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적으로 항구취 제제로 널리 쓰여 온 세틸피리디늄 및 염화아연이 함유된 양치액은 장기간의 사용에도 부작용이 없이 구취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세틸피리디늄 및 염화아연을 주성분으로 한 구강 양치액의 아침 구취에 대한 효과를 관찰하고자 했다. 총 8명의 건강한 남자를 대상으로 crossover study를 진행했으며 1주일의 washout 기간을 두었다. 대상자들에게는 30초간 실험 용액 10 mL를 양치하게 했으며 1주일 후에 같은 방법으로 증류수를 양치하게 했다. 구취의 측정은 오전 8:30 분에 이루어졌으며 양치 전, 양치 후 1시간, 2시간, 3시간에 평가를 하였다. 구취의 평가는 관능구취검사와 이동성 황화합물 측정기(Halimeter)를 이용하였다. 세틸피리디늄과 염화아연을 함유한 구강 양치액은 양치 후 3시간까지 아침 구취를 감소시켰다. 관능구취검사 수치와 휘발성 황화합물의 농도는 실험군에서 시간에 따라 유의한 감소를 보였고 그 감소 양상은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세틸피리디늄과 염화아연을 함유한 구강 양치액은 건강한 대상자의 아침 구취를 3시간까지 유의하게 감소시킬 수 있어 구취제거를 위한 양치액으로 그 효용성이 매우 크다.
본 연구는 구취생성의 주요 원인균에 대한 nanosilver의 항균효과를 조사하기 위해서 시행되었으며, 이와 더불어 이들 세균의 증식 조건도 함께 연구하였다. 포항공과대학교 나노기술센터로부터 $NANOVER^{TM}$, WA 1000 현탁액을 제공 받아 희석하여 사용하였으며, 공시균으로는 주요 구취생성균으로 알려진 Fusobacterium nucleatum (KCTC 2640), Prevotella melaninogenica (KCTC 3689), Klebsiella pneumonia (KCTC 1560) 3종의 세균류를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명자원센터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공시균의 배양에 혐기성세균 배양에 이용되는 tryptone- yeast extract-ammonium acetate(TYA) 배지와 chopped beef meat(CBM) 배지를 이용하였다. 1. 최적배양조건으로 감압배양, CBM 배지가 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2. 간균인 K. pneumonia에 Nanover(5 및 10 ppm)를 처리하고 주사형 전자현미경으로 균체의 형태를 관찰한 결과는 세균의 생장점 부근에서 세포벽에 손상을 주어 세포벽을 절단하여 다량의 막상 편린을 생성하고 autolysin을 불활성화 시켜 filament형 균체를 형성하여 균의 증식은 일시적으로 억제시킬 수 있었으나 완전히 사멸시키지는 못하였으며, 구취 세균을 전혀 다른 형태로 변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항균제로서의 역할은 가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Controlling malodor originating from livestock feces has become a major issue, due to its influence on the health of man and livestock, together with its influences on atmospheric pollution. In this study, Five types of biofilters filled with saw-dust, night soil, fermented compost, leaf mold and a mixture(a compound of night soil, fermented compost and leaf mold at the same rates, respectively) were manufactured and tested. To study the effect of the biofilter on reducing malodor in a composting facility and swine building, a pilot scale composting facility enclosed with polyethylene film was constructed. Swine feces was composted in the facility and malodorous gas generated from the decomposition of organic matter in the feces was gathered by vacuum pump. Each biofilter achieved 87∼96% NH3 removal efficiency. This performance was maintained throughout 10 days of operation. The highest NH3 removal efficiency was achieved by leaf mold on the first day of operation period. It reduced the concentration of NH3 by about 96%. Night soil and fermented compost showed nearly equal performance of 93 to 94% for 10 days from the beginning of operation. The mixture achieved the lowest NH3 removal efficiency. It reduced NH3 concentration by about 89∼94% for 10 days from the beginning of operation. However NH3 removal efficiency of each biofilter declined with the passage of operational time. After 30 days from the beginning of operation, NH3 removal efficiency of each biofilter of each biofilter was below 60%, respectively. The concentration of H2S and CH3-SH originating from compost were equal to or less than 5mg/l and 3mg/l, respectively. After passing throughout the biofilter, the concentration of H2S and CH3-SH were not detected.
축산폐기물의 퇴비화에 사용된 혼합 미생물을 이용해서 음식쓰레기 처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효과적으로 처리 하고자 하였다. 시판되는 가정용 음식쓰레기 처리기를 사용하여 음식쓰레기의 퇴비화와 악취저강 특성을 조사하였다. 퇴비화는 10일 경과후부터 인정화되었으며, 혼합 미생물을 첨가한 경우 온도와 pH가 혼합 미생물을 첨가하지 않은 것과 비교해 더 빨리 증가하였으며, 퇴비화의 지표 중에 하나인 전기전도도 (Conductivity)도 1.2 에서 2.4 mS/cm로 혼합 미생물을 첨가하지 않은 경우의 1.3 mS/cm 보다 급격한 상승을 보였다. 식품쓰레기 처리 중에 발생되는 악취 물질, 즉 황화수소와 저급지방산은 8 일 동안에 각각90-100%와 70-80%로 효과적으로 제거되었다. 또한 알칼리 상태와 고온의 조건에서 성장하는 미생물이 퇴비화 과정 중에 우점 하였으며, Bacillus cereus No. 15 균주가 혼합 미생물 중 효과적인 식품쓰레기처리와 악취제거에 관여하고 있다는 사실을 증명하였다.
KIM, Su-Hye;LEE, So-Hee;YUN, Yeo-Jin;CHOI, Soo-Young;JUNG, Min-Jae;KWON, Woo-Taeg
웰빙융합연구
/
제4권2호
/
pp.19-25
/
202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duce odor complaints by identifying problems with odor management at the site of the water regeneration center and researching odor management methods. Due to the high population density of Korea, sewage treatment facilities are adjacent to residential and industrial areas.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the main malodor-emitting facilities of sewage treatment facilities were preliminary treatment facilities (2,220 times), sedimentation basins (4,628 times), and sludge treatment facilities (9,616 tim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Compound malodors and designated malodor-producing substances were collected from five site boundaries of the water regeneration center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official methods to test malodor, and a total of two times (August and September 2020) were conducted. Results: As a result of the measurement, in the green area in front of the center office, compound malodors were detected at a maximum of 8 times and at least 3 times during the dawn time. As for the designated malodor-producing substances, 0.1ppm of ammonia was detected in the green area in front of the center office and the park golf course. This is within 15 times the maximum allowable emission level of compound malodors and within 1ppm of the maximum allowable emission level of ammonia. Conclusions: Even if the dilution rate of the compound malodors did not exceed the maximum allowable emission level, the odor could be recognized, and more research is needed in the future to establish effective reduction measures according to the subjective and individual and seasonal odor characteristics.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type and oral hygiene controllability. Methods: Four hundred eighty-two college students in Gyeonggi-do completed the Myers-Briggs type indicator (MBTI) and a questionnaire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AS 9.2 program. Results: Compared to extroverted subjects, a significantly increased percentage of introverted subjects demonstrated oral malodor and stress (p<0.05). Tongue coating and stress seemed to occur the most frequently in intuition-feeling (NF) type, while oral malodor seemed to occur the most frequently in sensation-feeling (SF) type among four fuctional types. Tongue coating and stress seemed to occur the most frequently in NF type, while oral malodor seemed to occur the most frequently in sensation-perceiving (SP) type among four temperaments. Significantly increased mean scales of tongue scraping index and oral hygiene controllability index were found for extroverts (p<0.05). Mean scales of tooth brushing index and oral hygiene controllability index appeared to be the highest in NF type among four fuctional types. Mean scales of tongue scraping index and oral hygiene controllability index appeared to be the highest in sensation-judging (SJ) type among four temperaments. Conclusions: Oral hygiene controllability was associated with personality type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considering personality type.
It was confirmed that malodor connected with an air-conditioner in an automobile is caused by microbi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MVOCs) produced by microorganisms getting into an air-conditioner when it is operating. Chemicals such as hydrogen sulfide, dimethyl sulfide, nbutyric acid, n-valeric acid, iso-valeric acid, n-octanol and toluene were detected above the odor threshold inside the automobile. The characteristics of a funky odor in the air blown into the automobile were due to detected sulfur compounds (hydrogen sulfide and dimethyl sulfide). Dimethyl sulfide was produced by microorganisms such as Aspergillus versicolor, Methylobacterium aquaticum, Herbaspirillum sp. and Acidovorax sp.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a sour odor in the air blown into the automobile were due to detected organic acids (n-butyric acid, n-valeric acid and iso-valeric acid). N-valeric acid and iso-valeric acid were generated from Aspergillus versicolor, while iso-valeric acid was produced by Methylobacterium aquaticum. In addition, the odor intensity of the air blown into the automobile was affected by the concentration of detected sulfur compounds and organic acids. On the other hand, it is estimated that chemicals such as hydrogen sulfide, n-octanol and n-butyric acid detected in the air blown into the automobile were produced by non-identified species of microorganisms.
As Korean government has activated the renewable portfolio standard (RPS) since 2012, producers have been seeking and using the various renewable resources to meet the RPS quota. One of these efforts, Power Bio-Fuel oil demonstration project is being conducted to check the operability and compatibility with fossil fuel, Fuel oil (B-C) from 2014. The oil is a mixture of vegetable oil and animal fat or fatty acid ester of them and should satisfy some specification to use the power generation. The oil's quality and combustion characteristics are different from conventional oil, Fuel oil (B-C) in current power plant facility. In this study, it was investigated the storage stability and malodor intensity of Bio-Fuel oil.
구취발생과 흡연 및 음주, 구강건강행위와의 관련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2006년 10월 1일에서 2007년 3월 30일까지 만 30세 이상부터 59세까지의 성인 14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함께 Oral $Chroma^{(R)}$(CHM-1, ABILIT Corp., Japan)를 이용한 구취농도 검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Hydrogen sulfide($H_2S$)는 치면세마를 규칙적으로 시행하는 군이 가끔 하는 군보다 매우 낮은 농도를 나타냈다(p<0.01). hydrogen sulfide($H_2S$) 농도와 관련성이 높은 요인으로는 치과 방문목적, 음주량, 음주 중 흡연량, 흡연기간, 현재 흡연량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2. Methyl mercaptan($CH_3SH$)은 과거흡연군이 비흡연군과 흡연군보다 높은 농도를 나타냈고(p<0.05), 20년이상 흡연한 군이 20년 미만 군보다 높았으며(p<0.05), 음주 중 10개비 이상 흡연 군이 10개비 미만 흡연 군 보다 높은 농도를 나타냈다(p<0.05). 음주 특성에서는 주 5회 이상 음주 군이 주 1-2회 이하 음주 군들에 비해 높은 농도를 나타냈고(p<0.01), 잠자기 전 잇솔질을 하지 않는 군이 잇솔질을 하는 군보다 농도가 높았으며(p<0.05), 가끔 스켈링을 하는 군이 규칙적으로 스켈링을 하는 군보다 높은 농도를 나타냈다(p<0.05). methyl mercaptan($CH_3SH$) 농도와 관련도가 높은 요인으로는 치면세마 경험과 음주 중 흡연량으로 나타났다. 3. Dimethyl sulfide($(CH_3)_2S$)는 소주 2병 이상 군이 소주 1/2병 이하 군과 소주 1병 정도 군보다 높은 농도를 나타냈다(p<0.01). 이 결과 구취감소를 위한 교육에 있어서 잠자기 전 잇솔질 실천과 규칙적인 치면세마의 필요성은 강조되어야하며, 금연 및 절주에 대한 지도를 포함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eodorizing effectsof medicinal herbs (Mume Fructus, Eriobotryae Folium, Acanthopanacis Cortex, Angelicae Dahuricae Radix) for development of a gargle solution. Methods: 1. The antimicrobial effects of medicinal herbs were evaluated with the minimal bactericidal concentration (MBC) and the change of the number of viable cells in the herb extracts(1%) for 48 hrs against P. gingivalis 2561 and Pr. intermedia ATCC 25611. 2. Deodorizing activity of each herb and Garglin $Mint^{(R)}$gainst methyl mercaptan were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 (GC). 3. We used the malodor modeling of the salivary sediment system with a Halimeter. 4. In the preliminary clinical study, the baseline concentration of VSC in the oral cavity of each subject was measured by Halimeter. Subjects would gargle for 30 seconds with cysteine. After 4 minutes subjects would gargle for 30 seconds with Garglin and herb extracts (2%). Subsequently, concentration of VSC were measured at 0, 4, 8, 12 and 20 minutes. Results: 1. MBC of Mume Fructusfor P. gingivalis 2561 was determined to be <1% and MBCs of Eriobotryae Folium for P. gingivalis 2561 and Pr. intermedia ATCC 25611 were determined to be <2% and <1%, respectively. Mume Fructus (1%) completely suppressed the P. gingivalis cell viability from 5 hrs and Eriobotryae Folium (1%) completely suppressed the Pr. intermedia cell viability from 48 hrs. 2. In GC analysis, deodorizing activities were 91.54% with Mume Fructus, 87.97% with Eriobotryae Folium, 100% with Acanthopanacis Cortex, 72.36% with Angelicae Dahuricae Radix and 40.54% with Garglin $Mint^{(R)}$. 3. In malodor modeling of the salivary sediment system, each of the medicinal herbs had significantly inhibitory effect on malodor formation (p<0.05). 4. In the preliminary clinical study, the concentration of VSC of the herb group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of the control group, but not in Garglin $Mint^{(R)}$. Conclusions: Mume Fructus, Eriobotryae Folium, Acanthopanacis Cortex and Angelicae Dahuricae Radixhave deodorizing activities and potential as an effective mouthwash against oral malodor.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