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lformed cells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7초

D-Alaninepeptidase에 의한 세균의 삼투압 및 항생제에 대한 취약성 증가 (D-Alaninepeptidase Increases the Vulnerability of Bacterial Cells to Osmotic Stress and Antibiotics)

  • 송진수;이영남
    • 미생물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299-305
    • /
    • 2006
  • 삼투압 환경에서 D-alaninepeptidase가 세균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을 D-alaninepeptidase에 노출시킨 세균의 생존율로 살려본 바, 균을 D-alaninepeptidase와 삼투압에 동시에 노출시켰을 때, 균의 생존율이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히 감소되었는데, 그람 양성 구균보다 그람 음성 간균의 생존감소율이 더욱 컸다. D-Alaninepeptidase와 높은 삼투압 환경에 노출시킨 균의 경우, 삼투압에만 노출시킨 대조군에 비하여 균체의 와해 또는 손상을 받은 비정형적 균의 수가 많이 증가했음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D-Alaninepeptidase와 항생제에 동시에 노출시킨 세균들(항생제 내성 균주 포함)의 항생제(gentamycin, vancomycin, kanamycin)에 대한 감수성을 원판확산법으로 살펴본바 D-alaninepeptidase에 노출시킨 세균들의 항생제 감수성이 증가하는 추세였는데 Proteus vulgaris 균주들의 vancomycin에 대한 감수성 증가는 괄목할 만하였다. 따라서 D-alaninepeptidase에 의하여 세균벽이 취약해져 삼투압이나 항생제 같은 외적 환경에 균이 민감해지는 것으로 사료된다.

중복요관을 가진 소아환자의 99mTc-DMSA 검사에서 부분적 관심영역 설정에 따른 신기능 평가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Evaluation of Renal Function According to Set a Partial Region of Interest in 99mTc-DMSA scan of the Pediatric Patient with a Duplicated Ureter)

  • 남궁혁;오신현;김정열;최윤정;김재삼;이창호
    • 핵의학기술
    • /
    • 제17권1호
    • /
    • pp.43-47
    • /
    • 2013
  • 중복요관은 요관이 두 개가 있는 선천성 신장 기형이다. 본원에서는 기형이 있는 신장 상극신의 중복요관을 하극신의 정상 요관에 연결시켜 신기능을 유지시키고자 하는 수술을 시행하고 있고, 수술 전과 후에 $^{99m}Tc-DMSA$ 검사를 시행하고 있다. 기존에는 검사 후 관심영역 설정 후 결과 도출 시에 기형이 있는 신장의 상극신과 하극신의 비교가 이루어지지 않고 정상 신장에 대한 기형이 있는 쪽 신장의 전체적인 상대적 섭취율만의 비교가 이루어졌다. 이에 본 연구는 수술 전과 후의 $^{99m}Tc-DMSA$ 검사 후 관심영역 설정 시에 기형이 있는 신장의 상극신과 하극신에 부분적인 관심영역을 각각 설정하여 기형이 있는 신장의 상극신 섭취율 변화를 통해 신실질 세포의 기능 회복 정도와 부분 관심영역 설정의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불완전중복요관의 기형을 가지고 수술 예정인 소아 환자 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검사는 $^{99m}Tc-DMSA$를 1.5~1.9 MBq/kg 주사하고, 3~4시간 후에 검사하였고, 정상신장과 기형이 있는 신장의 상극신과 하극신의 관심영역을 각각 설정하였다. 관심영역은 방사선사 1명, 핵의학과 전공의 1명, 비뇨기과 전문의 1명이 동석하여 수술 전 영상과 수술 후 영상을 같은 조건과 방법으로 설정하였다. 수술 전과 후의 추적검사에서 기형이 있는 신장의 상극신 섭취율의 변화에 대해 정상신장(A), 기형이 있는 신장의 하극신(B), 상극신(C)의 섭취율비(A: B: C)를 통하여 비교해 보았다. 15명의 소아 환자에서 수술 전과 후의 기형이 있는 신장의 상극신 섭취율의 변화에 대해 정상신장(A), 기형이 있는 신장의 하극신(B), 상극신(C)의 섭취율비(A: B: C)를 통하여 비교해본 결과로 섭취율이 향상된 환자가 7명, 저하된 환자가 8명 이었다. 섭취율이 향상된 환자 7명중 2명은 수술 후 14개월, 4명은 12개월, 나머지 1명은 8개월 후에 추적검사를 하였고, 저하된 환자 8명중 4명은 수술 후 12개월, 3명은 6개월, 나머지 1명은 4개월 후에 추적검사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에는 전체적인 좌.우 신장의 섭취율만을 이용하여 기형이 있는 신장의 정확한 섭취율 변화를 알아 볼 수 없었지만, 본 연구에서 제안한 부분적인 관심영역 설정방법을 이용하여 상극신과 하극신 각각의 섭취율 변화를 정확히 알아볼 수 있었다. 신장의 신실질 세포의 회복은 단기간에 평가를 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단기간의 추적검사를 통해서 기형이 있는 신장의 예후를 평가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그렇기 때문에 장기간의 추적검사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에 부분적인 관심영역 설정방법이 유용하게 사용될 것이라고 사료된다.

  • PDF

Ovarian Tumors in Rbp9 Mutants of Drosophila Induce an Immune Response

  • Kim, Jihyun;Kim, Chun;Kim-Ha, Jeongsil
    • Molecules and Cells
    • /
    • 제22권2호
    • /
    • pp.228-232
    • /
    • 2006
  • The Drosophila protein, Rbp9, is homologous to human Hu, which is reported to be involved in small cell lung cancer. Rbp9 functions in cystocyte differentiation, and mutations in Rbp9 cause ovarian tumors. Here we show that the antimicrobial peptide, Attacin, is upregulated in Rbp9 mutants, especially in ovaries where tumors form. Upregulation seems to result from activation of the NF-${\kappa}B$ pathway since we detected nuclear localization of Relish in Rbp9 mutant ovaries but not in wild type ovaries. Inactivation of NF-${\kappa}B$ in the Rbp9 mutant allows prolonged survival of malformed egg chambers. We conclude that Drosophila initiates an anti-tumor defense response via activation of NF-${\kappa}B$.

Anastral Spindle 3/Rotatin Stabilizes Sol narae and Promotes Cell Survival in Drosophila melanogaster

  • Cho, Dong-Gyu;Lee, Sang-Soo;Cho, Kyung-Ok
    • Molecules and Cells
    • /
    • 제44권1호
    • /
    • pp.13-25
    • /
    • 2021
  • Apoptosis and compensatory proliferation, two intertwined cellular processes essential for both development and adult homeostasis, are often initiated by the mis-regulation of centrosomal proteins, damaged DNA, and defects in mitosis. Fly Anastral spindle 3 (Ana3) is a member of the pericentriolar matrix proteins and known as a key component of centriolar cohesion and basal body formation. We report here that ana3m19 is a suppressor of lethality induced by the overexpression of Sol narae (Sona), a metalloprotease in a disintegrin and metalloprotease with thrombospondin motif (ADAMTS) family. ana3m19 has a nonsense mutation that truncates the highly conserved carboxyl terminal region containing multiple Armadillo repeats. Lethality induced by Sona overexpression was completely rescued by knockdown of Ana3, and the small and malformed wing and hinge phenotype induced by the knockdown of Ana3 was also normalized by Sona overexpression, establishing a mutually positive genetic interaction between ana3 and sona. p35 inhibited apoptosis and rescued the small wing and hinge phenotype induced by knockdown of ana3. Furthermore, overexpression of Ana3 increased the survival rate of irradiated flies and reduced the number of dying cells, demonstrating that Ana3 actively promotes cell survival. Knockdown of Ana3 decreased the levels of both intra- and extracellular Sona in wing discs, while overexpression of Ana3 in S2 cells dramatically increased the levels of both cytoplasmic and exosomal Sona due to the stabilization of Sona in the lysosomal degradation pathway. We propose that one of the main functions of Ana3 is to stabilize Sona for cell survival and proliferation.

Ultrastructural Study on Induced Resistance of Cucumber Plants against Sphaerotheca fuliginea by Oligochitosan

  • Ma, Qing;Zhao, Xiao-Ming;Sun, Hui;Shang, Hong-Sheng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7권1호
    • /
    • pp.8-13
    • /
    • 2011
  • The induced resistance of cucumber leaves treated with oligochitosan to the infection of the cucumber powdery mildew, Sphaerotheca fuliginea, was investigated using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he results showed that when the plants were treated with oligochitosan and challenged with inoculum, a significant decrease of the disease occurred. The mycelial development in the treated leaves was markedly inhibited. The cytoplasm of the powdery mildew mycelium was aggregated, with its organelles disintegrated and the cytoplasm collapsed. The protoplasm in haustoria became electron-dense. Haustoria became malformed, their organelles disintegrated, the hausterial wall thickened and eventually the whole complex necrotized. The host cells produced defence structures and materials associated with infection and a hypersensitive response. The host cell wall was thickened and deeply stained; several layers of papilla structure were produced under the cell wall; dark materials were deposited between the cell wall and plasmalemma; extrahaustorial plasmalemma was deeply stained and extrahaustorial matrix appositions had large deposits of electron-dense material; the cytoplasm was disordered, host organelles disintegrated and eventually the whole host cell disintegrated and necrotized.

Mecoprop-p interrupts the development of zebrafish via apoptosis and vascular damage

  • Park, Junho;An, Garam;Park, Hahyun;Hong, Taeyeon;Song, Gwonhwa;Lim, Whasun
    • 한국동물생명공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162-168
    • /
    • 2022
  • Mecoprop-p, a chlorophenoxy herbicide, has been widely used since the 1980s. Due to its high water solubility, it could be detected in the aquatic environment, as it has already been detected in the surface water or groundwater in several countries. The toxicity of other chlorophenoxy herbicides has been reported;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on the toxicity of mecoprop-p, one of the chlorophenoxy herbicides, on aquatic organisms. Here, we investigated the toxic effects of mecoprop-p using zebrafish. After mecoprop-p exposure, we observed that the zebrafish larvae eyes did not form normally, heart edema was generated, and the body length was shortened. The number of cells undergoing apoptosis also increased in the anterior part including head, heart, and yolk sac of the mecoprop-p-treated zebrafish compared to the untreated controls. Moreover, cardiovascular structures, including the heart and aortic arches, were also malformed after exposure to mecoprop-p. Therefore, our results suggest that mecoprop-p could cause abnormal development in zebrafish larvae and there is also a high possibility that mecoprop-p would be toxic to other aquatic organisms.

Trisomy 9 Mosaicism 1례 (A Case of Trisomy 9 Mosaicism)

  • 김영옥;박천학;최익선;김현정;조창이;최영륜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6호
    • /
    • pp.597-601
    • /
    • 2003
  • 저자들은 저출생 체중과 호흡 곤란을 주소로 출생 직후 이송 된 여아에서, 진찰상 안면과 골격계 기형 소견 보여 말초 혈액에서 시행한 염색체 핵형 검사에서 trisomy 9, low level mosaic type으로 진단되었던 1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