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GnRH

검색결과 106건 처리시간 0.028초

과배란유도 주기에서 얻어진 체외성숙 난자의 수정능: 고식적 체외수정시술과 세포질내정자주입법의 비교 (A Prospective Comparison of Fertilizability of in vitro Matured Human Oocytes Obtained from Stimulated Cycle: Conventional Versus ICSI)

  • 지병철;안소정;문정희;황은주;서창석;김석현;문신용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6권4호
    • /
    • pp.249-254
    • /
    • 2009
  • 목 적: 고식적 체외수정시술과 세포질내정자주입법을 사용하여 체외성숙 난자를 수정시키고 수정률과 배발달율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07년 1월부터 2008년 8월까지 난소과자극과 체외수정시술을 받은 59명의 여성에서 135개의 배아소포 단계의 미성숙난자만을 얻어 75 mIU/mL rFSH, 0.5 IU/mL rhCG, 10 ng/mL rEGF가 포함된 체외성숙용 배양액에서 최대 48시간까지 배양하였다. 체외성숙된 난자는 고식적 체외수정방법 (n=41) 또는 세포질내정자주입법 (n=94)을 이용하여 수정시켰으며 이후 배발달율을 관찰하였다. 결 과: 고식적 체외수정군과 세포질내정자주입군에서 체외성숙률은 각각 51.2%와 59.6%였고, 수정률은 각각 71.4%와 80.4%로 두 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배발달율도 두 군에서 비슷하게 관찰되었다. 결 론: 난소과자극을 통해 얻은 미성숙난자는 고식적 체외수정법을 사용하더라도 세포질내정자주입법과 동등한 수정률과 배발달율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체외수정 시술시 과배란 유도에서 Luteal Phase Support에 Human Chorionic Gonadotropin과 Progesterone의 효용성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Clinical Effectiveness of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and Progesterone on Luteal Support in Controlled Ovarian Hyperstimulatian far IVF)

  • 나오순;이상훈;배도환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1권3호
    • /
    • pp.233-240
    • /
    • 199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endocrine milieu, and pregnancy rates in In Vitro Fertilization and Embryo Transfer(IVF-ET) program employing combined with 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 agonist(GnRH-a) and pergonal(LH 75lU+FSH 75lU) when either human chorionic gonadotropin(HCG) or progesterone were used for luteal phase support. A total number of 40 IVF-ET treatment cycles were prospectively studied. Ovarian hyperstimulation method was modified ultrashort protocol using GnRH-a. All patients started Decapeptyl at menstrual cycle day # 2, and HMG was started at # 3 days. When leading follicle was ${\geqq}$18mm or at least two follicles were ${\geqq}$14mm in diameter, HCG 10000lU intramuscularly was injected. After 36 hours HCG administration, oocytes were retrieved as usual guided by transvaginal ultrasound. Embryo were transfered 36-48 hours later. The patient's cycles were prospectively randomized to receive HCG(20cycles) or Progesterone (20cycles) for luteal support. The progesterone group received 25mg 1M starting from the day of ET. The HCG group received 1500IU 1M. on days 0, +2, +5 after ET. Estadiol($E_2$) and Progesterone($P_4$) were measured on the day of oocyte aspiration, ET day, and every 6 days thereafter. Results were follows as; 1. Estradiol, progesterone and LH levels on the day of HCG trigger, retrieved oocytes and number of transfered embryo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both groups. 2. On the day of aspiration and embryo transfered day, $E_2$, $P_4$ level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progesterone group than HCG group(p<0.01). 3. $E_2$, $P_4$ level on 6 days after ET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progesterone group than HCG group(p<0.01). But, $P_4/E_2$ ratio was not different in both groups. 4. $E_2$, $P_4$ level 12 days after ET were decreased abruptly in both groups and higher hormonal level appeared in HCG group(P<0.01). 5. The total pregnancy rate in the HCG group was 40% (8/20) and in the progesterone group 15%(3/20). 6. Comparing the pregnant and nonpregnant cases progesterone group was not different the hormonal status. In HCG group, pregnant cases appeared in higher $P_4$, $P_4/E_2$ ratio than nonpregnanct cases(P<0.01).

  • PDF

한우 인공수정시 rbST 투여가 수태 및 분만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bST Administrations at Artificial Insemination on Conception and Parturition Rates in Hanwoo)

  • 한만희;최선호;최연호;김현종;조상래;최창용;류일선;손동수;연성흠;우제석;권응기;윤기영;장병선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77-184
    • /
    • 2005
  • 본 연구는 정상 및 저수태 한우에 rbST를 투여하였을 때 수태 및 분만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시험축은 성빈 한우 383두와 임상적으로는 정상이나 3회 이상 수정시켜도 수태가 되지 않는 저수태 한우 79두, 총 462두를 시험에 공시하였다. 실험을 수행하기 위한 시험구 배치는 5개의 처리구, 즉 T1(무처리, 2ml의 생리 식염수), T2(rbST 250mg 수정시 1회 미근부에 투여), T3(rbST 250mg: 수정시 및 수정후 $10\~14$일째 2회 투여), T4(rbST 500 mg: 수정시 1회 투여) 및 T5(rbST 500mg: 수정시 및 수정후 $10\~14$일째 2회 투여)로 나누어 시험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호르몬과 병행 처리구는 Day 0일에 GnRH 100 ug/cow를 견갑부에 피하주사하고 Day 7일째 $PGF_2{\alpha}\;25mg/cow$를 주사하여 황체를 퇴행시키고, Day 9일째 GnRH 100ug/cow를 주사하여 배란 동기화를 유도하여 시험에 공시하였다. 1. 정상 한우에 인공수정시 rbST를 T1, T2, T3, T4 및 T5로 처리하였을 때, 1회 수정 수태율은 대조구$(52.4\pm9.72\%)$에 비하여 $T2(67.5\pm18.48\%)$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저수태우에서는 대조구$(39.3\pm12.89\%)$보다 $T4(63.3\pm5.77\%)$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수태율을 나타냈다.(p<0.05). 또한, 정상 한우의 분만율에 있어서는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지만, 저수태우에서는 $T4(46.7\pm11.55\%)$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성적을 나타냈다(p<0.05). 2. Ovsynch 방법으로 발정을 유기하여 인공수정시 rbST를 T1, T2, T3, T4 및 T5로 처리하였을 때, 1회 수정 수태율은 대조구에 비하여 T2에서 $12.5\%$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저수태우에서는 $T4(80.0\%)$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수태 율을 나타냈다(p<0.05). 3. 정상 한우에 인공수정시 rbST를 T1, T2, T3, T4 및 T5로 각기 처리하였을 때, 임신 기간은 평균 $282.7\~284.8$일이었고, 또한 생시체중의 비교는 평균 $25.1\~25.9kg$으로서 처리 구간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송아지의 암수 성비는 T4 처리구(18두 vs. 9두)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에서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저수태 한우의 평균 임신 기간은 $280.4\~289.3$일로서 정상우와 비교했을 때 비슷한 결과를 보였고, 또한 생시 체중의 조사 결과에서도 평균 체중이 $23.0\~26.6kg$으로서 각 처리구간에도 유의성은 없었다. 송아지의 암$\cdot$수의 성비는 T4 처리구(2두 vs. 8두)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에서 유사하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정상 및 저수태 성빈 한우에 rbST를 투여한 후 수태율과 분만율을 조사한 결과 인공수정시 정상우에서는 rbST를 250mg 1회 투여, 그리고 저수태 한우에 있어서는 rbST를 500mg을 인공수정시 1회 투여하였을 때가 다른 처리구에서 보다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인공수정시 일정량의 rbST투여는 한우의 수태 및 분만율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소 수정란이식에 있어서 효율적 발정동기화 처리법에 관한 연구

  • 윤종택;이호준;최은주;정경섭;신용순;민관식;이종완
    • 한국동물번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번식학회 2003년도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초록집
    • /
    • pp.93-93
    • /
    • 2003
  • 소의 수정란이식에 있어서 성공적인 임신을 위해서는 수란우의 적절한 영양상태, 양질의 수정란, 이식 시술자의 기술력과 수란우와 수정란의 적절한 동기화가 필수 요인이라 사료된다. 특히, 적절한 동기화를 위해서 발정관찰은 필수적이지만 번거롭고 장시간동안 관찰을 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할 수 있도록 발정동기화 처리방법을 비교, 검토하여 수정란이식에 있어서 효과적인 발정동기화 방법을 모색하고자 실시하였다. 발정동기화 방법은 Fig 1과 같이 CIDR처리방법(A군)과 GnRH 처리방법(B군)을 사용하였으며, 황체의 등급은 직장검사와 초음파 진단기를 이용하여 직경이 2cm 이상, 1~2cm와 1cm 미만의 황체를 각각 1등급, 2등급과 3등급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본 실험에 공시된 수정란은 체외 생산된 한우 배반포기의 수정란을 사용하였으며, 1등급의 황체를 가진 수란우만을 선별하여 비외과적인 방법으로 황체가 존재하는 자궁각심부에 이식하였다. 임신진단은 이식 후 45~60일에 직장검사와 초음파진단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발정동기화처리결과는 Table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A군과 B군에서 발정발현율이 각각 100%와 96%로 나타났으며, 이식하기에 적합한 1등급 황체의 출현율이 65.4%와 56%로 A군에서 다소 높게 나타났다. 발정동기화 처리방법에 따른 수정란 이식 후 수태율은 A군에서 신선란과 동결란일 때 각각 66.7%와 60%로 나타나 B군의 22.2%와 0%의 결과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수정란 이식을 위한 발정동기화 방법은 CIDR 처리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GnRH 처리방법 보다 효율적이라 사료된다.다. 특히 기능황체에서의 특이적 발현 spot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황체의 progesterone분비기능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단백질들이 전, 중기에 발현된다는 것을 알 수 있고 퇴행황체에서는 발현이 안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다른 양상을 띤 spot을 분리하여 어떤 단백질인지를 분석하여 각각의 황체단백질의 특성을 규명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적율(HCT)을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적혈구 평균용적(Mean Corpuscular Volume ; MCV), 평균적혈구혈색소량(Mean Corpuscular Hemoglobin ; MCH), 평균적혈구혈색소농도(Mean Corpuscular Hemoglobin Concentration ; MCHC) 그리고 혈소판(Platelets) 분석결과 형질전환돼지가 일반돼지보다 약간 높은 수치를 나타냈으며 변화양상 또한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시험분석결과를 토대로 사람 조혈촉진유전자(hEPO)가 형질전환된 돼지는 유즙으로 발현할 수 있도록 형질전환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헤모글로빈 및 적혈구가 증가함으로서 형질전환돼지 개체의 혈장으로도 사람 조혈촉진인자가 분비하고 있음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었다. 정상돼지 보다 형질전환돼지가 약 30% 높은HCT 수준을 보였으며 이러한 현상은 사람에서는 적혈구증다증(erythrocytosis)으로 분류되고 있다. 이에 대한 고찰은 형질전환돼지 자체의 생리적 문제점(side effects)에 대한 해결과 더불어 기존의 인간질병에 대한 모델동물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mu\textrm{m}$ 300BG는 56.32$\mu\tex

  • PDF

Leptin Is a Metabolic Signal for GnRH-LH/FSH Axis in Feed-restricted Ewes

  • Towhidi, A.;Khazali, H.;Zhandi, 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0권7호
    • /
    • pp.1039-1048
    • /
    • 2007
  •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leptin is a metabolic signal for gonadotropin secretion in ewes. In the first experiment, twenty-eight cyclic Chal ewes were assigned randomly to an energy restricted, no leptin group (ERNL) (60% of maintenance; n = 14) and an energy normal, no leptin group (ENNL) (100% of maintenance; n = 14) for 71 days (6 estrous cycles). Estrus was synchronized with seven consecutive injections of $PGF_{2{\alpha}}$ Biweekly, body weight (BW) and body condition score (BCS) were determined and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to measure plasma leptin concentration. Blood samples were also taken to determine plasma progesterone concentration twice weekly. After each PG injection from the second injection to the end of experiment, four ewes were selected and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at 20 minutes and at hourly intervals for 3 h to detect plasma LH and FSH concentration. In the second experiment, after the ceasing of the estrous cycle caused by energy restriction, six acyclic ewes were selected and randomly allotted to two groups (n = 3) and received the following treatment for four days. Ewes in an energy restricted, leptin group (ERL) were fed with a ration which provided 60% of maintenance energy requirements and intravenously injected with $4{\mu}g$ leptin/kg BW daily. Ewes in an energy excess, no leptin group (EENL) were fed with a ration that provided 180% (120%+60%) of maintenance energy requirements and intravenously injected with 1 ml saline daily. In both groups,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at 20 minutes and at hourly intervals for 3 h before feeding on d 0 and d 5, and for 3 h before and after injections as above on d 2 and d 4 to detect plasma LH and FSH concentration. In the first experiment, BW and BCS from the $2^{nd}$ estrous cycle, and leptin from the $3^{rd}$ estrous cycle to the end of the experiment significantly (p<0.05) decreased. In ERNL ewes, mean plasma concentrations of FSH significantly (p<0.01) decreased from the $4^{th}$ estrous cycle to d 71 and LH pulsatile secretion was suppressed on d 71, so that, mean plasma concentrations of LH (p<0.05), LH pulse frequency (p<0.01) and LH pulse amplitude (p<0.05)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second experiment, injection of leptin significantly increased mean circulating concentrations of LH (p<0.05), LH pulse frequency (p<0.01), LH pulse amplitude (p<0.05) and mean circulating concentrations of FSH (p<0.01) and leptin (p<0.01). High energy intake significantly (p<0.05) stimulated pulsatile secretion of LH and leptin secretion (p<0.01), but non-significantly increased plasma FSH concentr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leptin is a metabolic signal for the GnRH-LH/FSH axis in feed-restricted fat-tailed ewes.

성 성숙 억제 물질 투여에 따른 Zebrafish Dario rerio의 성호르몬 관련 유전자 발현 변화 (Changes in Sex Hormone-related Gene Expression in Zebrafish Dario rerio by the Administration of Sexual Maturation Inhibitors)

  • 김기혁;문혜나;여인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17-22
    • /
    • 2022
  • Successful reproduction in vertebrates necessitates complex interactions along the brain-pituitary-gonad axis, it is determined by 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 produced in the hypothalamus of the brain, gonadotropin synthesized in the pituitary gland, and sex hormone secreted by the gonads.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secure and test technology for controlling (inhibiting) sexual maturation hormones such as maturation hormones through hormone regulation. We studied the effect on sexual maturation of zebrafish Danio rerio by tamoxifen, anastrozole, exemestane and dopamine 4 kinds of sexual maturation inhibitors to feed and after administration. As a result, 4 kinds of sexual maturation inducing substances were mixed with zebrafish feed, it could be concluded that all of them were effective in inhibiting sexual maturation by reducing mRNA levels of genetic materials related to sexual maturation.

Possible Involvement of Photoperiodic Regulation in Reproductive Endocrine System of Femal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Kim, Hyun Chul;Lee, Chi Hoon;Hur, Sung Pyu;Kim, Byeong Hoon;Park, Jun Young;Lee, Young Don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9권1호
    • /
    • pp.11-17
    • /
    • 2015
  • This study investigated possible involvement of photoperiodic regulation in reproductive endocrine system of female olive flounder.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n brain-pituitary axis in endocrine system by regulating photoperiod, compared expression level of Kisspeptin and sbGnRH mRNA in brain and FSH-${\beta}$, LH-${\beta}$ and GH mRNA in pituitary before and after spawning. Photoperiod was treated natural photoperiod and long photoperiod (15L:9D) conditions from Aug. 2013 to Jun. 2014. Continuous long photoperiod treatment from Aug. (post-spawning phase) was inhibited gonadal development of female olive flounder. In natural photoperiod group, the Kiss2 expression level a significant declined in Mar. (spawning period). And also, FSH-${\beta}$, LH-${\beta}$ and GH mRNA expression levels were increasing at this period. However, in long photoperiod group, hypothalamic Kiss2, FSH-${\beta}$, LH-${\beta}$ and GH mRNA expression level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fluctu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expression of hypothalamic Kiss2, GtH and GH in the pituitary would change in response to photoperiod and their possible involvement of photoperiodic regulation in reproductive endocrine system of the BPG axis.

한우 체외성숙.체외수정란의 수정란이식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Embryo Transfer of In Vitro Matured/ In Vitro Fertilized Embryo in Hanwoo)

  • 황환섭;장현용;김성곤;김종택;박춘근;정희태;김정익;양부근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10
    • /
    • 2004
  • 본 연구는 1997년 IMF 이후 급격히 감소된 한우의 두수를 증가시키고, 최근 젖소 송아지 가격이 현저히 낮게 형성되고 있어 양축가의 사기가 떨어지고 있는데 가임 젖소 암소에 한우 수정란을 이식시켜 한우 송아지를 생산케 함으로서 농가 소득을 증대시키고 실시하였다. 1. 체외수정 후 6, 7, 8 및 9일째의 수정란을 이식하여 59.4%, 68.2%, 66.0% 및 100%의 수태율을 나타냈으며, 상실배기(20.0%) 수정란이 배반포기(61.1%∼69.5%) 수정란보다 낮은 수태율을 나타내었다. 2. 수란우의 영양상태는 과비가 되지 않고 약간 야윈 듯한 체형을 선발하는 것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3. 황체가 형성된 자궁각에 수정란을 이식한 결과 수태율이 70.1%로서 황체가 형성된 반대편 자궁각에 이식한 수태율 62.5%보다 높은 성적을 나타냈다. 4. 수란우에 수정란을 이식하기 전 hCG 1500 IU 와 GnRH 5 $m\ell$ 투여한 결과 69.9%를 나타내어 무처리구 63.0%보다 다소 높은 성적을 나타내었다. 5. 수란우와 공란우의 발정이 일치할 경우(0일) 이식 후 수태율이 72.6%로서 여타구보다 높은 성적을 나타내었다. 6. 수란우 산차에 따른 수정란 이식 후 수태율은 미경산우가 59.1%로서 경산우 70.6%보다 낮게 나타났다. 7. 수정란 상태에 따른 이식 후 신선란 및 동결란 수태율은 각각 70.6%와 36.4%를 나타내어 신선란이 높은 수태율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체외 수정란은 체외배양 7일에 생산된 배반포 및 확장배반포기 수정란을 공란우와 수란우의 발정을 정확히 동기화 시키고, 수란우의 황체가 뚜렷하게 형성된 경산우를 이용하며, 이식 전 수란우에 Hormone을 처리하는 것이 수태율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Glucose와 Phosphate가 제거된 M-TALP 배지에서의 난구세포 공배양에 의한 임신율 향상에 관한 연구 (Improvement of Pregnancy Rates by Coculture of Human Embryos with Cumulus Cells in Glucose and Phosphate Free M-TALP Media)

  • 정범식;장우현;이문희;김지연;방지호;김규현;서태광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6권1호
    • /
    • pp.75-81
    • /
    • 1999
  • The beneficial effect of glucose and phosphate ions in culture medium on the development of human embryos in vitro has not been fully elucida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fertilization and culture of embryos in glucose/phosphate-free m-TALP medium on pregnancy rates in IVF-ET program. The patients in 244 IVF-ET cycles received GnRH agonist + HMG regimens. A does of 10,000 IU HCG was administered when two or more dominent follicles reached 18mm in diameter. Thirty-six hours after HCG, oocytes were recovered transvaginally using ultrasound guidance. Aspirated oocytes were matured for 4 to 6 h in TCM-199 supplemented with 10% follicular fluid (FF). Insemination was carried out with 50,000 motile spermatozoa in TCM-199 + 10% FF or m-TALP + 5% FF + 5% fetal cord serum (FCS) according to experimental design. After 6 h, oocytes were washed 3 to 4 times and cultured in each fresh medium. After 20 h, oocytes were freed from cumulus/corona cells and examined for the presence of pronuclei. Fertilized oocytes were transferred into each co-culture drops and cultured for further incubation. On day 3, embryo transfer was performed with grade 1 and 2 embryos. Monolayers for co-culture of embryos were prepared by plating $1{\times}10^5$ cumulus cells/ml in 10ul drop of TCM-199 + 10% FF or m-TALP + 5% FF + 5% FCS media 24 h prior to the onset of co-culture. Development to 4 to 16 cell stage was observed at 70x magnification following two days of incubation. Pregnancy was confirmed by detecting increasing serum ${\beta}$-hCG concentrations for 11 days following embryo transfer. Data were analyzed by ${\chi}^2$-test. Oocytes from 244 IVF-ET cycles were randomized. The number of cycles and mean age of patients were 97 and 147, 31.3 yrs and 31.2 yrs for TCM-199 (control) and m-TALP groups, respectively. The mean number of retrieved oocytes/cycle, fertilization rates, number of embryos transferred/ET and pregnancy rates were 11.1 and 10.3, 65.1% and 67.3%, 4.1 and 4.7, 28.9% and 43.8% for TCM-199 and m-TALP groups, respectively. Differences in the pregnancy rates were found between control and m-TALP groups (p<0.05). The pregnancy rate of patients divided according to maternal age groups of ${\leq}30$, 31-35, $36{\leq}$ were 44.4% and 49.0%, 26.1% and 41.3%, 29.2% and 41.2% for control and m-TALP groups, respectively. These data indicate that culture of human embryos in glucose/phosphate-free m-TALP medium improves pregnancy rates.

  • PDF

스트레스에 대한 고려 인삼의 효능 (Effects of Panax ginseng on Stress)

  • 이미정;김은혜;이동권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2권1호
    • /
    • pp.8-14
    • /
    • 2008
  • 스트레스 반응은 위급 상황에서만 활성화 되는 것이 아니라 우리 주변을 둘러싼 모든 사회적, 물리적 환경에 의해 끊임없이 기인된다. 예를 들어 소음, 강한 빛과 열, 주거의 공간 등과 같은 물리적 환경과 타인과의 관계, 부당한 대우, 규칙, 형식과 같은 사회적 관계 이 그것이다. 고려 인삼은 항스트레스 작용을 한다고 알려져 있으나 현재까지 대부분의 연구는 인삼 엑기스 또는 총 사포닌을 투여 시 나타나는 물리화학적인 척도 (수영 시간, 뜨거움에 대한 반응, 포도당 및호르몬 수준 등)를 측정하였으며 뇌에서 ginsenoside의 기능연구는 매우 미흡한 수준이다. 특히 신호전달, 전사체 (transcriptome),proteomics, system biology와 같은 분자생물학적인 방법을 이용한 기전 연구는 전혀 수행된 바 없다. 따라서 인삼의 항 스트레스 반응 기전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인삼투여 후 뇌에서 나타나는 분자적 변화에 대한 연구가 앞으로 요구된다. 또한 microarray 등의 분자생물학적 기법을 이용하여 인삼 투여에 의해 반응하는 유전자를 발굴함으로써 이러한 인자들이 인삼 효능 시험 등에 지표로 응용될 수 있을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