枝性癌腫)(3예(例)), 각각(各各) 선암종형(腺癌腫型), 편평세포암종형(扁平細胞癌腫型) 및 미분화세포(未分化細胞)(원형(圓形))암종형(癌腫型). 소화관(消化管) 및 간장(肝臟)의 종양(腫瘍) : 위(胃)의 섬유종(纖維腫), 간(肝)의 혈관종(血管腫), 담관암종(膽管癌腫), 간세포암종(肝細胞癌腫), 간(肝)에 출현(出現)한 골수성백혈세포세포(骨髓性白血細胞細胞). 복막(腹膜)의 종양(腫瘍) : 섬유육종(纖維肉腫). 비뇨생식계(泌尿生殖系)의 종양(腫瘍) : 자궁(子宮)의 섬유종(纖維腫), 난소(卵巢)의 난포낭종(卵胞囊腫), 질(膣)의 전염성(傳染性) 성기종(性器腫)(6예(例)), 신암종(腎癌腫), 섭호선종(攝護腺腫)(2예(例)), 포피(包皮)의 섬유종(纖維腫), 고환(睾丸)의 정충종(精蟲腫). 유선(乳腺)의 종양(腫瘍) : 혼합종(混合腫)(2예(例)), 근상피종(筋上皮腫). 신경계(神經系)의 종양(腫瘍) : 대퇴부(大腿部)의 신경섬유육종(神經纖維肉腫).

  • PDF

고추 부위별추출물에 의한 종양세포의 세포사유도 - Hepatoma 세포와 MCE-7 세포 - (Induction of Cancer Cell Apoptosis by the Extract of Capsicum annuum L. var. angulosum Mill Sorted According to the Parts in Hepatoma Cells and MCF-7 Cells)

  • 정용자
    • 약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57-68
    • /
    • 2003
  • Under the active search for biologically active novel agents for cancer prevention and treatment, some agents have been found from plants which are easily available. Our previous research on them revealed that C. annuum L. var. angulosum Mill have high antiproliferating effect on cancer cells. However, it has not been known whether the anticancer efficacy is different according to each part of C. annuum L. var. angulosum Mill or whether it can be changed by timing of harvest or solvent for extraction. Thus we compared the efficacy of each part of C. annuum L. var. angulosum Mill and assessed how much difference in the efficacy can be made according to the time of harvest or solvents for extraction. We observed the morphologic change and apoptosis 48 hr after treatment with the extract of each part of C. annuum L. var. angulosum Mill in MCF-7 mammary gland adenocarcinoma cells and human hepatoma cells. We also counted cancer cells by trypan blue method and MTT method to check the cytotoxicity. The leaf extract showed the highest anticancer effect among all the parts of C. annuum L. var. angulosum Mill; 50% and 70% reduction in the number of cancer cells was observed at 25 $\mu\textrm{g}$/mι and 50 $\mu\textrm{g}$/mι, respectively. It was more than 2 times as potent as 5-fluorouracil (5-FU). We found chromosomal fragmentation, clumping, and destuction by PI staining, and DNA fragmentation by electrophoresis.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leaf extraction using water as solvent has the highest antiproliferative and apoptotic activity in cancer cells compared with other parts of extr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