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ize hybrids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46초

옥수수 영양생장기 한발 스트레스에 의한 광합성의 생리적 반응 및 프로테옴 변화 분석 (Physiological and Proteome Responses of Korean F1 maize (Zea mays L.) Hybrids to Water-deficit Stress during Tassel Initiation)

  • 배환희;권영상;손범영;김정태;고영삼;김선림;백성범;신성휴;김상곤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4권4호
    • /
    • pp.422-431
    • /
    • 2019
  • 본 연구는 옥수수 유수형성기(본 잎 6개)에 10일 동안 수분부족처리를 하였을 때 F1 옥수수 교잡종 식물체의 생리적 반응과 프로테옴 변화를 분석한 것이다. 실험에 사용한 품종은 일미찰과 광평옥이었다. 1. 정상구에 비해 수분이 결핍된 옥수수 교잡종에서는 평균 3개의 잎이 감소했고, 잎 면적은 각각 32~34 % 감소했으며, 경장은 일미찰에서는 약 14%, 광평옥에서는 약 27% 줄었다. 웅수 길이는 일미찰과 광평옥에서 각각 74, 82%가 감소하였다. 2. V4~6 엽기 때 10일간의 수분 결핍 처리는 옥수수의 모든 부분에서 건물중을 감소시켰으며 특히, 줄기의 건물중이 잎과 뿌리보다 훨씬 감소하였다. 일미찰과 광평옥에서 잎과 줄기의 건물중은 각각 약 83%, 73% 감소했으며, 수술 건물중은 각각 약 35, 86% 감소했다. 3. V4~6 엽기 때 10일간의 수분 결핍 처리는 옥수수의 모든 부분에서 건물중을 감소시켰으며 특히, 줄기의 건물중이 잎과 뿌리보다 훨씬 감소하였다. 일미찰과 광평옥에서 잎과 줄기의 건물중은 각각 약 83%, 73% 감소했으며, 수술 건물중은 각각 약 35, 86% 감소했다. 4. 이차원전기영동방법으로 정상구와 한발 스트레스를 받은 교잡종에서 다른 단백질 발현양상을 나타내는 21 개의 단백질 spot을 확인하였다. MALDI-TOF MS (matrix assisted laser desorption ionization-time of flight mass spectrometry) 및 단백질 데이터베이스 분석을 통해 21개의 단백질 spot 중 탄수화물 대사에 관련된 단백질이 8개, 스트레스 관련 단백질이 6개, 지방산 이화작용 및 광합성에 관련된 단백질이 각각 2개, 에너지 대사 및 수송에 관련된 단백질이 각각 1개가 분석되었다. 5. 이들 단백질 중 Triosephosphate isomerase, fructose-bisphosphate aldolase, uncharacterized protein을 제외하고 한발 스트레스 처리시 일미찰과 광평옥 모두에서 단백질 발현양이 증가하였으며, lactoylglutathione lyase, delta 3,5-delta 2,4-dienoyl-CoA isomerase은 광평옥에서만 과발현되었다.

재래종(在來種) 찰옥수수 교잡종(交雜種)의 특성비교(特性比較) (Characteristics of Glutinous Waxy Maize Hybrids)

  • 이원구;지희정;백만기;박기선;이희봉;최봉호
    • 농업과학연구
    • /
    • 제19권2호
    • /
    • pp.129-135
    • /
    • 1992
  • 국내(國內)에서 수집(蒐集)한 재래종(在來種) 찰옥수수를 계통화(系統化) 하여 육성(育成)한 제원계통(提原系統) 외에 5개 자식계통(自殖系統)을 교배(交配)하여 생산한 제원(提原)/보성(寶城)외 9개 교잡종(交雜種)에 대하여 조사한 주요특성(主要特性)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1. 교배친(交配親)중 제원의 초장(草長)은 150cm로 가장컸고 융희가 107cm로 가장 작았으나 반면에 착수고(着穗高)는 칠보가 61cm로 가장 높았고, 당진과 융희는 32cm로 가장 낮았다. 한편 이삭길이는 보성, 제원, 단양 계통순(系統順)으로 컸으나, 이삭직경은 이삭길이가 작았던 당진, 융희, 칠보에서 오히려 굵었다. 100입중(粒重)은 보성이 29.6g으로 가장 컸으나 주당(株當) 착립상태(着粒狀態)가 불량했으며, 제원, 단양이 20g내외로 비교적 양호했다. 공시(供試) 계통(系統)에 대한 입색(粒色)은 제원, 보성, 단양이 흰색이었고, 융희, 칠보가 자색(紫色)인데 반해 당진은 황색(黃色)이었다. 개화기(開花期)는 당진이 가장 빨랐으며, 그밖의 계통(系統)들은 이보다 일주일 늦었다. 2. 공시(供試)된 교잡종(交雜種) 대부분은 착수고(着穗高)가 100cm이상으로 찰옥1호의 58cm에 비해 현저히 높았는데 당진계통과 교배(交配)된 당진/보성, 단양/당진의 경우에는 70cm로 비교적 낮았다. 3. 교잡종(交雜種)에 대한 이삭길이는 당진/보성, 보성/제원에서 19cm이상으로 찰옥1호의 14.9cm보다 컸고 이삭직경은 이삭길이가 작은 단양/당진, 당진/칠보 조합(組合)에서 4.5cm로 가장 컸다. 100립중은 대부분이 20g이상으로 중립종(中粒種)에 속하였다. 10a당 수량(收量)은 당진/보성이 613kg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당진/칠보가 600kg으로 찰옥1호의 482kg보다 많았다. 그러나 개화기(開花期)는 찰옥1호가 7일 가량 빨랐다. 4. 수량관련(收量關聯) 주요형질간(主要形質間) 상관(相關)은 이삭길이가 수량(收量)과 정(正)의 상관(相關)을 보였으나 분언수와는 무관한 것으로 나타 났으며, 주요(主要) 특성(特性)에 대한 잡종강세(雜種强勢)는 초장(草長), 착수고(着穗高), 이삭길이, 이삭직경 및 100립중(粒重)에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 PDF

Tolerance Expression of Maize Genotypes to Exserohilum turcicum in North and South Korea

  • Kim, Soon-Kwon;Kim, Hyoung-Wook;Lee, Joon-Soo;Huh, Chang-Suk;Kim, Sun-Hwack;Lee, Kwang-Soo;Han, Hyoung-Jai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7권2호
    • /
    • pp.113-126
    • /
    • 2012
  • Northern corn leaf blight caused by Exserohilum turcicum Pass is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disease infecting corn (Zea mays L.) in the Peoples' Republic of Korea (North Korea). It contributes to the food shortage in North Korea. The objectives of the current research were to study resistance expression and responses of corn crosses made between ten hybrids from North Korea and inbreeding lines ($S_{3-4}$ stage) from the Republic of Korea (South Korea).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six trials with a total of 184 crosses including two commercial hybrids in each trial. The trials were conducted at two locations in North Korea (Mirim and Eunsan) and one location in South Korea (Gunwi) under natural infestation of E. turcicum. Host plant responses were rated on a scale of 1 (highly tolerant) to 9 (highly susceptible). A total of 111 crosses (62.4%) showed significant tolerant or susceptible response variations among three locations; 42 crosses (22.8%) at two locations and 69 crosses (39.0%) at one location, respectively. At least 8 crosses of high level of tolerance and 12 crosses of high level of susceptibility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t biotic responses (P = 0.05).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and historical reviews of E. turcicum epidemics in both North and South Korea suggest that breeding of tolerance with quantitatively inherited genes should be carried out for a sustainable corn production in North Korea.

Evaluation of Drought Tolerance using Anthesis-silking Interval in Maize

  • Kim, Hyo Chul;Moon, Jun-Cheol;Kim, Jae Yoon;Song, Kitae;Kim, Kyung-Hee;Lee, Byung-Moo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2권1호
    • /
    • pp.24-31
    • /
    • 2017
  • We screened the drought tolerant maize using seventeen maize genotypes from different sources, nine inbred genotypes from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USDA) (B73, CML103, CML228, CML277, CML322, CML69, Ki3, Ki11, and NC350), three Southeast Asian genotypes (DK9955, LVN-4, and 333), and five Korean hybrids (Cheongdaok, Gangdaok, Ilmichal, Kwangpyeongok, and Pyeonganok). We evaluated anthesis-silking interval (ASI), leaf senescence (LS), ears per plant (EPP), tassel length (TL), and fresh weight (FW) at silking date. According to ASI and LS examination, CML103 and Kill were drought tolerant genotypes, wheareas Ki3 and 333 were drought susceptible. EPP, TL, and FW differed according to drought resistance. Grain yield was correlated strongly with ASI, but moderately with LS. Difference in ASI between drought-stressed (DS) and well-watered (WW) conditions was less than three days in CML228, CML103, Cheongdaok, NC350, B73, Ki11, CML322, and Kwangpyeongok, whereas that of Ki3, Pyeonganok, and Gangdaok was more than 6.5 days. We concluded that CML228, CML103, Cheongdaok, NC350, B73, Ki11, CML322, and Kwangpyeongok are drought tolerant genotypes, whereas Ki3, Pyeonganok, and Gangdaok are drought susceptible.

Effects of growing degree days on growth and yield of maize depending on the sowing date

  • Jung, Gun Ho;Kim, Mi Jung;Son, Beom Young;Shin, Seong Hyu;Kim, Sung Kook;Lee, Jae Eun;Kim, Chung Guk;Kwon, Young Up;Shim, Kang Bo;Heu, Sunggi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324-324
    • /
    • 2017
  • Total 15 different corn hybrids, Kwangpyeongok, Gangdaok, Yanganok, Singwangok, Jangdaok, Cheonganok, Cheongdaok, Andaok, Dapyeongok, Pyeongkangok, Pyeonganok, Daanok, Sunwon P3394, Gangilok, P3394, had been used to investigate the plant growth and yield of corn hybrids depends on the sowing date. Sowing dates were April 5th, June 25th, and July 5th and all experiments had three repeats. The growth of Gangdaok was the best. However, in the case of Kwangpyeongok, the growth was not the best to compare with Gangdaok, but the stem to ear height ratio was lower than Gangdaok, it may be better for the stable cultivation. Both of the growth and yield of Daanok was not good regardless of planting date, but the yield and ear shape of Pyeongkangok and Dapyeongok were good for fresh corn. The growth and yield of 15 different corn hybrids were variable depends on the planting date, however, the growth degree days (GDD)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the maturity of the corn. More than $1500^{\circ}C$ of GDD was enough to harvest mature corn hybrids in the central region of Korea. Besides the yield and growth, other characters such as sweetness and taste as a food should be investigated further for the fresh corn to be suggested.

  • PDF

사료용 교잡종 옥수수 연구 -III. CNU와 SK계통을 이용한 교잡종 옥수수의 건물중 및 종실 수량 (Yield and Dry Matter at Developed Hybrid Corns Using CNU and SK Inbred Lines)

  • 이희봉;김동욱;김준표;김용일;정재영;최현구;문현귀;이충열
    • 농업과학연구
    • /
    • 제30권2호
    • /
    • pp.123-127
    • /
    • 2003
  • 공시 교잡종에 대한 각 지역에서 선발된 우수 교잡종의 간장 및 착수고는 대조구와 비슷한 경향이었으며, 생체 및 건물수량은 분얼수 및 간장과 관련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재식 밀도와 기상상태와도 밀접한 관계로 나타났다. 따라서 생체중은 대전지역에서 재배된 교잡종 H67이 대조구인 광안옥에 비해 56.2%로 높았고, 수원에서 역시 41.8%으로 높았으며, 종실수량은 H15과 H67에서 대조구보다 11.7%와 9.7%로 각각 높게 나타났다. 대전에서 분얼성인 H42와 무얼성인 H65에서 대조구보다 9.1%, 8.5% 증가하였고, 수원에서는 분얼성인 H42와 무얼성인 H65에서 대조구보다 9.1%, 8.5% 증가하여 교잡종간, 지역간에 큰 차이를 보였다. 한편 후기 녹체성은 무얼형보다 분얼형에서 낮은 경향을 보였는데 SK계통과 교배된 조합에서 우수한 편으로 나타나 우수 교잡종 육성시 중요 고려사항으로 지적되었다.

  • PDF

도입 초당옥수수 교잡종의 지역 적응성 및 농업 형질의 유전력 평가 (Evaluation of Regional Adaptability in Introduced Super Sweet Corn Hybrids and Heritability of Agronomic Traits)

  • 이신영;강종원;왕승현;박태춘;정종욱;소윤섭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6권2호
    • /
    • pp.130-137
    • /
    • 2021
  • 본 실험은 지역 적응성 시험을 통한 도입 초당옥수수 자원의 농업 형질을 조사하고 혼합 선형 모형을 이용하여 조사 형질의 분산 구성요소를 추정하고 이를 통해 형질들의 유전력을 추정함으로써 신규 자원이 가진 육종재료로서의 가치를 평가하고, 이를 이용한 초당 옥수수 품종 육종 과정에서 선택할 수 있는 육종 및 선발 방법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1. 출웅기와 출사기를 제외한 모든 형질의 유전력은 낮게 추정되었는데 이러한 형질은 분산구성요소 중 유전분산이 낮게 추정되었다. 착수고율의 경우 품종과 지역 간의 유의한 상호작용효과로 인해 낮은 유전분산이 추정된 것으로 보인다. 2. 측정 형질의 낮은 유전력 추정치는 시험 재료가 모두 최신 상업용 품종이기 때문일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육종재료로서의 낮은 잠재력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3. 낮은 유전분산과 유의미한 상호작용 효과를 극복하고 선발 효율을 극대화 하기 위하여 교잡종의 직접적인 자가 수정을 통한 자식 계통 개발을 진행하기 보다 intermating을 통한 유전자 재조합을 먼저 유기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으로 보인다.

자식(自殖)된 다수다얼성(多穗多蘖性) 옥수수(MET)의 특성(特性) 비교(比較) 시험(試驗) (Plant Characters of Selfed MET Maize Line)

  • 최봉호;이희봉
    • 농업과학연구
    • /
    • 제12권2호
    • /
    • pp.166-173
    • /
    • 1985
  • 5세대(世代)나 자화수정(自花受精)시켜 육성(育成)한 다수다얼성(多穗多蘖性)의 MET 계통(系統)의 식물학적(植物學的) 특성(特性)을 알고자 미국종(美國種) 일대(一代) 교잡종(交雜種)옥수수와 3개(個)의 수수${\times}$수단그라스 교잡종(交雜種)과 비교(比較)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전(全) 공시품종(供試品種)들의 일반적(一般的) 생육상황(生育狀況)은 신개간지(新開墾地)에 가까운 토양관계(土壤關係)로 충분(充分)한 생육(生育)을 얻지 못했다(종실수량(種實收量) 등(等)). 2 생육시기별(生育時期別)로 예취(刈取)하여 단위면적당(單位面積當) MET 계통(系統)의 생초중(生草重)을 비교(比較)하여 본 결과(結果) 비교(比較) 옥수수 품종(品種)을 100%로 하였을 경우(境遇) MET 계통(系統)은 평균(平均) 97.8%로서 10a당(當) 5.652kg였다. 3. 단위면적당(單位面積當) MET 계통(系統)의 건물중(乾物重) 역시 비교품종(比較品種)에 비(比)하여 94.5%로서 10a당(當) 1,602kg이었다. 4. MET 계통(系統)의 특성(特性)은 다분얼(多分蘖), 다수성(多穗性)인 관계(關係)로 생초중(生草重)과 건물중(乾物重) 의 증가(增加)는 경엽(莖葉)의 무게에 기인(基因)하였다. 5. 성장속도(成長速度)를 보면 MET 계통(系統)이 자식계통(自植系統)에서 나타나는 자식열세현상(自殖劣勢現象) 때문에 비교품종(比較品種)인 일대(一代) 잡종(雜種)들에 비(比)하여 매우 저조(低調)하였다(MET의 평균(平均) 초장(草長)은 234.7cm, 그외(外) 교잡종(交雜種)의 평균(平均) 초장(草長)은 250.7cm였다). 6. MET 계통(系統)과 비교(比較)하기 위(爲)해 공시(供試)한 다른 4개품종(個品種)은 모두 미국(美國)에서 널리 재배(栽培)하는 다수성(多收性) 품종(品種)이지만 본(本) 연구(硏究)에서는 흑조위축병(黑條緯縮病)에 매우 약(弱)한 것으로 나타났다(미국종(美國種) 평균(平均) 이병율(罹病率)은 20% 이상(以上), MET 계통(系統)은 5%였다). 7. 종실수량(種實收量)을 보면 MET 계통(系統)이 10a당(當) 390.1kg으로 다른 미국종(美國種)의 평균수량(平均收量) 508.7kg에 비(比)하면 약(約) 76.7% 밖에 안되었다. 그러나 주당(株當) 종실수(種實數)로 환산(換算)하면 1,170개(個)로 미국종(美國種)들의 690개(個) 보다 훨씬 많았다. 이처럼 10a당(當) 종실수량(種實收量)을 무게로 환산(換算)하면 MET 계통(系統)이 적은 이유(理由)는 MET 계통(系統)이 자식계통(自殖系統)과 유사(類似)하기 때문이고 입수(粒數)로 환산(換算)하면 MET가 많은 것은 이 계통(系統)이 소립종(小拉種)(100립종(粒重)=10gr정도(程度))이기 때문이다. 8. 3개(個)의 수수${\times}$수단그라스 교잡종(交雜種)의 청예(靑刈) 수량(收量)을 MET 계통(系統)과 비교(比較)한 결과(結果) 10a당(當) 생초중(生草重)이나 건물중(乾物重)이 모두 MET 계통(系統)과 큰 차이(差異)가 없었다. 9. 따라서 농민(農民)이 재배(栽培)할 교잡종(交雜種) 값이 고가(高價)인 경우(境遇)에 MET 계통(系統)을 청예용(靑刈用)으로 이용(利用)하는 것은 종자대(種子代)의 절감(節減)은 물론(勿論) 단위면적당(單位面積當) 필요(必要)한 종자량(種子量)이 다른 교잡종(交雜種)에 비(比)해 적어 이중(二重)의 효과(效果)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분얼형(分蘖型) 옥수수에 있어서 Source와 Sink의 관계(關係) (Relationship Between Sources and Sinks in Tillering Maize, Zea mays L.)

  • 이희봉;최봉호;이원구;지희정
    • 농업과학연구
    • /
    • 제20권2호
    • /
    • pp.125-132
    • /
    • 1993
  • 형태적(形態的)으로 서로 다른 두 교잡종(交雜種) 옥수수의 물질(物質) 생산성(生産性) 형질(形質)(source)에 대한 저장(貯藏) 수용능력(受容能力)(sink)효과를 비교하고자 대조구(對照區)인 무처리(無處理)를 포함하여 전체엽(全體葉) 제거구, 첫째이삭 절위(節位)의 상위엽(上位葉) 제거구, 첫째이삭 절위(節位)의 하위엽(下位葉) 제거구, 첫째이삭만 제거구등 5개 처리에 대한 생육특성(生育特性) 및 종실중(種實重)에 미치는 효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간장(肝腸)은 두 공시 교잡종(交雜種) 모두 무처리(無處理)에서 가장 컸으나 기타 처리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2. 엽중(葉重)은 상위엽제거구(上位葉除去區)와 하위엽제거구(下位葉除去區)에서 분얼형(分蘖型)이나 무분얼형(無分蘖型) 모두 같은 수준이었으나 교잡종간에는 분얼형(分蘖型)의 엽중(葉重)이 무분얼형(無分蘖型)보다 5-10g정도가 많았으며, 줄기무게 엽중(葉重)과 비슷한 경향이었다. 4. 공시종 모두가 입중(粒重)은 무처리에 비해 낮았는데 특히 무처리에 비해 상위엽(上位葉) 제거구가 60%정도 낮았고 하위엽(下位葉)제거구는 40%정도가 낮았는데 분얼형(分蘖型) 보다는 무분얼형(無分蘖型)의 옥수수에서 입중(粒重)의 감소가 켰다. 5. 분산분석(分散分析) 결과 줄기중(重)과 입중(粒重)은 교장종간에 큰 차이를 보였고, 처리간(處理間), 교잡종(交雜種)과 처리간(處理間) 상호작용(相互作用)에 있어서는 조사된 모든 특성(特性)에서 유의성(有意性)이 인정 되었다. 6. 전체(全體) 건물중(乾物重)에 대한 각 부위별(部位別) 기여도(寄與度)를 보면 무처리에서는 입중(粒重), 엽중(葉重), 줄기중(重) 순(順)으로 나타났고 상위엽(上位葉)제거구는 줄기중(重), 엽중(葉重), 입중(粒重) 순(順)이었는데 비해 하위엽(下位葉)제거구는 입중(粒重)의 기여(寄與)가 매우 컸으며 다음은 엽중(葉重)과 줄기무게가 같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