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jor minerals

검색결과 712건 처리시간 0.032초

주기적으로 침수되는 퇴적암의 풍화특성 (Weathering Characteristics of Sedimentary Rocks Affected by Periodical Submerging)

  • 이석훈;김수진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3-35
    • /
    • 2004
  • 울산시 사연댐 상류에 위치하여 주기적으로 침수되는 퇴적암의 풍화특징을 연구하였다. 현장조사, 전자현미분석기, Χ-선 회절분석기 및 Χ-선 형광분석기를 이용하여 암석의 풍화조직 및 광물의 조성변화 조사를 통해 주기적으로 침수되는 암석의 기계적 및 화학적 풍화양상을 연구하였다. 수장암석의 풍화작용은 퇴적층리와 수직방향으로 발달한 파쇄대 및 균열과 박리현상과 같은 기계적 풍화작용이 현저하다. 이러한 물리적인 풍화현상은 물과 암석과의 접촉면적을 넓혀 화학적 풍화작용을 가속화시킨 결과 풍화대와 약풍화대에서 석영을 제외한 거의 모든 광물이 용해작용 또는 변질작용을 받았으며, 특히, 탄산염광물의 용해작용이 현저하여 약풍화대에서 조차 방해석이 완전히 용해되어 빈 공간으로 남아있다. 그러나 점토광물과 같은 이차광물의 형성은 미약한 특징을 보인다. 이 지역의 암석은 일정기간 동안 물에 잠긴 상태로 유지되고, 동결과 해빙이 반복됨으로써 물리적 풍화작용이 상대적으로 빠르게 진행되어 물의 침투가 용이한 투수성 구조를 형성하였고, 그 결과 탄산염광물의 용해작용이 급속하게 일어났다. 자유로운 물의 순환으로 인하여 용해된 원소들이 점토광물과 같은 풍화광물로 침전되지 않고 용탈됨으로써 암석조직이 이완되어 풍화작용이 가속되었다. 퇴적암중 풍화에 극히 약한 탄산염광물의 높은 함량이 강한 화학적 풍화작용의 주 요인으로 보인다.

Influence of Soil and Forage Minerals on Buffalo (Bubalus bubalis) Parturient Haemoglobinuria

  • Akhtar, M.Z.;Khan, A.;Sarwar, M.;Javaid, 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0권3호
    • /
    • pp.393-398
    • /
    • 2007
  •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serum minerals profile in buffaloes (Bubalus bubalis) suffering from parturient haemoglobinuria (PHU) along with minerals profile of soils and fodders from the disease prone areas and their interrelationships. Serum samples were collected from 60 each of healthy and PHU affected buffaloes randomly selected from field cases. Serum samples were collected from each animal. Fifty composite soil samples were collected where PHU was prevalent. Fifty samples of fodders including leaves and stems being fed to the diseased buffaloes were collected. The difference in the levels of calcium and potassium between upper and lower soil surface of disease prone areas under study were statistically non-significant. The mean values of phosphorous, copper, iron, selenium and molybdenum in upper soil surface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in lower soil surface. None of the fodders offered to the diseased animals met the dietary requirements of phosphorus and copper whereas none of the fodders was deficient in potassium, iron and selenium rather were having excess of potassium, iron and selenium. The concentration of calcium was adequate in lucerne, berseem, sarson and sorghum, while maize, sugarcane and wheat straw did not meet the required levels for dairy animals. Molybdenum contents in all fodders were adequate to meet the dietary requirements of the dairy buffaloes. Serum phosphorus, copper and selenium were significantly (p<0.001) lower whereas potassium, iron and molybdenum in buffaloes suffering from PHU were significantly (p<0.001) higher than in healthy buffaloes. It was concluded that phosphorous deficient soils play a major role by transferring this deficiency to plants and ultimately reaching to animals where hypophosphataemia is a consistent finding.

한국 동남해역 대륙붕의 사립 중광물 분포 (Heavy Mineral Sands on the Southeastern Continental Shelf of Korea)

  • 최진용;박용안;최강원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271-278
    • /
    • 1995
  • 한국 동남해역의 대륙붕 표층 쇄설퇴적물에 함유된 중광물 사립자의 연구를 위하 여 88 정점의 표층시료가 분석되고 해석되었다. 중광물 함량의 분포지역은 크게 4지역 으로 다음과 같이 나누어진다. 1)서부지역-자철석,석류석 및 ZTR 등의 안정한 중광물 이 크게 농축되어 분포함, 2) 한국해곡지역-안정한 중과물의 비교적 우세한 분포, 3) 동부지역-각섬석류와 풍화된 광물, 그리고 휘석류의 분포가 우세함, 4) 북동부 붕단지 역-안정한 광물이 적으면, 풍화 변질된 중광물이 우세함. 이와 같은 중광물의 함량 및 분포양상은 대륙붕 해저에 영향을 미치는 현세 해수면상승 (해침)의 과정에 따른 동력 학적 에너지 (파랑작동과 연안류 운동) 와 관련된 것으로 해석된다. 휘석류 중광물이 우세만 퇴적물은 일본의 화산암으로부터 기원된 것으로 제안된다.

  • PDF

우리나라 성인 및 노인의 식이보충제 복용에 따른 비타민 및 무기질 영양상태 평가: 2017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Evaluation of Nutritional Status of Vitamins and Minerals According to Consumption of Dietary Supplements in Korean Adults and the Elderly: Report Based on 2017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 김지명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29-339
    • /
    • 2020
  • Objectives: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intake of vitamins and minerals from dietary supplements (DSs) in Korean adults and elderly. Methods: Data for this study was generated from the 2017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We analyzed 4,204 individuals aged 19 years and older (2,579 users and 1,625 non-users). The survey included 24-h recall questions on food and DS intakes, as well as questions on DS use over the past year. The nutrient DSs evaluated were calcium, phosphorus, iron, vitamin A, thiamin, riboflavin, niacin, and vitamin C. Total nutrient intakes were obtained by combining nutrient intakes of foods and DSs consumed by each subject. Results: Most micronutrient intakes from food (except for thiamin) in adult users, and the four micronutrient intakes (iron, vitamin A, vitamin B2 and vitamin C) in elderly user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values obtained in non-users. For total intake of nutrients and DSs, both adult and elderly users had a significantly higher intake than non-users. While proportions below Estimated Average Requirements for all micronutrients by adding respective DSs in users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adults and elderly as compared to non-users, the proportions of above Tolerable Upper Intake Levels for calcium and vitamin A in adults, and vitamin A in elderly,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total subjects examined, consumption of DSs was associated with lower odds ratios of undernutrition of micronutrients, and with higher odds ratios of overnutrition of calcium, iron, and vitamin A, as compared to non-users of DSs. Conclusions: Although DSs consumption by adults and the elderly improves the micronutrient status, it also increases the risk of excessive intake of certain vitamins and minerals.

Potential Antioxidant Trace Mineral (Zn, Mn, Cu and Fe) Concentrations Measured by Biochemical Indices in South Koreans

  • Cho, Young-Eun;Byun, Young-Mee;Kwak, Eun-Hee;Yoon, Jin-Sook;Oh, Hyun-Mee;Kim, Jae-Wang;Shin, Hyun-Soo;Kwon, Chong-Suk;Kwun, In-Sook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9권4호
    • /
    • pp.374-382
    • /
    • 2004
  • The concern of the antioxidant micronutrient status in normal healthy people, including antioxidant trace minerals such as Cu, Zn, Mn, Fe and Se is focused since systemic oxidation is involved in various chronic diseases. In the present study, we evaluated the concentration of trace minerals (Cu, Zn, Mn, and Fe) which are considered as potential antioxidant minerals in plasma, red blood cells (RBCs) and urine in normal healthy Korean subjects. The 760 subjects (male 341, female 419; mean age 54.2 $\pm$ 18.9) were recruited from the rural, urban and metropolitan city in South Korea. Dietary intake was evaluated using 24-hours recall for general major nutrient intake assessment. The trace elements (Cu, Zn, Mn, and Fe) concentrations in plasma, RBCs, and urine were measured by inductively coupled plasma spectrophotometer (ICP) and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 (AAS). Cu and Zn levels in plasma, RBCs and urine in normal healthy South Koreans were within the normal range of those mineral levels, but Mn and Fe levels were higher compared to the normal range of those mineral levels. None of the selected trace mineral levels in plasma and RBC's was lower than the normal range value. The results showed that Zn and Cu levels in plasma and RBC's in Korean were within the normal range, and plasma and urinary Mn and Fe levels were higher than the normal reference values. Potential antioxidant trace mineral (Cu, Mn, Zn and Fe) levels in Koreans are within or a bit higher than the normal range.

탄산칼슘 동질이상체의 수용액 기반 합성법 및 형태학적 특성 리뷰 (Review of Water-Based Synthetic Methods of Calcium Carbonate Polymorphs and Their Morphological Features)

  • 김영재;이선용;이영재
    • 자원환경지질
    • /
    • 제56권3호
    • /
    • pp.217-227
    • /
    • 2023
  • 결정질 탄산칼슘(CaCO3)은 방해석(calcite), 아라고나이트(aragonite), 바테라이트(vaterite) 세 동질이상체로 다양한 지질 및 수중 환경에서 흔하게 발생한다. 또한, 탄산칼슘 광물은 기능성 재료로 사용될 수 있어 공학적인 용도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자연계와 공학적인 세팅에서 생성되는 탄산칼슘의 형성 및 그 반응을 이해하고 다양한 생약 및 생의학 물질로 활용하기 위한 탄산칼슘 광물 형성에 대한 실험적 모사 방법(즉, 합성법)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왔다. 합성법에서 물을 용매로 탄산칼슘 결정 형성을 유도하는 방식(수용액-기반 합성법)은 자연계에서 발생하는 탄산염광물 형성 조건과 유사하므로 지질학 연구에서도 그 의미성이 매우 크다. 본 리뷰 논문에서는 문헌에서 보고되는 수용액-기반 탄산칼슘 합성법을 탄산칼슘 동질이상체 별로 분류한다. 또한, 여러 합성법에서 나타나는 결정의 형상 및 구조적 특성을 동질이상체 별로 분류하고 결정화 메커니즘을 통해 그 특성들을 토론하고자 한다.

회색혈암(灰色頁岩)에서 유래(由來)된 토양점토(土壤粘土) 광물(鑛物)의 특성(特性) (Clay Mineralogy of the Soils Derived from Gray Shale)

  • 엄명호;정필균;엄기태;임형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9
    • /
    • 1993
  • 경북(慶北) 일부(一部) 지역(地域)에 분포(分布)되어 있는 회색혈암(灰色頁岩)의 잔적층모재(殘積層母材), 붕적층모재(崩積層母材) 및 충적층모재에서 유래(由來)되고 지형적(地形的)으로 연쇄성(連鎖性)이 있는 토양(土壤)(대구통(大邱統), 시예통(詩禮統), 반호통(盤湖統), 비곡통(秘谷統))을 대상(對象)으로 토양점토광물(土壤粘土鑛物)에 대한 광물학적(鑛物學的) 특성(特性)과 생성과정(生成過程)을 구명(究明)하기 위해 모래, 미사(微砂), 점토(粘土)의 화학조성(化學組成), 광물(鑛物)의 분리동정(分離同定) 및 특성변화(特性變化)를 조사(調査)함과 아울러 수산화간층광물(水酸化間層鑛物)(Hydroxy-interlayered Mineral)의 해명(解明)과 특(特)히 점토광물(粘土鑛物)의 정량(定量)을 시도(試圖)하였던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점토광물(粘土鑛物)의 분포(分布)는 표고별(標高別) 모재(母材)의 형태(形態)에 따라 상이(相異)하였으며 주요(主要) 광물(鑛物)은 illite, Vermiculite, Kaolin 광물(鑛物), 그리고 수산화간층광물(水酸化間層鑛物)이며, 부광물(副鑛物)로 혼재(混在)하는 광물(鑛物)은 illite와 Chlorite 또는 Vermiculite의 혼층광물(混層鑛物)과 chlorite였음. 2. 잔적층모재토양(殘積層母材土壤)의 점토광물(粘土鑛物) 분포(分布)에서 시예통(詩禮統)은 Kaolin광물(鑛物) 조성(組成)이 높은 반면 상부(上部)에 위치(位置)하고 토양발달(土壤發達)이 상대적(相對的)으로 낮은 대구통(大邱統)에서는 illite, Vermiculite 및 수산화간층광물(水酸化間層鑛物)의 2:1형(型) 점토광물(粘土鑛物) 분포(分布)가 높았음. 3. 붕적층(崩積層)과 충적층모재 토양(土壤)에서는 illite와 혼층광물(混層鑛物)의 조성(組成)이 높았으며 수산화간층광물(水酸化間層鑛物)의 조성(組成)은 잔적층모재(殘積層母材) 토양(土壤)에 비해 낮았다. 4. 토양점토광물(土壤粘土鑛物)의 생성과정(生成課程)은 대구통(大邱統) ; illite ${\rightarrow}$ vermlculite ${\rightarrow}$ 수산화간층광물(水酸化間層鑛物), 시예통(詩禮統); Vermiculite ${\rightarrow}$ Kaolin 광물(鑛物), 반호통(盤湖統)과 비곡통(秘谷統) ; illite ${\rightarrow}$ illite/Vermiculite 또는 chlorite 혼층광물(混層鑛物) ${\rightarrow}$ Vermiculite의 풍화단계(風化段階)가 우세(優勢)하게 진행(進行)되는 것으로 추정(推定)되었다. 5. 점토광물(粘土鑛物)의 정량분석(定量分析) 결과(結果), vermiculite함량(含量)은 반호통(盤湖統)과 비곡통(秘谷統)(12%), Kaolin광물(鑛物)은 시예통(詩禮統)(18%), 그리고 수산화간층광물(水酸化間層鑛物)은 대구통(大邱統)(22%)에서 높았다.

  • PDF

경주시 양북면 단층암의 원소거동과 광물조성 특성 (Chemical Behaviors of Elements and Mineral Compositions in Fault Rocks from Yangbuk-myeon, Gyeongju City, Korea)

  • 송수정;추창오;장천중;장윤득
    • 암석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37-151
    • /
    • 2013
  • 단층활동 과정에서 암석 내 화학조성과 광물 조성 간의 연관성을 이해하기 위한 목적으로 경주시 양북면 용당리에 발달하는 단층암에 대하여 XRF, ICP, XRD, EPMA/BSE 분석을 시행하여 단층암 내의 광물 조성 및 원소의 거동 경향성을 파악하였다. 단층암의 대표적인 주성분으로서 $SiO_2$는 61.6~71.0%의 범위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며, $Al_2O_3$는 10.8~15.8%이다. $Na_2O$는 0.22~4.63%, $K_2O$는 2.02~4.89%이고, $Fe_2O_3$는 3.80~12.5% 범위로 나타나 단층암 내에서 특히 이들 원소의 편차가 크다. 각력대에서 비지대로 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는 원소에는 $Na_2O$, $Al_2O_3$, $K_2O$, $SiO_2$, CaO, Ba, Sr 등이 있고,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는 원소에는 $Fe_2O_3$, MgO, MnO, Zr, Hf, Rb 등이 있다. 이러한 화학적 거동은 각력대가 대부분 석영, 장석류와 같은 주요 조암광물로 구성되는 반면, 비지대는 일라이트와 같은 점토광물이 다량 함유되는 것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 본 단층대에서는 기존 광물의 변질과 동시에 점토광물이 생성되는 데 있어 단층 활동에 수반된 유체활동이 큰 영향을 끼쳤다. 단층활동 초기에는 파쇄대가 열수의 통로로 작용하는 과정에서, 주원소 및 미량원소, 희토류원소는 기존 광물로부터 용탈되어 높은 원소 유동성을 나타내었으나, 파쇄대 중심부가 비지대로 점차 변화하는 과정에서는 이차적으로 형성된 점토광물로 인해 단층대의 투수성이 감소하고, 점토광물이 풍부해진 비지대 내에 농집되므로 낮은 원소 유동성을 가진 것으로 해석된다.

구실잣밤나무 열매의 영양성분 (Nutritional Compositions in Edible Portion of Castanopsis cuspidata Seeds)

  • 이진철;이병두;이홍열;정동옥;은종방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649-652
    • /
    • 2009
  • 잣밤의 소재를 널리 알리고 새로운 식품 원으로 개발하는 목적의 일환으로 잣밤 가식부의 성분을 분석하였다. 습물기준으로 일반성분 중 수탄수화물은 63.10, 수분 29.64, 조단백질 5.03, 회분 1.25 및 조지방 함량은 1.00%이었다. 주요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aspartic acid, arginine과 histidine이었고, 유리당은 3.74%로 sucrose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잣밤 총 지질의 지방산 중 linolenic acid(18:3), palmitic acid(16:0) 및 oleic acid(18:1)가 주요 지방산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주요 무기성분은 P, K, Mg, Zn 및 Ca이었고, 이들의 함량은 각각 88.31, 26.00, 13.20, 10.90 및 3.93 mg/100g이었다. 상기의 결과를 종합하여 풍부한 영양성분을 포함한 구실잣밤의 열매를 새로운 식품 소재의 개발에 사용하여도 효과적일 것으로 예측된다.

Clay mineral distribution and provenance in surface sediments of Central Yellow Sea Mud

  • Koo, HyoJin;Lee, YunJi;Kim, SoonOh;Cho, HyenGoo
    • Geosciences Journal
    • /
    • 제22권6호
    • /
    • pp.989-1000
    • /
    • 2018
  • The provenance of the Central Yellow Sea Mud (CYSM) in the Yellow Sea has been attracted a great deal of attention over the last three decades, but a consensus is not yet reached. In this study, 101 surface sediment samples collected from the CYSM were investigated to determine provenance and transport mechanisms in the area using the clay minerals and major element components. The Huanghe sediments are characterized by higher smectite, but the Changjiang sediments are more abundant illite contents. Western Korean rivers contain more kaolinite and chlorite than do Chinese rivers. The Chinese rivers have higher $Fe_2O_3$, MgO, and CaO than the Korean rivers at the same $Al_2O_3$ concentration. Therefore, the clay minerals and major element concentrations can be useful indicator for the source. Based on our results, we suggest that the surface sediments in CYSM were composed mainly of Changjiang sediments, mixed a partly with sediments from the Huanghe and the western Korean rivers. Although the northwestern part of CYSM is proximate to the Huanghe, the contents of smectite and CaO were extremely low. It could be evidence that the Huanghe materials do not enter directly into the CYSM due to the Shandong Peninsula Front. Considering the oceanic circulation in the Yellow Sea, the Changjiang sediments could be transported eastward with the Changjiang Diluted Water and then mixed in CYSM via the Yellow Sea Warm Current (YSWC). Huanghe sediments could be provided by coastal currents (Shandong Coastal Current and Yellow Sea Coastal Current) and the YSWC. In addition, sediments from western Korean rivers might be supplied into the CYSM deposit via the Korean Coastal Current, Transversal Current, and YSW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