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crophage(s)

검색결과 759건 처리시간 0.031초

곡피(?皮)와 상목피(橡木皮) 추출물이 대식세포 RAW264.7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Quercus dentata and Quercus acutissima Extracts on the Activations of Macrophage RAW264.7 Primed with $IFN-{\gamma}$)

  • 조진희;성낙술;이영종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89-100
    • /
    • 2006
  • Objectives : The effects of methanol extracts from the cortex of Quercus dentata Thunb. and Quercus acutissima Carruth, on the activation of macrophage were examined. Methods : Methanol extracts of Quercus dentata (QD) and Quercus acutissima (QA) were applied to cell line RAW264,7 (macrophage), and their effects were examined. Results : 1. Extracts from QD and QA had no specific influence on the cell growth. 2. Extracts from QD and QA did not activate macrophage independently, but the addition of $IFN-{\gamma}$ facilitated the generation of macrophage's nitric oxide(NO). 3. QD and QA extracts increased the manifestation of iNOS gene, when macrophage was activated by $IFN-{\gamma}$. 4. QD and QA extracts increased the manifestation of $TNF-{\alpha}$ in macrophage, which took 2 hours. 5. QD and QA extracts increased the generation of $PGE_2$ in macrophage. Conclusion : QD and QA activate macrophage in the presence of $IFN-{\gamma}$. After activation is primarily facilated by $IFN-{\gamma}$, it works on macrophage secondarily for the manifestation of iNOS gene and for the generation of $TNF-{\alpha}$.

  • PDF

생쥐 대식세포의 종양세포 치사활성에 미치는 인삼분획물과 지방다당류의 영향

  • 최상운;정노팔;김세창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4권3호
    • /
    • pp.364-372
    • /
    • 1990
  • This experiment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inseng saponin fractions (total saponin, triol saponin. diol saponin) and lipopolysacrharide (LPS) on the tllmoricidal activity of macrophage. The ginseng saponin fractions had little effect on the tumoricidal activity of macrophage (less than 10%). When the ginseng saponin fractions were treated with LPS, the effects of tumoricidal activation of macrophage increased a relatively high percent, and the total saponin and triol saponin (20-35%) were ulore effectual than diol saponin (15-25%). The effects of ginseng saponin and LPS on the tumoricidal activity of macrophage were mediated by the induction of macrophage-release factor(5) which has(have) the capacity of tumor cell killing. And the quantity of the (actors) was(were) increased by the contact of macrophage with tumor cell.

  • PDF

Immune Enhancing Effect by Orally-Administered Mixture of Saccharomyces cerevisiae and Fermented Rice Bran

  • KOH, JONG HO;JIN MAN KIM;HYUNG JOO SUH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3권2호
    • /
    • pp.196-201
    • /
    • 2003
  • The mixture (PM) of Saccharomyces cerevisiae and fermented rice bran on the activation of macrophage and bone marrow cell proliferation was studied in mice. PM stimulated not only the activation of macrophage (1.8-fold of saline) but also IL-6 production from macrophage (1.5-fold) at 2.0 g/㎏/day during 7 days of oral administration. By the culture supernatant of Peyer's patch cells from C3H/HeJ mice fed PM at 2.0 g/㎏/day for 7 days, the bone marrow cells significantly proliferated compared with that of mice receiving only saline (1.7-fold). In addition, the contents of GM-CSF and IL-6 in the culture supernatant of Peyer's patch cells from mice fed PM at 2.0 g/㎏/day were increased in comparison with those from the control (1.8 and 1.4-fold, respectively). These results revealed that oral administration of PM may modulate IL-6 production to induce the activation of macrophage, and also enhance secretion of hematopoietic growth factors such as GM-CSF and IL-6 from Peyer's patch cells.

해당화의 과육 및 종자추출물의 대식세포 면역조절작용 (Immunomodulatory Effects of Fructus and Semen from Rosa rugosa on Macrophages)

  • 강남성;손은화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399-405
    • /
    • 2010
  • 현재 임상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항암요법들은 많은 부작용을 가지고 있으며, 부작용에 의하여 또다른 질환을 야기하는 것이 항암치료에서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부작용을 줄이고 항암요법을 유지시키는 방법으로, 인체 안전하다고 보고된 천연물을 이용하여 면역력을 증가시킴으로써 인체내 항암 효과를 나타내게 하는 BRM들을 개발하는 연구가 큰 의미를 지닌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민간요법으로 이미 사용되고 있는 해당화의 macrophage의 활성화에 대한 BRM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특히 과육(RRF)과 종자(RRS)의 부위별 추출물로 그 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RRF는 암세포 자체에 대한 세포독성은 나타내지 않았으나, macrophage의 활성화에 의한 항암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항암 효과는 macrophage의 활성화에 의한 증가되는 NO 및 TNF-$\alpha$와 같은 암세포 독성물질에 의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나, RRF 처리에 의하여 활성화된 macrophage는 NO 분비에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RRF의 처리는 TNF-$\alpha$ 분비를 증가시켰으나, macrophage의 활성화에 의해 암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던 RRS에서도 TNF-$\alpha$ 분비가 증가한 것으로 보아 TNF-$\alpha$ 분비만으로는 macrophage의 항암효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나타내지는 않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 결과들은 종합해 볼 때, RRF는 RRS와는 달리 macrophage를 활성화하여 항암효과를 나타내었으며, phagocytosis 능력도 증가시켰다. RRF는 TNF-$\alpha$ 등의 분비조절과 같이 RRS와는 다르게 macrophage를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보이며, 임상적으로 적용시 RRF가 RRS보다 세포독성 측면에서도 안전하고, macrophage의 활성화 효과 측면에서도 유의성이 높을 것으로 평가 된다.

Iron Toxicity to Peritoneal Macrophage Due to Alteration of Mitochondria by NO

  • Yoon, Ji-Yeon;Kim, Jin-Sun;Lee, Heum-Sook;Lee, Kyo-Young;Cheon, Choong-Ill;Lee, Myeong-Sok;Park, Jong-Hoon;Song, Eun-Sook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8권2호
    • /
    • pp.97-103
    • /
    • 2004
  • The cytotoxic effect of iron was examined in peritoneal macrophage to determine contributing factors by iron injection to rat. Viability was reduced by 24% by the iron-overload and by 30% by short-term iron addition. Total iron was increased by 45% in the iron-overloaded with remarkable elevation (9 to 14 fold) in the presence of $FeSO_4$. Free calcium was also increased by 19% in control and 44% in iron-overloaded group due to additional $FeSO_4$ NO and MDA were increased by 40% and 136%, respectively, with significant reduction (37%) of NAD(P)H. RCR and cytochrome c oxidase activity were lowered approximately by 10% with reduction of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Addition of iron was frequently associated with altered distribution of mitochondria of high membrane potential in the iron-overloaded macrophage. These results suggest altered mitochondria with high NO and low NAD(P)H due to iron.

홍화(Carthamus tinctorius L.)잎으로부터 분리한 다당류의 Macrophage 활성화에 대한 연구 (Study of Macrophage Stimulating Activity of the Polysaccharide Isolated from Leaves of Carthamus tinctorius L.)

  • 곽지은;김경임;전혁;홍범식;조홍연;양한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527-533
    • /
    • 2002
  • 전통차 제조용 식물 63종을 대상으로 macrophage lysosomal enzyme activity를 검색한 결과, 홍화 냉수 추출물에서 높은 macrophage lysosomal enzyme 활성 (219%)을 발견하여 냉수 추출물 CT-0 획분에 대하여 metahnol 환류, ethanol 침전, 투석, 동결건조를 실시하여 macrophage lysosomal enzyme 활성이 더욱 증가된(227%) 고분자 획분 CT-1을 얻었다. 이 획분의 macrophage활성화 성분의 본체를 파악하기 위하여 pronate처리에 의한 단백질 분해와 periodate를 이용한 당 부위의 선택적 실활 후 활성을 검토한 결과, pronase를 처리한 CT-1에서는 약 8% 정도의 활성 증가를 보인반면 periodate 산화물에서는 활성이 약 8% 정도 감소되는 것으로 보아 홍화로부터 macrophage 활성을 나타내는 냉수 추출물의 활성 본체는 다당임을 알 수 있었다. 조다당 활성획분에 대하여 anion exchange column chromatography를 실시하여 9개의 획분(CT-1-I~CT-1-VIII)을 얻었으며 수율과 활성이 가장 높은 CT-1-IIa 획분을 Sepharose CL-6B 및 Sephacrl S-200의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를 수행하여 주요 활성 다당인 CT-1-IIa-2-1을 최종적으로 정제하였다. HPLC상에서 순수한 단일 peak로 확인된 CT-1-IIa-2-1은 분자량이 68 kDa정도의 다당인 것으로 나타났고 macrophage의 lysosomal enzyme 활성은 대조군을 100%로 비교했을 때 243%를 나타내었다. 또한 구성당의 조성은 xylose(27.4%), arabinose(16.1%), mannose(15.9%), glucose(14.5%)의 순이었다. 본 연구에서 CT-1-IIa-2-1은 macrophage의 면역활성을 증가시키는 물질임이 확인되었으나 mouse를 대상으로 급성독성 검사를 실시한 결과 LD$_{50}$값이 397mg/kg으로 일정 농도 이상의 고농도에서는 독성을 나타냈다. 따라서 본 시료에 대하여 아만성.만성 독성과 유전 및 면역 독성과 같은 구체적인 독성 검사를 실시하여 안전농도를 산출한다면, 면역증강물질로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다.

돼지에서 분리된 Lactobacillus Strains의 균체분해산물에 의한 RAW 264.7 Macrophage 활성화 (Activation of RAW 264.7 Macrophage by Digested Bacterial Cell of Pig-derived Lactobacillus Strains)

  • 김동운;조성백;정하연;문홍길;이현정;황보종;정완태;최창원;정일병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6호
    • /
    • pp.947-954
    • /
    • 2005
  • 경구로 섭취된 생균제가 소화관 효소의 작용을 받은 경우 장관면역계의 macrophage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돼지의 장내에서 분리된 lactobacilli를 pepsin과 pancreatin과 같은 소화관 효소로 분해한 균체분해산물에 의해 RAW 264.7 murine macrophage에서 유도되는 NO, TNF-$\alpha$ 및 IL-6의 생성을 측정하였다. Macrophage에서 유도되는 NO, TNF-$\alpha$ 및 IL-6는 균종과 균체분해산물의 양에 따라 달랐다. NO의 생성수준은 10~150 ug/ml의 분해물에서 관찰 되었으나 TNF-$\alpha$와 IL-6는 50~300 ug/ml의 고농도처리에서 나타났다. 6개의 Lactobacillus strains 중에서 3149와 3156 균주는 다른 균주에 비해 TNF-$\alpha$와 IL-6 유도능이 높았다. 또한 소화관 효소에 의해 분해된 lactobacilli의 균체분해산물의 성분이 macrophage 활성 증가와 관련이 있으며 생체내에서 숙주면역계를 조절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시험에서 사용한 방법은 소화관 면역계에 미치는 유산균의 효과를 규명하는데 유익할 것이다.

LPS로 자극된 macrophage RAW264.7 세포에서 ascochlorin에 대한 단백질체 분석 (Proteome Analysis of Responses to Ascochlorin in LPS-induced Mouse Macrophage RAW264.7 Cells by 2-D Gel Electrophoresis and MALDI-TOF MS.)

  • 장영채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814-825
    • /
    • 2008
  • 아스코크로린(Ascochlorin, ASC)은 Ascochyta viciae로부터 추출된 프레닐페놀 물질로, 혈청 콜레스테롤과 트리글리세라이드 수치를 감소시키고 종양 성장을 억제한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아스코크로린이 생리학적 혹은 병리학적인 작용과 염증반응에서 약리학적으로 유도되는 반응을 어떻게 조절하며, 이러한 메커니즘에 대해 이해하기 위해 mouse macrophage Raw264.7 세포에 아스코크로린을 처리하여 이에 대한 프로테옴의 특이적인 발현에 대해 분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LPS를 처리한 mouse macrophage Raw264.7 세포에 아스코크로린을 처리하여 염증과정에 관련된 단백질의 발현 양상을 확인하기 위해 프로테오믹스를 시행하였다. Mouse macrophage RAW264.7 세포에 아스코크로린을 처리한 조건과 무처리한 조건으로 나누어 two-dimensional electrophoresis (2-D SDS-PAGE), 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ionization mass spectrometry (MALDI-TOF-MS)와 bioinformatics 방법으로 아스코크로린을 처리한 mouse macrophage Raw264.6 세포의 프로테옴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mouse macrophage Raw264.7 세포에 아스코크로린 처리 시 Calreticulin이 4배 감소, ${\beta}-actin$도 4배 감소 그리고 vimentin이 1.5배 감소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러나 rabaptin 아스코크로린 처리에 의해 3배 증가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러한 단백질 발현은 RT-PCR을 수행하여 결과에 대해 재확인 하였으며, 프로테오믹스와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LPS 처리에 의해 활성화된 mouse macrophage RAW264.7 세포에 ASC를 처리한 후 이차원 전기영동법을 이용하여, 단백질의 발현 변화 및 양상을 규명하고 단백질 지도를 확립 하였으며, RAW264.7 세포를 이용한 면역세포 모델에서 ASC의 항염증 작용을 중심으로 생리활성 조절기능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향후 분자 기능 조절 연구와 전 임상 연구를 통해 ASC의 생리활성 조절 기능을 규명한다면 ASC는 항염증 및 항암활성을 갖는 약물로 개발될 것으로 기대된다.

Immunomodulation for maxillofacial reconstructive surgery

  • Kim, Seong-Gon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42권
    • /
    • pp.5.1-5.9
    • /
    • 2020
  • Immunomodulation is a technique for the modulation of immune responses against graft material to improve surgical success rates. The main target cell for the immunomodulation is a macrophage because it is the reaction site of the graft and controls the healing process. Macrophages can be classified into M1 and M2 types. Most immunomodulation techniques focus on the rapid differentiation of M2-type macrophage. An M2 inducer, 4-hexylresorcinol, has been recently identified and is used for bone grafts and dental implant coatings.

Immunostimulation Effects of Cell Wall Components Isolated from Lactobacillus plantarum

  • TAE BOO CHOE;KANG, KWAN YUEB;SUNG HO PAR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4권3호
    • /
    • pp.195-199
    • /
    • 1994
  • Immunostimulation effects of the cell wall components isolated from Lactobacillus plantarum were investigated by studying the macrophage s tumorcidal activity, splenocyte proliferation, anticomplementary activity and the inhibition of peritoneal tumor cell growth measured with ICR mice inoculated with sarcoma 180. The immunopotentiating cell wall components were a complex of peptidoglycan and exopolysaccharides. The tumorcidal activity of macrophage against Yacl and B16 tumor cells was enhanced when the cell wall components were added into the macrophage s culture medium. They also stimulated splenocytes to proliferate up to the same level as when the concanavalin A was added into the splenocyte's culture medium. The complementary activity was inhibited by 50% when the cell wall components were incubated with the sheep red blood cells treated with hemolysin and guinea pig complement. This result confirmed that the cell wall components had an antitumor effect, because the anticomplementary activity is usually accompanied by an antitumor activity at the same time. This fact was confirmed again by the inhibition of the growth of sarcoma 180 when the cell wall components were injected intraperitoneally into ICR mice inoculated with sarcoma 180. As a result, it is concluded that the cell wall components isolated from Lactobacillus plantarum had multifunctional immunostimulation effects in vitro and in vivo.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