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crofauna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22초

급격한 조석 감소에 의한 새만금 갯벌 대형저서동물 변화 (Changes in Benthic Macrofauna of the Saemangeum Tidal Flat as Result of a Drastic Tidal Reduction)

  • 구본주;신상호;이석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0권4호
    • /
    • pp.485-495
    • /
    • 2008
  • Tidal ranges of inner Saemangeum were largely reduced after the final dyke enclosure, resulting in the former tidal flats becoming either permanently exposed, still influenced by changing tide, or permanently submerged. The effect of reduced tidal range on survival and population stability of tidal flat macrofauna were investigated at three shifted habitats after the dyke completion. At the exposed area, several species survived for 80 days after the dyke enclosure. However, within 120 days, all macrofauna died off due to the elevated temperature during summer. At the intertidal area, some species were maintained until 170 days after the dyke enclosure with a large decrease of the faunal abundance. Species of the submerged area were seen to be more tolerant of the changed environments. The opportunistic species, such as Sinocorophium sinensis, Theora fragilis and Pseudopolydora Kempi, were massively introduced into the submerged area after the dyke enclosure, in which the benthic ecosystem was severely disturbed.

영종도 소형 조수웅덩이에 서식하는 이동성 대형 동물 (어류와 십각류)의 군집생태 (The Community Ecology of Mobile Macrofauna (Fish and Decapod) at the Youngjong Tiny Tidepools, Incheon, Korea)

  • 김병기;김병표;한경남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05-216
    • /
    • 2015
  • 인천, 영종도의 소형 조수웅덩이에서 이동성 대형동물의 군집을 조사하였다. 조사는 2010년 2월부터 2011년 1월까지 매월 실시되었다. 총 18종, 1,122개체, 623.6 gWWt이 채집되었다. 우점종은 민물두줄망둑, 미끈망둑, 풀게, 긴발가락참집게였다. 종수와 생체량은 12월부터 3월까지 낮았고, 4월부터 11월까지 높게 나타났다. 정준대응분석 결과 수온이 군집 조성에서 가장 중요한 환경 요인임을 나타내었다. 종다양도지수 범위는 0.14~2.05였고, 10월에 가장 높았다. 소형 조수웅덩이는 일부 작은 크기의 어류와 십각류에게 산란장과 성육장을 제공한다.

잘피밭 대형저서동물의 종조성과 계절변동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s of Benthic Macrofauna in Eelgrass, Zostera Marina, Bed)

  • 윤성규;허성회;곽석남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744-752
    • /
    • 1997
  • 광양만 대도주변 잘피밭 (eelgrass bed)에서 van Veen grab을 이용하여 1년간 (1994년 $1\~12$월) 매월 대형저서 동물을 채집한 결과, 총 60종이 채집되었으며, 이 중 갯지렁이류가 32종으로 가장 많이 채집되었다. 그 다음으로는 갑각류에 속하는 단각류, 십각류, 등각류 등의 순으로 채집되었다. 가장 많이 채집된 종은 Platynereis bicanaliculata, Cirratulus cirratus, Cirriformia tentaculata, Lumbrineris longifolia로써 전체 채집 개체수의 약 $63.7\%$ 정도를 차지하고 있었다. 그 외, Maldane cristata, Glycera chirori, Capitella capitata, Hemipodus yenourensis, Nephtys polybranchia, Ericthonius pugnax 등이 비교적 많이 채집되었다. 잘피밭에서 저서동물의 출현량은 계절 변동이 뚜렷하였는데, 채집 종수 및 개체수는 겨울에 최소치를 보였으나, 봄에 증가하기 시작하였고, 여름에 최대치를 보였다. 계절별 우점종을 살펴보면, 봄과 여름에는 Platynereis bicanaliculata, Cirriformia tentaculata, Lumbrineris longifolia가 우점하였으며, 가을에는 Cirratulus cirratus, Capitella capitate, Opisthobranchia 등이 우점하였다.

  • PDF

Salinity and Sediment Types as Sources of Variability in the Distribution of the Benthic Macrofauna in Han Estuary and Kyonggi Bay, Korea

  • Hong, Jae-Sang;Yoo, Jae-W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제31권4호
    • /
    • pp.217-231
    • /
    • 1996
  •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the benthic macrofauna of Han Estuary and Kyonggi Bay and the controlling environmental factors were studied at twenty-five stations in spring and fall of 1989. As a result, four biological groups were established as follows : Crassostrea gigas-Balanus reticulatus (Group I), Heteromastus filiformis-Mediomastus californiensis-Lumbrineris spp. -Sternaspis scutata-Tharyx sp. 1-Diopatra bilobata (Group II-A), Haustoriids-Phoxocephalids-Moerella rutila (Group II-B) and Nephtys chemulpoensis (Group II-C in March) and indistinctive group which was composed of common species (II-C in September). Results of the habitat analysis revealed that most of the dominant species showed narrow ranges of habitat niche in March and relatively wide ranges in September. Based on multiple discriminant analysis, the critical environmental factors governing their distributions are salinity in the regions of Yomha and Sokmo Channel in Han Estuary and sediment types in Kyonggi Bay. Also, sediment instability during the rainy season due to run-off was assumed to play a major role in the species composition of the benthic communities and their distribution in the study area.

  • PDF

The Sediment-Water Interface Increment due to the Complex Burrows of Macrofauna in a Tidal Flat

  • Koo, Bon-Joo;Kwon, Kae-Kyoung;Hyun, Jung-Ho
    • Ocean Science Journal
    • /
    • 제40권4호
    • /
    • pp.221-227
    • /
    • 2005
  • The architecture of macrofaunal burrows and the total area of the sediment-water interface created by biogenic structure were investigated in the Donggeomdo tidal flat on the west coast of Korea. Resin casting methods were applied to recover burrows of four dominant species, Macrophthalmus japonicus, Cleistostoma dilatatum, Perinereis aibuhitensis, and Periserrula leucophryna, and whole burrows within the casting area at three sites in different tidal levels. P. leucophryna excavated the largest burrow in terms of a surface area among them. In the case of whole burrow casting, the space occupied by the biogenic structure was extended into deeper and expanded more greatly at the higher tidal level. In the uppermost flat, the burrow wall surface area within sediment was more extensive than the sediment surface area. Increased oxygen supply through the extended interface could enhance the degradation rates of organic carbon and also change the pathways of degradation. Qua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tended interface and mineralization rate and pathway requires more extensive study.

馬山灣의 海洋汚染이 底棲動物群集에 미치는 影響 (EFFECTS OF THE POLLUTION ON THE BENTHIC MACROFAUNA IN MASAN BAY, KOREA)

  • 홍재상;이재학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69-179
    • /
    • 1983
  • 1980년 8월부터 1981년 5월까지 경남 마산만그 인접해역의 저서동물의 군집 생태학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모두 5개 조사 정점에서 improved van Veen grab 으로 계절별로 채집한 저서동물은 총 65종이었으며, 그 중 다모환충류가 34종으로 가장 많았고, 개체수 분석에서도 전체 개체수 608개체의 72%에 달하여 種數나 個體數에 있어서 우점 동물 분류므로 나타났다. 출현종의 수 및 개체수는 마산만 외해에서부터 내만으로 들어갈수록 감소하고 있었으며, 특히 마산만의 안쪽에 위치 하고 있는 정점인 경우 비교적많은 산소량을 요구하는 잡각류 및 극피동물과 같은 일부 동물 group들이 전혀 출현하고 있지 않았다. 출현된 저서동물군들에 대한 종다양도 지수, 우점도 지수, 기타 생태학적 제 지수의 분석으로 미룰어볼 때 마산만 내만의 경우는 인근 육지로부터 흘러들어 오는 담수의 유입, 도시하수 및 산업폐수 등에 기인하는 유기물 오염이 이 해역 저서 생물상의 분포 및 특성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마산만의 泥底 底棲生物 生態界를 파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양양 남대천 하구역의 여름철 대형저서동물 군집의 생태학적 특성 (An Ecological Feature of Benthic Macrofauna during Summer 1997 in Namdaechon Estuary, Yangyang, Korea)

  • 홍재상;서인수;이창근;윤상필;정래홍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30-237
    • /
    • 2000
  • 본 연구는 양양 남대천 하구역 대형저서동물의 생태학적 연구를 위하여 1997년 9월 23일 개량된 van Veen 그랩을 이용하여 총 11개 정점을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지역에서 총 11종, 정점당 평균 345 개체/$m^2$ 및 67.148 g WWt/$m^2$이 채집되었다. 종 수, 개체수 및 생물량에 있어서 환형동물, 절지동물과 연체동물이 $95{\%}$ 이상의 점유율을 나타냈다. 양양 남대천 하구역은 대형저서동물의 다양성 측면에서 매우 빈약한 생물상 (生物相)을 보였으며, 개체수면에서는 다모류의 Heteromastus filiformis, Hediste japonica, Eteone longa, 빈모류의 Oilgochaeta Sp., 연체동물의 Corbicula japonica, 그리고 절지동물의 Cyathura higoensis 등이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한편, 본 조사지역은 소상하는 연어 채포를 위해 쌓아놓은 둑 근처의 수심 7m 정도되는 지역이 여름철 성층 (成層, stratifiestion) 형성으로 인한 저층수의 환경 악화로 대형저서동물이 출현하지 않는 무생물구역 (無生物區域, azoic zone)으로 나타났으며, 주변의 정점에서도 일부 기회종 (opportunistic species)들이 높은 밀도를 나타내는 오염역 (汚染域, Polluted Zone)이 출현하고 있어 물리적 환경 변화에 따라 국지적으로 이러한 중오염역 (重汚染域, Very Polluted Zone)이 확산되는 방향으로의 대형저서동물의 생태적인 천이가 일어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울진 조하대 경성암반 해역 대형무척추동물의 생물다양성 (Biodiversity of Macrofauna at Subtidal Rocky Shore Around Uljin, Korea)

  • 이재호;황강석;노현수;최창근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31-40
    • /
    • 2016
  • 울진 해역 경성암반 조하대 대형무척추동물의 생물다양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2010년 3월부터 2013년 2월까지 3년간 총 5개 정점을 대상으로 계절별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 지역에서 대형무척추동물은 총 146종이 출현하였고, 우점 분류군은 연체동물(67종), 절지동물(27종)로, 절지동물(6,468개체), 연체동물(1,098개체), 극피동물(584개체) 순으로 총 8,688개체가 출현하였다. 계절별 조사 시 여름철에 총 96종, 2,525개체가 출현하여 가장 높았고, 정점별 조사에서는 정점 4에서 가장 많은 출현종수에 가장 낮은 개체수를 보였으며(81종, 1,377개체수), 정점 3에서 가장 낮은 출현종수에 가장 높은 개체수가 출현하였다(45종, 2,213개체수). 이러한 결과는 다양도와 균등도에서는 복족류가 풍부도 측면에서는 따개비류가 큰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점 3에서 따개비류가 83.4%의 비율로 다른 정점에 비해 최고 2배 이상 차이를 보여 따개비류가 서식하기 좋은 환경으로 판단되었다.

Biomass and secondary production of the three dominant amphipods (Crustacea) in a temperate sandy shore, southern Korea

  • Hwan, Yu-Ok;Rip, Seo-Hae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435-436
    • /
    • 2001
  • In sand beaches the benthic macrofauna feeding on primary food sources such as detritus and phytoplankton and being prey in turn for top predators such as fishes occupies a key position in the center of food chains. Amphipods are the most productive bentho-pelagic animals (Barnard, 1963) and are commonly consumed by fishes and larger crustaceans (Vetter, 1995). Consequently, amphipods play an important role in energy flow as a trophic link from primary producers to higher consumers(Chiaravalle et al., 1997).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