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locclusion

검색결과 976건 처리시간 0.027초

악골형태에 따른 상하악절치위치에 관한 측모 두부방사선 계측학적 분석 (CEPHALOMETRIC ANALYSIS OF UPPER AND LOWER INCISORS IN DIFFERENTIAL FACIOSKELETAL PATTERN)

  • 김정호;권오원;김정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735-753
    • /
    • 1992
  • 악골형태에 따른 상하악절치의 위치를 분석하기 위하여 18세 이상되는 정상교합자 60명과 II급 1류 부정교합자 40명, 그러고 III급 부정교합자 40명의 측모 두부방사선규격 사진을 설정한 계측점과 계측항목에 따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저작계와 관련된 계측항목인 CI angle은 정상교합자군에서 $89.20{\pm}4.34^{\circ}$, II급 1류 부정교합자군에서 $81.68{\pm}5.95^{\circ}$, III급 부정교합자군에 $101.96{\pm}6.31^{\circ}$이었다. 상하악절치위치 계측항목의 악골형태별 비교에서 정상교합자군에 대한 II급 1류 부정교합군은 상악절치가 모든 계측항목에서 유의한 차를 보이며 순측경사져 있고(p<0.05), 하악절치도 ${\angle}LI-APog$, LI-APog(m), ${\angle}LI-AB$, LI-AB(mm)를 제외한 모든 계측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순측경사져 있었다(p<0.05). III급 부정교합자군은 상악절치가 ${\angle}UI-SN,\;{\angel}UI-OP$을 제외한 모든 계측항목에서 유의한 차를 보이며 순측경사져 있고 하악절치는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설측 경사져 있었다(p<0.05). 모든 악골형태에서 ${\angle}LI-SN,\;{\angel}LI-FH$가 악골계측항목과 비교적 상관성이 있었고, FMA가 하악절치위치계측항목과 비교적 상관성이 있었다. 악골형태에 상관없이 일정하게 적용할 수 있는 기준선은 상악절치 계측항목에서는 AB선, 하악절치 계측항목에서는 APog선이었다.

  • PDF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악골 부조화가 구치부 치성보상에 미치는 영향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erior dental compensation and skeletal discrepancy in class III malocclusion)

  • 성지현;김성식;손우성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41-49
    • /
    • 2003
  •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는 부적절한 악골 위치에서 기능 교합을 유지하기 위해 치아의 경사도와 수직적 위치가 변화하게 된다. 이러한 치성보상은 전치부 및 구치부 전반에 걸쳐 일어나며, 현재 보편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악교정수술을 위한 술전교정시 이를 제거하여 각 골격 구조내에서 치아들이 적절히 위치되도록 하여야 한다. 전치부 치성보상에 관한 측모 두부방사선 사진을 이용한 연구는 많이 시행되어졌으나, 구치부 경사도에 관한 연구는 미미 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성인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전후방적, 수직적 악골 부조화에 따른 폭경 부조화 및 구치 경사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진단 모형상에서 상하악 견치, 제1소구치, 제1대구치 부위의 기저골 폭경을 측정하여 상악에 대한 하악의 비율을 구하였으며, 모형 을 삭제하여 좌우 구치간 경사도를 측정하였다. 악골 부조화 심화에 따른 기저골 폭경 비율과 제1대구치 협설 경사도 변화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악골의 전후방적 부조화가 심화될수록 상하악 구치간 각도합이 증가하여 치성보상이 많이 일어났으며, 특히 하악 구치가 설측 경사되는 치성보상을 보였다(p<0.001). 2.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악골의 수직적 부조화 및 폭경 부조화와 구치부 치성보상 간에는 유의할만한 상관성이 없었다. 3.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전후방적, 수직적 부조화의 심화와 기저골 폭경 부조화는 유의할만한 상관성이 없었다.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정모 두부규격방사선 계측학적 특징 (Posteroanterior cephalometric characteristics in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 정송우;홍성규;김정기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17-325
    • /
    • 1999
  •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의 정확한 진단과 분석에 있어서 삼차원적인 골격부조화의 양상이나 안면부조화의 원인을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정모 두부규격방사선 사진 상에서 나타나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계측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양호한 안모와 교합을 가지는 성인 남녀 정상교합자 60명과 전후방적 부조화가 심한 III급 부정교합을 가지는 성인 남녀 60명을 대상으로 측모와 정모 두부규격방사선 사진의 투사도를 작성하여 안면폭경, 고경, 각각의 비율, 측모계측치에 대응되는 정모계측치의 비율을 구하였고, 각각의 계측치와 비율을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에서 골격의 전후방적 부조화는 정상군보다 상악골길이(Cd-A)가 짧은 것보다는 하악골길이(Cd-Gn)가 긴 것에 기인하였다. 2.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는 정상교합자보다 긴 안모를 가지는데, 이는 상안면고경(Cg-ANS)보다는 하안면 고경(ANS-Me), 특히 하악골 고경(Cd-Me)의 증가로 인한 것이었다. 3.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폭경은 단지 여자의 상$\cdot$하악 대구치간 폭경(U6-U6, L6-L6)과, 하악폭경(Ag-Ag)만 정상교합자보다 컸을 뿐, 이외 어떤 폭경항목도 정상과 차이가 없었다. 4.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하악골 길이의 증가는 안모의 고경 특히 하안면 고경의 증가로 나타나지만, 하악골 폭경에서는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 PDF

ROC 분석을 이용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의 수평계측방법간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N THE HORIZOTAL MEASUREMENTS OF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USING THE ROC ANALYSIS)

  • 최희영;장영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53-163
    • /
    • 1995
  • 본 연구는 III급 부정 교합을 판별하는데 있어, 수평 부조화의 진단에 이용되는 여러 진단 항목들의 진단학적 효율과 타당성을 ROC analysis로 비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ROC(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analysis는 연속적으로 변하는 cut-off value에서의 sensitivity와 1-specificity에 의해 그려지는 곡선으로서 진단 방법의 타당성을 결정하고, 여러 진단 방법들을 비교하는 분석법으로 알려져 있다. 부정교합자 496명을 대상으로 측모 두부 X-선 계측사진과 진단모형을 이용하여, 진단모형 계측을 통해 부정교합군을 분류하였으며, 이중 III급 부정 교합자는 245명이었다. 측모 두부 X-선계측사진에서 16개의 계측항목을 선정하였으며, 이 계측항목들과 III급 부정교합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각도 계측항목에서는 $1^{\circ}$ 간격으로, 선계측항목에서는 1mm의 간격으로 sensitivity와 specificity를 구해 ROC curve를 그렸다. 그리고, 이 계측항목들의 직접적인 비교를 위해 ROC curve 아래의 면적을 계산해냈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III급 부정교합을 판별하는데 있어, "Wits" appraisal이 다른 계측 항목에 비해 더 나은 진단 효율을 보였다. 2. AB plane angle, ANB angle, App-Bpp distance, AF-BF distance, APDI, N perpendicular to A 와 Pog to N perpendicular의 차이, maxillomandibular differential도 높은 진단 가치를 보였다. 3. 하악골의 위치를 평가하는 계측항목은 중정도의 진단 효율을 보였다. 4. 상악골에 대한 계측항목은 III급 부정교합의 판별에 대한 진단 가치가 낮았다.

  • PDF

부정교합을 가진 일부 중·고등학생들의 교정치료 여부에 따른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및 행복감과 관련성 (Oral Impact on Daily Performance and Happiness related to Orthodontic Treatment of Som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ith Malocclusion)

  • 강유주;서애림;강윤식;정백근;박기수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2권2호
    • /
    • pp.69-78
    • /
    • 2017
  • 이 연구는 부정교합으로 인한 교정치료 중인 환자와 교정치료를 받고 있지 않는 중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부정교합 교정치료 여부가 구강건강 삶의 질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이 긍정적인지 살펴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진주 지역 내에 소재한 교정 전문치과 1곳에서 부정교합으로 교정 중인 학생 157명과 중 고등학교 4개에서 부정교합이 있지만 교정치료를 받지 않고 있는 학생 8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지는 자기기입식으로 수집하였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16년 9월 19일부터 10월 8일까지였다. 대상자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과 행복감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인 일상활동구강영향은 교정치료 여부가 유의하게 음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부정교합이 있는 청소년들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교정치료 여부 그리고 일상활동 구강영향이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다. 결론적으로 부정교합 교정치료가 청소년의 치료당시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는 음의 방향이지만 행복감에는 양의 방향으로 영향을 주므로, 청소년의 행복감 증진을 위하여서도 교정치료를 할 수 있는 접근성을 낮추는 정책이 필요할 것이다.

정상교합자와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경추골성숙도에 관한 연구 (THE SKELETAL MATURITY OF CERVICAL VERTEBRAE OF CHILDREN WITH NORMAL OCCLUSION AND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 양규호;최남기;최봉선;이영준;류선열;김선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08-113
    • /
    • 2004
  • 정상교합자와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간의 성장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8-12세 여자를 대상으로 하여 진단 석고 모형과 측모두부방사선사진을 기준으로 정상교합자 172명,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 191명 총 363명을 분류하여 연구를 시행하였다. 경추의 하연의 만곡도와 수직 수평 길이의 비를 측정해서 연령이 증가함에 따른 변화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제$2{\sim}6$경추의 하연의 만곡도는 정상교합자와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 모두에서 일정하게 증가하였다. 2.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제$3{\sim}6$ 경추의 수직 수평 길이의 비도 정상교합자와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 모두에서 일정하게 증가하였다. 3. 제$2{\sim}6$경추의 하연의 만곡도와 제$3{\sim}6$경추의 수직 수평 길이의 비에서 정상교합자와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간의 경추골성숙도 차이를 조사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정상교합자와 골격성 IIII급 부정교합자간의 경추골성숙도를 비교했을 때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므로 성장에 차이가 없음을 시사하였다.

  • PDF

악교정술을 요하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악안면 골격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CRANIOFACIAL SKELETON ON ORTHOGNATHIC SURGICAL GASES WITH SKELETAL GLASS III MALOGGLUSION)

  • 임한호;윤영주;김광원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89-201
    • /
    • 1998
  •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학생 중 안모형태와 교합상태가 양호하고, 교정치료의 경험이 없는 정상교합자 74명 (남자 38명, 여자 36명)을 대조군으로 하였고 조선대학교 부속 치과병원 교정과에 내원하여 악교정 수술을 통한 교정치료가 필요하다가 진단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 성인 45명 (남자 23명, 여자 22명)을 실험군으로 하여 두부규격방사선 사진을 촬영하고 Burstone & Legan방법에 의해 각각의 계측항목별로 남여를 비교 분석하여 악교정 수술이 필요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환자의 악안면 골격 특성에 대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는 함몰된 안모를 지니고 있었고 (P<0.001), 여자에서 뚜렷한 상악골 열성장 (P<0.nt)과 하악골 과성장 (P<0.01)을 보인 반면, 남자에서는 통계학적인 유의성이 존재하지 않았고 상,하악골 연조직의 전,후방적인 비교에서는 특징적으로 남자는 하악골 연조직의 과다한 전방돌출 (P<0.001), 여자는 상악골 연조직의 과다한 후퇴 (P<0.001)을 보였는데 이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이 남자는 하악골 과성장, 여자는 상악골 열성장에 의해 주로 기인됨을 알 수 있다. 2. 골격성 III급 부정 교합을 지닌 남여 모두에서 특징적으로 MP-HP 각과 genial angle이 커서 하악골의 전하방 과성장을 보인 반면, ramus height는 남여 모두에서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않았으며, 상악중절치는 순측경사, 하악전치는 설측경사 되어 있었는데 이는 악교정 수술을 위한 술전교정 치료시 이러한 치성보상을 정상으로 회복시켜 각 골격구조내에서 치아들이 적절하게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것을 의미한다. 3. 여자에서 상안면고경에 비해 하안면고경이 특징적으로 짧았고, 남자의 lower facial throat angle이 특징적으로 작았다. 이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이 남자에서는 하악골의 과다한 하방 성장및 긴 목, 여자에서는 하악골의 전방으로의 과다성장및 짧은 목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 PDF

부정교합 분류에 따른 상악 중절치의 치관-치근 각도(Collum Angle)에 대한 연구 (MAXILLARY INCISOR CROWN-ROOT ANGLE(COLLUM ANGLE) IN DIFFERENT MALOCCLUSIONS)

  • 홍희숙;백형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53-463
    • /
    • 1995
  • 측모두부 방사선 계측사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상악 중절치의 장축은 치근첨(Root Apex)과 절치단(Incisor Edge)를 연결한 선을 사용하지만 일부 부정교합 환자에서는 치관장축과 치근장축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으며 이 경우 두장축이 이루는 각을 치관-치근각도(Collum Angle)라 하며, 이 각도는 교정치료의 진단 및 치료과정에 고려되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제 I 급 부정교합 환자 31명, 제 II급 1류 부정교합 환자 30명, 제 II 급 2류 부정교합 환자 31명, 제 III급 부정교합 환자 31명에서 치관-치근 각도를 계측하여 부정교합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으며, 측모두부 방사선 계측사진에서 사용되는 항목들과의 상관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부정교합 분류에 따른 치관-치근 각도의 평균값은 제 I 급 부정교합에서는 $3.11^{\circ}{\pm}3.54^{\circ}$, 제 II급 1류 부정교합에서는 $1.23^{\circ}{\pm}2.41^{\circ}$, 제 II급 2류 부정교합에서는 $3.77^{\circ}{\pm}4.39^{\circ}$, 제 III급 부정교합에서는 $3.90^{\circ}{\pm}4.08^{\circ}$ 이었다. 2. 제 II급 1류 부정교합군의 치관-치근 각도와 제 II급 2류, 제 III급 부정교합군의 치관-치근 각도에 유의성 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3. 치관-치근 각도와 측모두부 방사선 계측사진에서 사용되는 다른 항목들과의 상관관계에서 제 I급 부정교합에서는 IMPA, 제 II급 1류 부정교합에서는 Wits, 제 II급 2류 부정교합과 제 III급 부정교합에서는 Overbite이 가장 큰 상관성을 보였다.

  • PDF

Facial 'Phi' Mask를 사용한 골격성 부정교합 환자의 안모 분석 (Facial Analysis of Patients with Skeletal Malocclusion Using a Facial 'Phi' Mask)

  • 김홍석;허영민;홍종락;김창수;팽준영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4권1호
    • /
    • pp.26-33
    • /
    • 2012
  • Purpose: The golden ratio has been used for a long time to objectify and quantify 'beauty'. Dr. Marqurardt claims that the golden ratio can be applied in the maxillofacial field as wel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iagnostic significance of using a facial 'phi' mask for analyzing Korean faces with characteristics of Class I, II, and III malocclusion. Methods: We studied twenty five Korean celebrities' frontal facial photos (10 males, 15 females) and 90 malocclusion patients' frontal facial photos (30 patients in each malocclusion classification: Class I, Class II, and Class III). Patients who received orthodontic treatment at Samsung Medical Center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After superimposition of the selected facial photo and facial 'phi' mask using Adobe Photoshop CS3, the ratio of the entire facial area, mid facial area, lower facial area and horizontal and vertical lengths were measured. Results: The facial ratio in photos of Korean faces showed larger vertical and horizontal ratios than the facial 'phi' mask with golden ratio, regardless of skeletal malocclusion (entire face: 115%, lower face: 125% larger than the mask). The results of the frontal photos of Class I, II, and III malocclusion patients using facial 'phi' mask showed that the vertical length and frontal face area was mo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area of the lower face than the midface. This means that the lower face has larger proportions in the facial areas. Conclusion: The ratio of facial 'phi' mask is matched with the ideal facial appearance that the contemporary Korean general public is seeking. Thus, the facial 'phi' mask may be a convenient tool for esthetic analysis of Korean faces. Reducing the area of the lower face is esthetically more desirable for almost all Korean people when planning orthognathic surgery.

한국 어린이의 골격적 부정교합에 따른 골 성숙도와 치아의 성숙도 비교 (Comparison of Dental Age and Skeletal Maturity in Korean Children with Skeletal Malocclusion)

  • 김지연;오소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25-232
    • /
    • 2014
  • 이 논문의 목적은 골 성숙도와 치아의 성숙도를 골격적 부정교합에 따라 관련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6세에서 14세에 이르는 총 192명의 환자(89명의 남자, 103명의 여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측모 두부 방사선 사진,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 수완부 방사선 사진을 사용하였고 심한 질환을 가진 경우는 제외하였다. 통계는 이분법, chi-squar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ndependent t-test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견치, 제1대구치, 제2대구치의 석회화는 골 성숙도와 연관성(p < 0.05)을 보였고 또한 골 성숙도가 높은 경우, 여자어린이 일 경우가 11.43배 높았다(p < 0.001). class II 부정교합일 경우, 견치, 제1소구치, 제1대구치, 제2대구치의 치아 석회화 정도가 class III 부정교합자에 비해 높았다(p < 0.05). 치아의 석회화와 골 성숙도의 연관성은 높았으며 class II와 class III 부정교합환자의 치아의 성숙도는 치아에 따라 다른 성숙도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