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lignant pleural effusion

검색결과 134건 처리시간 0.041초

New-Onset Malignant Pleural Effusion after Abscess Formation of a Subcarinal Lymph Node Associated with Endobronchial Ultrasound-Guided Transbronchial Needle Aspiration

  • Jang, Sun Mi;Kim, Min Ji;Cho, Jeong Su;Lee, Geewon;Kim, Ahrong;Kim, Jeong Mi;Park, Chul Hong;Park, Jong Man;Song, Byeong Gu;Eom, Jung Seop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7권4호
    • /
    • pp.188-192
    • /
    • 2014
  • We present a case of an unusual infectious complication of a ruptured mediastinal abscess after endobronchial ultrasound-guided transbronchial needle aspiration (EBUS-TBNA), which led to malignant pleural effusion in a patient with stage IIIA non-small-cell lung cancer. EBUS-TBNA was performed in a 48-year-old previously healthy male, and a mediastinal abscess developed at 4 days post-procedure. Video-assisted thoracoscopic surgery was performed for debridement and drainage, and the intraoperative findings revealed a large volume pleural effusion that was not detected on the initial radiographic evaluation. Malignant cells were unexpectedly detected in the aspirated pleural fluid, which was possibly due to increased pleural permeability and transport of malignant cells originating in a ruptured subcarinal lymph node from the mediastinum to the pleural space. Hence, the patient was confirmed to have squamous cell lung carcinoma with malignant pleural effusion and his TNM staging was changed from stage IIIA to IV.

CEA, AFP, CA125, CA153 and CA199 in Malignant Pleural Effusions Predict the Cause

  • Wang, Xin-Feng;Wu, Yan-Hua;Wang, Mao-Shui;Wang, Yun-Sha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호
    • /
    • pp.363-368
    • /
    • 2014
  • Determination of the cause of malignant pleural effusions is important for treatment and management, especially in cases of unknown primaries. There are limited biomarkers available for prediction of the cause of malignant pleural effusion in clinical practice. Hence, we evaluated pleural levels of five tumor biomarkers (CEA, AFP, CA125, CA153 and CA199) in predicting the cause of malignant pleural effusion in a retrospective study. Kruskal-Wallis or Mann-Whitney U tests were carried out to compare levels of tumor markers in pleural effusion among different forms of neoplasia - lung squamous cell carcinoma, adenocarcinoma, or small cell carcinoma, mesothelioma, breast cancer, lymphoma/leukemia and miscellaneous. Receiver operator characteristic analysis was performed to evaluat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biomarkers. The Kruskal-Wallis tes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vels of pleural effusion CEA (P<0.01), AFP (P<0.01), CA153 (P<0.01) and CA199 (P<0.01), but not CA125 (P>0.05), among the seven groups. Receiver operator characteristic analysis showed that, compared with other four tumor markers, CA153 was the best biomarker in diagnosing malignant pleural effusions of lung adenocarcinoma (area under curve (AUC): 0.838 (95%confidence interval: 0.787, 0.888); cut-off value: 10.2U/ml; sensitivity: 73.2% (64.4-80.8)%, specificity: 85.2% (77.8-90.8)%), lung squamous cell carcinoma (AUC: 0.716 (0.652, 0.780); cut-off value: 14.2U/ml; sensitivity: 57.6% (50.7-64.3)%, specificity: 91.2% (76.3-98.0)%), and small-cell lung cancer (AUC: 0.812 (0.740, 0.884); cut-off value: 9.7U/ml; sensitivity: 61.5% (55.0-67.8)%, specificity: 94.1% (71.2-99.0)%); CEA was the best biomarker in diagnosing MPEs of mesothelioma (AUC: 0.726 (0.593, 0.858); cut-off value: 1.43ng/ml; sensitivity: 83.7% (78.3-88.2)%, specificity: 61.1% (35.8-82.6)%) and lymphoma/leukemia (AUC: 0.923 (0.872, 0.974); cut-off value: 1.71ng/ml; sensitivity: 82.8% (77.4-87.3)%, specificity: 92.3% (63.9-98.7)%). Thus CA153 and CEA appear to be good biomarkers in diagnosing different causes of malignant pleural effusion. Our findings implied that the two tumor markers may improve the diagnosis and treatment for effusions of unknown primaries.

악성 흉막삼출액에서 Viscum Album 치료 (Viscum Album Therapy in Malignant Pleural Effusion)

  • 김종중;이석기;임진수;최형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12호
    • /
    • pp.978-982
    • /
    • 2004
  • 배경: 악성 흉막 삼출액은 암환자에서 흔히 나타나는 임상 증상이며, 진단이 되면 보존적 요법으로 치료하는데, 가장 흔히 사용되는 방법은 화학적 흉막 유착술이다.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talc는 환자 삶 질을 향상시키는 못한다. 저자들은 악성 흉막 삼출액을 치료하는 다른 경화제인 Viscum album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11월부터 2003년 10월까지 악성 흉막 삼출액으로 치료를 받은 1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Talc group I (10명)과 Viscum album group II (7명)으로 나누어서 후향적으로 여러 가지 인자와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성별, 연령, 원발성 종양 및 병변 부위는 양군 간에 차이는 없었지만, 성공률은 group I에서 더 높았고, group II에서는 시술 후 더 짧은 흉관 유지 기간, 더 높은 Karnofsky performance와 낮은 재발률을 보여 주었다. 치료가 실패한 경우는 흉막 삼출액 pH 및 흉강삽관술 시행 후 화학적 흉막 유착술 기간과 관련이 있었다. 결론: Viscum album을 이용한 화학적 흉막 유착술이 talc를 사용한 경우보다 성공률은 약간 낮았지만,악성 흉막 삼출액 환자의 삶에 대한 질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선택된 경우에 대용 치료법이 될 수 있을 것 같다.

p16과 RARB2 유전자의 비정상적인 메틸화 검사를 이용한 악성 흉수의 진단 (Diagnosis of Malignant Pleural Effusion by using Aberrant Methylation of p16 and RARB2)

  • 나서희;이수미;구태형;신봉철;허정훈;엄수정;양두경;이수걸;손춘희;노미숙;배호정;김기남;이기남;최필조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4권4호
    • /
    • pp.285-292
    • /
    • 2008
  • 연구배경: 악성 흉수가 있는 환자는 예후가 좋지 않아 이를 감별하는 것은 임상적으로 중요한 일이다. 하지만 흉수 내 세포진 검사가 음성일 경우 진단이 쉽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흉수 탈락 세포에서 추출한 DNA에서 종양억제 유전자로 알려진 retinoic acid receptor b2 (RARB2)와 p16 유전자의 과메틸화 측정이 악성 흉수 진단에 도움이 될 수 있을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방법: 43명의 환자에서 흉수를 천자하여 흉수 내 탈락 세포에서 메틸화 특이 PCR 방법으로 RARB2와 p16 유전자의 과메틸화를 측정하고, 이를 흉막 생검 및 흉수 세포진 검사법과 비교하였다. 결과: 43명의 환자 중 17명은 폐렴, 결핵에 의한 양성 흉수 환자였고, 26명은 흉막 침범 폐암 환자였다. 17명의 양성 흉수에서는 흡연 유무와 상관없이 RARB2와 p16 유전자의 과메틸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26명의 악성 흉수에서 과메틸화는 각각 14명, 5명에서 관찰되었으며, 두 유전자 중 어느 한 쪽이라도 과메틸화가 생긴 경우는 15명이었다. 흉막 생검, 흉수 내 세포진 검사, RARB2 단독, p16 단독, 두 유전자 동시 측정 과메틸화 검사의 민감도는 각각 73.1%, 53.8%, 53.8%, 19.2%, 57.7%이었고, 음성 예측도는 각각 70.8%, 58.6%, 58.6%, 44.7%, 60.7%로서 두 유전자를 동시에 검사할 때의 민감도와 음성 예측도는 흉막 생검보다는 낮았지만, 흉수 내 세포진 검사보다는 높았다. 또, 소세포암에서 p16를 이용한 민감도가 14.3%로 떨어져서 조직 유형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 결과에서 p16과 RARB2 유전자의 과메틸화의 발견은 악성 흉수를 양성과 감별하는데 높은 특이도를 보였고, 민감도 역시 흉수 내 세포진 검사보다 높은 방법이었다. 폐암의 세포 유형에 따른 분자 생물학적 병리를 이해하고 적절한 유전자를 선정한다면 이런 결과는 더욱 향상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흉수분석에 의한 질병의 감별진단 (Differential Diagnosis By Analysis of Pleural Effusion)

  • 고원기;이준구;정재호;박무석;정낙영;김영삼;양동규;유내춘;안철민;김성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1권6호
    • /
    • pp.559-569
    • /
    • 2001
  • 연구배경 : 흉수는 악성종양이나 결핵, 폐렴 등의 다양한 호흡기질환과 관계하여 흔하게 나타나는 임상양상이다. 그러나 그 원인의 감별진단에 도움이 되는 유용한 흉수의 생화학적 검사는 없는 상태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각 질환의 삼출액을 비교분석하여 각 질환을 감별 진단할 수 있는 생화학적 지표를 찾아보고 악성과 비악성을 감별 진단할 수 있는 생화학적 지표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본 저자 등은 1998년 1월부터 1999년 8월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 호흡기내과 외래 및 입원 환자 93명을 대상으로 흉수의 혈구감별 및 세포수, 단백, 당, 비중, 산도, LDH, cholesterol, protein, albumin, bilirubin, Mg, iron, amylase, ferritin, haptoglobin, ceruloplasmin, C3, C4, ADA, 그람 염색 및 및 세균배양, Z-N 염색 및 M. tuberculosis 배양을 하였으며 그 외 조직병리검사 및 세포병리검사를 시행하였다. 결 과 : 대상군의 남녀비는 각각 56 : 37명이었고 평균 연령은 $47.1{\pm}21.8$세 이었으며 진단은 악성 삼출액 16례, 부악성 삼출액 12례, 결핵성 삼출액 36례, 부폐렴성 심출액 22례, 여출액 7례이었다. 각 질환별로 비교하여 보았을 때 부폐렴성 흉수와 비교하여 유의하게 증가하는 생화학적 지표는 부악성 흉수에서 LDH2 분절이었고 각각의 LDH2 분절치는 $20.2{\pm}7.5%$$30.6{\pm}6.4%$이었으며 각 질환별로 상호 비교하여 보았을 때 결핵성 흉수와 비교하여 유의하게 증가하는 생화학적 지표는 부악성 흉수에서 LDH1 분절, LDH2 분절이었고 각각의 LDH1 분절치는 $7.6{\pm}4.7%$$16.4{\pm}7.2%$ 각각의 LDH2 분절치는 $17.6{\pm}6.3%$$30.6{\pm}6.4%$ 이었다. 각 질환별로 상호 비교하여 보았을 때 결핵성 흉수와 비교하여 유의하게 감소하는 생화학적 지표는 악성 흉수에서 흉수/혈청 LDH4 분절비이었고 각각의 흉수/혈청 LDH4 분절 비치는 $2.1{\pm}0.6$$1.5{\pm}0.8$이었다. 또한 각 질환별로 상호 비교하여 보았을 때 결핵성 흉수와 비교하여 유의하게 감소하는 생화학적 지표는 부악성 흉수는에서 LDH4 분절과 흉수/혈청 LDH4 분절비이었고 각각의 LDH4 분절치는 $23.5{\pm}4.6%$$17.0{\pm}5.8%$이었고 흉수/혈청 LDH4 분절비치는 각각 $2.1{\pm}0.6$$1.3{\pm}0.4$ 이었다. 결 론 : 각질환의 감별진단하는데 유용한 생화학적 지표는 LDH isoenzyme 이었고 이 중 부악성 삼출액과 결핵성 삼출액을 감별하는 흉막액/혈청 LDH4 분절비가 cut-off value 1.75에서 sensitivity 61.0% specificity 100% positive predictive value 91.2%로 가장 유용하였다.

  • PDF

흉막수에서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의 진단적 의의 (Significance o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in Pleural Effusion)

  • 김현구;조원민;류세민;조양현;심재훈;손영상;김학제;최영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9호
    • /
    • pp.781-786
    • /
    • 2004
  • 흉막수의 원인별 감별진단을 위한 기존의 검사 방법들은 한계가 있었다. 저자들은 VEGF를 이용한 흉막수의 원인별 감별 진단의 유용성과 기존의 검사 수치들과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흉막수를 가진 총 35명의 환자를 악성종양군(n=10), 양성종양군(n=5), 염증성 질환군(n=10), 그리고 기흉군(n=10)으로 나누어 전향적 연구를 하였다. 각 군으로부터 흉막수를 채취하여 혈구검사, 생화학적 검사(포도당, 단백질, LDH, ADA), 그리고 VEGF를 측정하였다. 결과: 포도당은 염증성 질환군이 양성종양군(60.5$\pm$36.09 mg/dL vs. 162.0$\pm$19.80 mg/dL, p=0.011)과 기흉군(60.5$\pm$36.09 mg/dL vs. 107.3$\pm$15.99 mg/dL, p=0.010)에 비해 낮았고, 양성종양군은 기흉군에 비해 높았다 (162.0$\pm$19.80 mg/dL vs. 107.3 $\pm$ 15.99 mg/dL, p=0.004). ADA는 염증성 질환군이 악성종양군(87.9 $\pm$42.62 IU/L vs. 27.7$\pm$31.04 IU/L, p=0.024)과 기흉군(87.9$\pm$42.62 IU/L vs. 38.5$\pm$33.32 IU/L, p=0.047)에 비해 높았다. VEGF는 기흉군에 비해 악성종양군(82.9$\pm$58.49 pg/dL vs. 364.3$\pm$433.83 pg/dL, p=0.026)과 염증성 질환군(82.9$\pm$58.49 pg/dL vs. 335.8$\pm$383.34 pg/dL, p=0.048)에서 높았다. 악성종양군에서의 VEGF가 양성종양군(364.38$\pm$433.83 pg/dL vs. 53.3$\pm$22.20 pg/dL, p=NS)에 비해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인 의미는 없었다. VEGF전체 값과 다른 검사치들의 전체 값과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흉막수의 원인별 감별진단을 위한 방법 중 농흉에서는 포도당이, 결핵에서는 ADA가 도움이 된다고 할 수 있다. VEGF는 맥관형성과 혈관 투과성이 증가하는 질환인 악성종양과 염증성 질환에서 다른 군에 비해 증가하나 이 두 군 사이를 감별 진단하는 데에는 도움이 되지 못한다고 할 수 있다. 악성종양에서 양성종양에 비해 VEGF가 높은 경향을 보여 좀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또한 VEGF가 다른 기존의 검사수치와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밝혀져 흉막수의 원인별 감별진단을 위해 앞으로 새로운 검사방법이나, 기존의 검사 수치와 새로운 조합을 하는 데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유두상 갑상선 암에 의한 흉막 전이 1예 (A Case of Pleural Metastasis from Papillary Tthyroid Carcinoma)

  • 정재헌;신상윤;손명균;이영주;김세현;기정혜;최윤정;홍용국;한창훈;이선민;김정주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3권2호
    • /
    • pp.188-193
    • /
    • 2007
  • 악성 흉수의 원인은 폐암, 유방암, 및 악성 림프종, 백혈병이 그 대부분을 차지하며 내분비 종양에 의한 악성 흉수는 매우 드물며 특히 유두상 갑상선 암에 의한 흉수는 거의 없다. 저자들은 유두상 갑상선 암이 폐 전이를 거치지 않고 유방 전이를 거쳐 흉막 전이 일으킨 것으로 보이는 1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아울러 원인이 명확하지 않은 악성 흉수의 원인 감별에 유두상 갑상선 암도 고려 대상으로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악성 흉수, 결핵성 흉수 및 부폐렴 삼출액과 농흉에서 Interferon-gamma, Interleukin-2 Receptor, Interleukin-6, Interleukin-10 농도의 비교 (The Levels of Interferon-gamma, Interleukin-2 Receptor, Interleukin-6 and Interleukin-10 in the Patients with Malignant Pleural Effusion, Tuberculosis Effusion, Parapneumonic Effusion, and Lung Emphysema?)

  • 김명훈;김승준;박용근;김석찬;이숙영;김영균;김관형;문화식;송정섭;박성학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9권5호
    • /
    • pp.568-575
    • /
    • 2000
  • 연구배경 : Cytokine은 주요한 염증 매개 물질로서 질환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일 수 있어, 흉수를 일으키는 다양한 원인 질환의 감별에 이용되어 왔다. 이 중에서 악성 흉수, 결핵성 흉수, 부폐렴 삼출액 및 농흉에서 INF-${\gamma}$, IL-2R, IL-6, IL-1를 동사에 측정하여 비교한 연구는 많지 않아 본 연구를 시행하게 되었다. 방법 : 흉수를 주소로 내원한 환자 중에서 흉수 천자로 삼출액이 확인된 환자들을 대상으로 흉수를 채취하여, ELISA kit를 이용하여 INF-${\gamma}$, IL-2R, IL-6, IL-10 농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 악성 흉수, 결핵성 흉수, 부폐렴 삼출액 및 농흉에서 흉수 내의 cytokine의 순서대로, INF-${\gamma}$$16.7{\pm}50$, $295.5{\pm}585.5$, $10.0{\pm}0$ pg/ml, IL-2R은 $3247.4{\pm}1713.3$, $7423.5{\pm}3752.8$, $3790.2{\pm}3201.1$ pg/ml, IL-6는 $600{\pm}12.8$, $556.4{\pm}161.7$, $514.4{\pm}224.8$ pg/ml, IL-10은 $28.2{\pm}55.5$, $11.3{\pm}11.7$, $98.4{\pm}141.7$ pg/ml로 각각 측정되어, 결핵성 흉수가 다른 원인의 흉수에 비해 IL-2R 농도가 의 있게 높았으며, IFN-${\gamma}$ 농도도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부폐렴 삼출액에서는 IL-10농도가 다른 원인의 흉수에 비해 의미있게 높았다. 결론 : 결론적으로 흉수 내의 IL-2R농도 측정은 결핵성 흉수와 다른 원인의 흉수를 감별하는데 어느 정도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되며, IL-10 측정은 부폐렴 삼출액과 다른 원인의 흉수를 감별하는데 어느 정도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결핵성 및 악성흉수의 감별에 있어 흉수 내 TNF-α의 유용성 (TNF-α in the Pleural Fluid for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Tuberculous and Malignant Effusion)

  • 김혜진;신경철;이재웅;김규진;홍영훈;정진홍;이관호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9권6호
    • /
    • pp.625-630
    • /
    • 2005
  • 배 경 : 삼출성흉수의 원인질환 중 흉수 내 림프구가 우세한 경우는 결핵성흉수와 암성흉수가 가장 흔하다. 그러나 두 질환의 감별은 흉막생검을 비롯한 침습적 방법이 필요하며 약 20% 정도는 진단을 명확하게 내릴수 없다. TNF-${\alpha}$는 종양세포나 다른 염증성세포들과 작용하여 숙주의 면역체계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감염성 혹은 악성흉수인 경우 흉수 내 TNF-${\alpha}$는 증가한다. 저자들은 결핵성흉수와 악성흉수를 구분하는데 세포성 면역에 관계하는 TNF-${\alpha}$의 유용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 법 : 삼출성 흉수로 입원한 환자 46 예(암성흉수 13 예, 결핵성흉수 33 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혈청과 흉수의 TNF-${\alpha}$를 ELISA법으로 측정하였으며, 혈청에 대한 흉수의 TNF-${\alpha}$ 농도의 비(TNF-${\alpha}$ 비)를 구하였다. 결 과 : 결핵성흉수 및 악성흉수의 혈청 내 TNF-${\alpha}$는 차이가 없었으나, 흉수 내 TNF-${\alpha}$는 결핵성흉수가 유의하게 높았으며(p<0.01), TNF-${\alpha}$ 비 역시 결핵성흉수가 높았다(p<0.05). 그러나 두 질환의 혈청 및 흉수 내 TNF-${\alpha}$의 상관관계는 없었다. ROC 곡선을 이용하여 이들 질환의 감별할 수 있는 기준치를 구하였는데 흉수 내 TNF-${\alpha}$의 절사값을 136.4 pg/mL로 하였을 때 민감도 81%, 특이도 80% (p<0.005), TNF-${\alpha}$ 비는 절사값을 6.4로 하였을 때 민감도 76%, 특이도 70% (p<0.05) 이었다. 곡선밑면적은 흉수 내 TNF-${\alpha}$가 TNF-${\alpha}$ 비보다 유의하게 넓었다. 결 론 : 흉수 내 TNF-${\alpha}$측정과 TNF-${\alpha}$ 비는 결핵성흉수와 암성흉수를 감별진단 하는데 이용될 수 있으며, 흉수 내 TNF-${\alpha}$가 TNF-${\alpha}$ 비보다 더 유용한 지표로 판단된다.

Which is the More Effective Option for Pleurodesis to Prevent the Recurrence of Malignant Pleural Effusion? Large-Particle Talc or Mistletoe Extract (ABNOVA Viscum Injection)

  • Changsung Han;Jonggeun Lee;Jeong Su Cho;Hyo Yeong Ah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6권5호
    • /
    • pp.353-358
    • /
    • 2023
  • Background: Malignant pleural effusion affects many patients with advanced cancer. When chemotherapy or radiotherapy fails to relieve malignant pleural effusion and related symptoms, drainage and pleurodesis can help. Although surgical talc pleurodesis is the most widely used method, Viscum album, which has been recently used in surgical or bedside procedures, has demonstrated significant results and is as effective as talc.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most effective agent and procedure. Methods: Between January 2015 and July 2022, chemical pleurodesis was performed in 137 patients with malignant pleural effusion, using a V. album surgical procedure in 48, a V. album bedside procedure in 55, and a talc surgical procedure in 34 patients. We reviewed patients' clinical responses and disease progression after chemical pleurodesis. Results: The success rat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V. album surgical procedures (91.7%), V. album bedside procedures (83.6%), and talc surgical procedures (91.2%). However, the total drainage amount and tube insertion duration in both Viscum groups were more effective than those in the talc group. Furthermore, the bedside Viscum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post-pleurodesis pain scores than the other 2 groups. Conclusion: According to our results, talc and V. album can be considered ideal agents for chemical pleurodesis. However, Viscum pleurodesis showed safer outcomes in terms of ensuring quality of life than talc. Additionally, the bedside Viscum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pain scores than the other groups. Hence, patients for whom surgical procedures are inappropriate can undergo bedside Viscum pleurodesis without diminishing the therapeutic eff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