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licious software

검색결과 170건 처리시간 0.026초

연관규칙 마이닝과 나이브베이즈 분류를 이용한 악성코드 탐지 (Detection of Malicious Code using Association Rule Mining and Naive Bayes classification)

  • 주영지;김병식;신주현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1759-1767
    • /
    • 2017
  • Although Open API has been invigorated by advancements in the software industry, diverse types of malicious code have also increased. Thus, many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to discriminate the behaviors of malicious code based on API data, and to determine whether malicious code is included in a specific executable file. Existing methods detect malicious code by analyzing signature data, which requires a long time to detect mutated malicious code and has a high false detection rate. Accordingly,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hat analyzes and detects malicious code using association rule mining and an Naive Bayes classification. The proposed method reduces the false detection rate by mining the rules of malicious and normal code APIs in the PE file and grouping patterns using the DHP(Direct Hashing and Pruning) algorithm, and classifies malicious and normal files using the Naive Bayes.

응용 소프트웨어 안전성 검증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afety Verification System for Application Software)

  • 소우영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191-197
    • /
    • 2008
  • 악성 소프트웨어로 인한 피해가 나날이 급증하면서, 컴퓨터 사용자가 보안상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인 백신 프로그램은 악성코드가 실행된 이후에 이를 탐지한다. 이러한 백신 프로그램은 알려진 악성코드에 대해서는 효율적인 결과를 보이지만, 실행 전 응용 소프트웨어에 포함되어 있는 악성코드의 검출에 대해서는 그 기능이 없거나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응용 소프트웨어의 실행 전 악성코드의 유무를 판단하기 위해 응용소프트웨어의 안전성 검증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안전성 검증 시스템은 악성코드의 흐름 유형을 파악하여 소프트웨어가 실행되기 전 이를 탐지함으로서 악성코드로 인해 일어날 수 있는 피해를 줄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ndroid malicious code Classification using Deep Belief Network

  • Shiqi, Luo;Shengwei, Tian;Long, Yu;Jiong, Yu;Hua, Sun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2권1호
    • /
    • pp.454-475
    • /
    • 2018
  • This paper presents a novel Android malware classification model planned to classify and categorize Android malicious code at Drebin dataset. The amount of malicious mobile application targeting Android based smartphones has increased rapidly. In this paper, Restricted Boltzmann Machine and Deep Belief Network are used to classify malware into families of Android application. A texture-fingerprint based approach is proposed to extract or detect the feature of malware content. A malware has a unique "image texture" in feature spatial relations. The method uses information on texture image extracted from malicious or benign code, which are mapped to uncompressed gray-scale according to the texture image-based approach. By studying and extracting the implicit features of the API call from a large number of training samples, we get the original dynamic activity features sets. In order to improve the accuracy of classification algorithm on the features selection, on the basis of which, it combines the implicit features of the texture image and API call in malicious code, to train Restricted Boltzmann Machine and Back Propagation. In an evaluation with different malware and benign samples, the experimental results suggest that the usability of this method---using Deep Belief Network to classify Android malware by their texture images and API calls, it detects more than 94% of the malware with few false alarms. Which is higher than shallow machine learning algorithm clearly.

시그니처 기반 안티 바이러스 성능 향상 기법에 대한 연구 (A Performance Enhancement Scheme for Signature-based Anti-Viruses)

  • 조민재;신지선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65-72
    • /
    • 2015
  • 안티바이러스는 단말에서 악성소프트웨어를 탐지하는데 있어 널리 사용되는 솔루션이다. 이 중 시그니처 기반 안티바이러스는 가장 기본적인 탐지방법으로 파일과 악성소프트웨어의 시그니처를 비교하여 탐지한다. 최근 악성소프트웨어의 수가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시그니처 기반 안티바이러스의 탐지 시간이 증가하고 시간당 처리량이 줄어들면서 성능 저하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 제시된 주요 연구 결과를 살펴보고 이를 개선한 새로운 성능향상 솔루션을 제시한다. 특히, 본 논문의 솔루션은 성능향상 수준이 가장 높은 솔루션으로 알려진 SplitScreen과 비교하여, 클라이언트의 작업을 줄이고, 시그니처 서버와의 통신비용을 줄여 안티바이러스 솔루션의 성능향상에 기여하였다.

SVM을 활용한 악성 웹 페이지 분류 (Classification of Malicious Web Pages by Using SVM)

  • 황영섭;문재찬;조성제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77-83
    • /
    • 2012
  • 웹 페이지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악성코드가 웹 페이지를 통해 배포되는 것도 늘어났다. 악성코드는 개인정보 유출, 시스템의 성능저하, 시스템의 좀비 피씨화 등의 피해를 입힌다. 이런 피해를 막으려면 악성코드가 있는 웹 페이지의 접근을 막아야 한다. 그런데 웹 페이지에 있는 악성코드는 난독화나 변형기법으로 위장하고 있어 기존 안티바이러스 소프트웨어가 사용하는 시그니처 방식의 접근법으로 찾아내기 어렵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웹 페이지를 분석하여 악성 웹 페이지와 양성 웹 페이지를 구별하기 위한 특징을 추출하고, 기계 학습법으로 널리 사용되는 SVM을 통하여 악성 웹 페이지를 분류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이 우수함을 실험을 통하여 보인다. 제안한 방법으로 악성 웹 페이지를 정확히 분류하면 웹 페이지를 통한악성코드의 배포를 막는데 이바지할 것이다.

Classifying Malicious Web Pages by Using an Adaptive Support Vector Machine

  • Hwang, Young Sup;Kwon, Jin Baek;Moon, Jae Chan;Cho, Seong Je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9권3호
    • /
    • pp.395-404
    • /
    • 2013
  • In order to classify a web page as being benign or malicious, we designed 14 basic and 16 extended features. The basic features that we implemented were selected to represent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a web page. The system heuristically combines two basic features into one extended feature in order to effectively distinguish benign and malicious pages. The support vector machine can be trained to successfully classify pages by using these features. Because more and more malicious web pages are appearing, and they change so rapidly, classifiers that are trained by old data may misclassify some new pages. To overcome this problem, we selected an adaptive support vector machine (aSVM) as a classifier. The aSVM can learn training data and can quickly learn additional training data based on the support vectors it obtained during its previous learning session. Experimental results verified that the aSVM can classify malicious web pages adaptively.

A study on Countermeasures by Detecting Trojan-type Downloader/Dropper Malicious Code

  • Kim, Hee Wa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9권4호
    • /
    • pp.288-294
    • /
    • 2021
  • There are various ways to be infected with malicious code due to the increase in Internet use, such as the web, affiliate programs, P2P, illegal software, DNS alteration of routers, word processor vulnerabilities, spam mail, and storage media. In addition, malicious codes are produced more easily than before through automatic generation programs due to evasion technology according to the advancement of production technology. In the past, the propagation speed of malicious code was slow, the infection route was limited, and the propagation technology had a simple structure, so there was enough time to study countermeasures. However, current malicious codes have become very intelligent by absorbing technologies such as concealment technology and self-transformation, causing problems such as distributed denial of service attacks (DDoS), spam sending and personal information theft. The existing malware detection technique, which is a signature detection technique, cannot respond when it encounters a malicious code whose attack pattern has been changed or a new type of malicious code.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perform static analysis on malicious code to which code obfuscation, encryption, and packing techniques are applied to make malicious code analysis difficult. Therefore, in this paper, a method to detect malicious code through dynamic analysis and static analysis using Trojan-type Downloader/Dropper malicious code was showed, and suggested to malicious code detection and countermeasures.

감성분석과 SVM을 이용한 인터넷 악성댓글 탐지 기법 (A Malicious Comments Detection Technique on the Internet using Sentiment Analysis and SVM)

  • 홍진주;김세한;박제원;최재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260-267
    • /
    • 2016
  • 인터넷을 통해 많은 정보를 얻고 많은 정보를 타인에게 제공하면서 개인의 삶의 양식에 큰 변화를 가져다주었다. 모든 사회 현상에는 양면성이 있듯이 인터넷 익명성을 이용하여 명예훼손, 인신공격, 사생활 침해등과 같이 악의적으로 이용하여 사회적으로 심각한 문제를 양산하고 있다. 인터넷 게시판의 악성댓글은 인터넷에서 발생하는 불법적인 언사나 행위와 관련하여 가장 대두되고 있는 문제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악성댓글에 사용된 단어들은 변형이 많이 나타나기 때문에 기존 연구들은 이러한 변형된 악성어휘를 인식하는데 한계점이 존재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의 한계점을 개선하여 악성댓글을 탐지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실험결과 87.8%의 정확도를 나타냈으며, 이는 기존 연구들에 비해 상당히 발전된 결과로 볼 수 있다.

머신러닝 기반 손상된 디지털 파일 내부 은닉 악성 스크립트 판별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ML-based Detection System for Malicious Script Hidden Corrupted Digital Files)

  • 이형우;나상원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1-9
    • /
    • 2023
  • 최근 MS Office 파일 내에 악성 스크립트 등이 은닉된 멀웨어 파일이 발견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머신러닝 기법을 적용하여 악성 디지털 파일을 자동으로 검출할 수 있는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MS Office 파일 내 OLE VBA 매크로 기능을 악용하여 악성 스크립트를 검출하거나, OOXML 구조 분석을 통해 CDH/LFH/ECDH 내부 필드 값에 악성 스크립트를 탐지하고, OOXML 구조에서 참조되지 않는 비정상적인 CDH/LFH 정보를 추가한 경우 이를 검출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VirusTotal 악성 스크립트 판별 기능을 이용하여 MS Office 파일에 대한 악의적 손상 여부 자동 판별하는 기능을 이용하여 머신러닝 기반 통합 소프트웨어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실험 결과 파일 손상 여부를 자동 판별할 수 있으며 최적의 머신러닝 모델을 이용하여 임의의 MS Office 파일에 대해 향상된 검출 성능을 제공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악성 이메일 공격의 사전 탐지 및 차단을 통한 이메일 보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mail Security through Proactive Detection and Prevention of Malware Email Attacks)

  • 유지현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5권4호
    • /
    • pp.672-678
    • /
    • 2021
  • 시간이 지날수록 새로운 맬웨어는 계속 증가하고, 점점 고도화되고 있다. 악성 코드를 진단하기 위해 실행파일에 관한 연구는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비실행 문서파일과 악성 URL, 문서 내 악성 매크로 및 JS 등을 악용하여 이메일에 악성 코드 위협을 내재화한 공격은 탐지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본 논문에서는 악성 이메일 공격의 사전 탐지 및 차단을 통한 이메일 보안을 위해 악성 코드를 분석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AI 기반으로 비실행 문서파일의 악성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다양한 알고리즘 중에 효율적인 학습 모델링 방법을 채택하고 Kubeflow를 활용하여 악성 코드를 진단하는 ML 워크플로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