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gnetic survey

검색결과 217건 처리시간 0.039초

생활환경에서의 표본 한국인의 개인자계 노출량 조사 (Survey on the Personal Magnetic Field Exposure of Sample Koreans from Living Environment)

  • 주문노;양광호;명성호
    • 대한전기학회논문지:전기물성ㆍ응용부문C
    • /
    • 제53권2호
    • /
    • pp.97-102
    • /
    • 2004
  • The objective of this survey is to characterize personal magnetic field exposure of the general population in Korea. Participants for the survey on magnetic field exposure were selected randomly in some occupations. Those wore the magnetic field meter for about 25∼28 hours and the measured data were stored in the meter. In this first step survey, the number of participant is 244 and for the second step, about 400 participants will be surveyed in the near future. The statistics of the 24-hour exposure data are the major concern of this survey. However the survey provided the opportunity to analyze exposures corresponding to different types of activities. It was analyzed by separating periods of time corresponding to the following activities: entire 24-hour period, in bed, at work and by occupation. Therefore the database will be able to be established to analyze the status of personal magnetic field exposure and safety.

A Preliminary Survey on Personal Magnetic Field Exposure of Sample Koreans

  • Yang, Kwang-Ho;Ju, Mun-No;Myung, Sung-Ho
    • KIEE International Transactions on Electrophysics and Applications
    • /
    • 제12C권4호
    • /
    • pp.195-200
    • /
    • 2002
  • The objective of this survey is to characterize personal magnetic field exposure of the general population in Korea. The participants of the survey on magnetic field exposure were selected randomly in some occupations. The participant wore the magnetic field meter for about 25∼28 hours and the data were stored in the meter. Because this is a preliminary for the main survey, it was done with 36 participants only. For the main survey, about 400 subjects by occupation will be done. The statistics of the 24-hour exposure data are the major concern of this survey However the survey provided the opportunity to analyze exposures corresponding to different types of activities. It was analyzed by separating periods of time corresponding to the following activities: entire 24-hour period, in bed, at work and by occupation.

위험물탐지를 위한 수상 자력탐사 (A Magnetic Survey on the Lake for the Detection of the Unexploded Ordnances)

  • 조철현;정용현;이효진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6권1호
    • /
    • pp.23-27
    • /
    • 2003
  • 호저에 매몰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는 미폭발 매설물의 탐지를 위해 수상자력탐사를 수행하였다 자력계는 2개의 총자력계를 이용한 자력변화율측정기(magnetic gradiometer)를 사용하였으며, 수상에서의 위치 측정은 실시간 이동측량(real time kinematic survey)으로 수행하였다. 위험물의 크기를 가정하여 예상 이상반응을 계산하고 이들에 대한 탐지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조사선의 면적이 좁아 조사선 및 자력계 외 다른 장비의 자성이 측정에 영향을 미쳤으며 이들은 조사선의 방향이 바뀜에 따라 크기의 변화가 있었다. 이들은 이동평균법에 기초하여 영향을 제거하도록 하였다. 탐사결과 호저에 매설되어 있는 관로의 노선이 파악되어 탐지능력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미얀마 북서부 보피붐 크롬광화대의 자력 탐사자료 해석 (Magnetic Data Analysis of the Chromium Mineralized Belt in Bophi Vum area, Northwestern Myanmar)

  • 박계순;허철호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17권3호
    • /
    • pp.147-154
    • /
    • 2014
  • 보피붐 지역의 크롬철석 분포 특성 확인을 위해 자력 탐사를 수행하였다. 지표 암석 샘플 조사에서 크롬철석은 주변부에 분포하는 하즈버자이트와 더나이트에 비해 낮은 자기감수율 값을 나타내었다. 자력 탐사 결과, 낮은 자력 이상대 지역과 지표 지질 조사 결과를 통해 확인된 크롬철석 산출지 영역이 잘 부합하고 있으며, 3차원 역산 해석 결과의 저 자기감수율 모델과도 공간적으로 잘 부합하고 있다. 일부 지역에서 지표 조사를 통해 확인된 크롬철석 산출지에서 주변부로 확장되는 저 자력 이상대가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 지역의 자기감수율 분포 특성을 고려하면 이 지역에서 추가적인 광체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해석된다. 추후 이 지역에 대한 정밀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매장문화재 확인을 위한 자력탐사 및 발굴 비교연구: 충남 천안시 두정동 발굴지역 (A comparative study of nondestructive geomagnetic survey with archeological survey for detection of buried cultural properties in Doojeong-dong site, Cheonan, Chungnam Province)

  • 서만철;이남석
    • 지구물리
    • /
    • 제3권3호
    • /
    • pp.175-184
    • /
    • 2000
  • 충남 천안시 두정동 야산지역에 대한 고고학적 발굴대상지에서 자력탐사를 이용한 비파괴 문화재탐색 응용가능성에 대찬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고고학적 발굴대강지에 대하여 발굴이 시작되기 전 자력탐사를 실시하였으며, 자력탐사 결과 나타난 자력이상대를 발굴후의 유물분포상황과 비교하였다. 자력탐사시 $20cm{\times}20cm$ 격자망을 구성하여 $20m{\times}40m$ 구역을 측정하였으며 자력센서는 지면에 위치시켰다. 기존의 발견된 토기를 대상으로 자력측정한 결과, 토기가 위치한 지점의 자력이 상이 주위의 평균치보다 최대 130nT 정도로 나타나고 있다. 등자기이상 분포포의 해석결과, 연구지역내의 1사분면과 4사분면에 나타난 자기이상지점들과 발굴결과 화인된 토기 및 토기의 파편위치가 정확하게 일치한다. 고고학적 발굴결과 연구지역내에서 발견된 토기위치는 7곳이었으며 이중 6곳은 모두 자력이상지점과 일치하며, 한 곳은 자력이상지점이 아닌 곳에서 발견된 바, 이 토기는 연 토기로 판명되었다. 또한 발굴당시 확인된 숲속이나 천부지층내에 매몰된 철제 쓰레기, 철사 등의 장애물 역시 등자력이상도에서 정확하게 일치하고 있다. 그러므로 자력탐사를 수행하기 앞서 육안으로 확인되는 철제장애물들은 제거한 후에 탐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인이 뚜렷히 확인되지 않는 자력이상지점들은 현재의 발굴충위보다 깊은 곳에 유물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보다 정밀한 발굴작업이 추가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pplication of Magnetic Methods for finding the Egyptian archaeological features

  • Abdallatif Tareq Fahmy;Suh Mancheol;El-All Esmat Abd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2004년도 정기총회 및 제6최 특별 심포지움
    • /
    • pp.157-179
    • /
    • 2004
  • The application of magnetic method for archaeoprospection has been carried out through two archaeological areas in Egypt, Abydos and Abu Sir, In order to find out tile ancient Egyptian archaeological features. The magnetic work at the selected archaeological site of Abydos area was carried out by gradiometer survey, while magnetic work at the selected archaeological site of Abu Sir area was carried out by gradiometer survey and magnetic susceptibility measurements. A gradiometer survey with raster of 0.5 m/0.5 m has been carried out on a surface area of $9600 m^2$ at Abydos area to relocate the buried Solar Boats. The magnetic data were processed using Geoplot software to treat the field noises and enhance the quality of the obtained images. The final magnetic images indicate the existence of 12 Solar Boats as well as tombs, remains of ancient rooms and walls. All of them are expected to belong to the Middle Kingdom, particularly from the 18th to 20th Dynasties. Two magnetic tools have been applied over a selected site of $25600 m^2$ at Abu Sir area in order to detect the hidden archaeological features nearby the Sun Temple. The acquisition of the magnetic data was initiated by the measurements of the topsoil magnetic susceptibility of 272 samples collected from the whole studied area, and then followed by the gradiometer survey to measure tile vertical gradient of the geomagnetic field over an area of $14400 m^2$. The magnetic susceptibility results show the presence of high concentration at the middle part of the study area with a little extension to the south western side, with maximum value of about $36{\times}10^5$ SI. They may indicate the proximity of ritual monuments. Also, they offered the site of interest for carrying out a gradiometer survey. The gradiometer results show tile existence of numerous distributed archaeological features made of mud-bricks with different shapes and sizes. They may indicate tombs, burial rooms, dissected walls; all of them are expected to belong to the 5th Dynasty of pharaohs, who used to build their buildings by mud bricks. The depth of the expected buried archaeological features has been estimated from tihe gradiometer. It is around 1.2m for deep features and 0.42 m for shallow features.

  • PDF

한국인의 개인 자계 노출량 조사 (I) (The First Survey on Personal Magnetic Field Exposure of Koreans)

  • 주문노;양광호;명성호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2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A
    • /
    • pp.472-474
    • /
    • 2002
  • The objective of this survey is to characterize the personal magnetic field exposure of the Korean population. The participants in the survey on magnetic field exposure were selected randomly by occupation. In this first step survey, the number of participant is 108 and for the second step, about 400 participants will be surveyed in the near future. The survey is the first significant study that quantifies the exposure of the general population for the entire day, not only for the time spent in one's bed but also for the time at work in Korea.

  • PDF

고도가 변화하는 헬리콥터 탐사에서 얻어지는 자력이상의 변환 (Reduction of magnetic anomaly observations from helicopter surveys at varying elevations)

  • 중총 정;대웅무웅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9권1호
    • /
    • pp.121-128
    • /
    • 2006
  • 헬리콥터를 이용한 항공자력탐사는 정해진 고도를 따라 지표면에 평행하게 이루어지지만, 고해상도 탐사에서는 특히 측정이 이루어지는 고도가 너무 변화하여 평탄면으로 간주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모서리 효과를 조절할 수 있도록 주변 자력원이 포함되는 등가원 방법을 이용하여 이러한 자료를 변환하는 방법을 개발하였고, 3차원적으로 무작위하게 분포하는 점의 자료를 직접적으로 모델화하였다. 이 문제는 일반적으로 under-determined 이지만 CG 법은 최소 norm 해를 찾을 수 있으며, 자력이상을 자력원과 연관시키는 조화함수를 선택할 자유가 있는데, 상향연속 함수 연산자가 선택되면 등가원 자체가 자력이상이 된다. 기본자기장의 방향으로의 자기 쌍극자분포를 자력원으로 선택하면, 자기 쌍극자의 방향을 수직으로 돌려줌으로써 쉽게 자극화 변환 이상을 유도할 수 있다.

금산 함우라늄광상 분포지역의 항공자력/방사능 탐사자료 해석 (Interpretation of Airborne Magnetic and Radioactive Data for the Uranium Deposit in Geumsan Area)

  • 신은주;고광범;안동국;한경수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16권1호
    • /
    • pp.36-44
    • /
    • 2013
  • 금산지역의 흑색셰일형 우라늄광상에 대하여 항공 자력 및 방사능 탐사를 수행하였다. 각 자료의 암상분석과 선구조 분석에 의한 전반적인 지질 및 구조지질적 특성을 살펴보고 이에 기반한 우라늄 광화대의 특성화를 시도하였다. 자극화변환과 하향연속 이상도에서 우라늄광상을 배태하고 있는 흑색 및 암회색 점판암대의 뚜렷한 양의 이상을 인지함으로써 자력탐사의 적용성을 확인하였다. 이차미분 및 곡률을 이용한 선구조 분석을 통해 회색 혼펠스대와 흑색 점판암대를 대표하는 선구조를 도출하고 우라늄 광화대의 추가 부존 가능영역을 추정하였다. 이에 대한 우라늄광 배태여부는 방사능 총이상 및 우라늄 이상도에서 최종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열변성기원의 우라늄광화대는 국부적인 반면, 흑색셰일형 광화대는 조사지역 전체에 북동-남서방향으로 연속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우라늄 광화대는 방사능 총이상의 선구조 분석을 통해 단층과 교차하는 곳은 단절되는 전형적인 구조지질적 특징을 보여주었다. 이상의 고찰로부터 항공 자력 및 방사능 탐사는 상호 보완적이며 따라서 병행 수행하는 것이 자료분석 및 해석에 매우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한국의 자력 이상도 (The Magnetic Anomaly Map of Korea)

  • 박영수;임형래;임무택;신영홍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22권1호
    • /
    • pp.29-36
    • /
    • 2019
  • 항공 자력 탐사는 적은 비용과 시간으로 전 국토를 대상으로 유용 지하자원의 부존과 개발에 대한 잠재력 평가 뿐 아니라 국토의 효율적인 활용 계획의 수립과 지질 재해의 예측 등 국가의 기본적인 지구과학 정보를 제공한다. 따라서 대부분의 나라에서 국가 혹은 대륙 규모의 광역 자력 탐사를 통하여 자력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운용하고 있다. 한국동력자원연구소(현재 한구지질자원연구원)는 1981년 전 국토를 대상으로 하는 장기적이며 체계적인 항공 방사능 및 자력탐사 프로젝트를 계획하여 1982년부터 탐사자료를 생산하기 시작하여 2017년에 완료하였으며, 2018년에 자료를 재검토, 재처리하여 항공 자력 데이터베이스를 완성하고 1:100만 자력 이상도를 발간하였다. 이 총설은 항공 자력 이상도를 소개함과 아울러 프로젝트를 수행하면서 여러 차례 바뀐 탐사 설계와 자료처리 이력에 대하여 정리함으로써 사용자들이 자료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참고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