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w-temperature tolerance

검색결과 224건 처리시간 0.039초

사료 내 감귤착즙박 첨가가 저수온에서 사육된 참돔(Pagrus major)의 성장, 비특이적 면역반응 및 수온자극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a Citrus By-product on Growth Performance, Innate Immunity and Tolerance of Low Water Temperature in Red Seabream Pagrus major)

  • 송진우;박상현;이초롱;이경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99-406
    • /
    • 2013
  • Our aim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a citrus by-product (CBP) and CBP fermented by Lactobacillus plantarum (LP-CBP), provided as dietary supplements, on the growth performance, feed utilization, innate immunity and temperature tolerance of red seabream. A diet without inclusion of CBP or LP-CBP was used as a control and four other experimental diets were formulated to replace wheat flour by 4% and 8% of either CBP or LP-CBP (designated as Con, LP-CBP4%, LP-CBP8%, CBP4% and CBP8%, respectively). Experimental diets were fed to triplicate groups of 25 fish (initial body weight, 55.0 g) for 9 weeks. Growth performance and feed utilizatio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all the groups. Bone collagen conten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supplementation with CBP and LP-CBP. Vitamin C concentration tended to be higher in livers of fish fed the supplements than in the control group. Myeloperoxidase, lysozyme and superoxide dismutase activities were higher in fish fed CBP or LP-CBP than in fish fed the control diet. When fish were exposed to low water temperature, cumulative mortalities of those fed CBP or LP-CBP supplemented diets were lower (29%, 33%, 34% and 33% mortalities for LP-CBP4%, LP-CBP8%, CBP4% and CBP8%, respectively) than in the control group (58%). Therefore, inclusion of either CBP or LP-CBP at up to 8% in red seabream diet brings benefits through enhanced innate immunity and better tolerance of low water temperature.

Fabrication of Micromachined Ceramic Thin-Film Pressure Sensors for High Overpressure Tolerance

  • Chung, Gwiy-Sang
    • 한국반도체및디스플레이장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반도체및디스플레이장비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발표 논문집
    • /
    • pp.59-63
    • /
    • 2002
  • This paper reports on the fabrication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a ceramic thin-film pressure sensor based on Ta-N strain-gauges for harsh environment applications. The Ta-N thin-film strain-gauges are sputter-deposited on a thermally oxidized micromachined Si diaphragms with buried cavities for overpressure tolerance. The proposed device takes advantage of the good mechanical properties of single-crystalline Si as a diaphragm fabricated by SDB and electrochemical etch-stop technology, and in order to extend the temperature range, it has relatively higher resistance, stability and gauge factor of Ta-N thin-films more than other gauges. The fabricated pressure sensor presents a low temperature coefficient of resistance, high-sensitivity, low non-linearity and excellent temperature stability. The sensitivity is 1.21 ~ 1.097 mV/V.kgf/$\textrm{cm}^2$ in temperature ranges of 25~ $200^{\circ}C$ and a maximum non-linearity is 0.43 %FS.

  • PDF

저온 충격에 노출된 참돔 Pagrus major 치어의 임계 저 수온 및 행동 내성 반응 (Critical Low Temperature and Response of Behavioral Tolerance in Red Seabream Pagrus major fingerlings Exposed to Cold Shock)

  • 윤성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575-584
    • /
    • 2021
  • 본 연구는 연속행동모니터링시스템(CBMS)을 사용하여 저온 충격에 노출된 참돔 Pagrus major 치어의 행동반응에 대한 임계 수온 및 행동 내성 반응을 규명하였다. 실험생물의 행동은 8.0~20.0℃ 수온구간에서 12시간과 24시간 마다 각각 2.0℃와 4.0℃씩 하강시키며 관찰하였다. 참돔 치어는 12.0℃ 이하로 수온이 하강한 경우 수온 노출시간과 변동 폭에 관계없이 유영활동이 감소하고 정지가 반복되는 불안정한 행동패턴이 관찰되었다. 또한 8.0~10.0℃ 수온에 노출된 생물의 유영능력은 급격히 저하되어 수조 바닥에서 머무르는 아치사 반응 행동을 보였다. 실험어류는 저 수온 스트레스 영향을 받아 생물의 50 %만 생존하였으며, 저온 충격(cold shock) 후 6시간 이내에 모든 개체가 사망하였다. 또한 행동지수(BI)는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변이계수(CV)의 진폭변화는 타 수온보다 변동 폭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p<0.05). 참돔 치어의 저온 스트레스는 12.0℃를 경계로 촉진되며, 8.0~10.0℃의 저온 충격에 노출된 생물의 아치사 반응을 유발시키는 내성한계인 것으로 해석된다.

배양조건에 따른 Lactobacillus casei YIT 9018의 니산성 변화 (Influence of Culture Comditions on Acid Tolerance of Lactobacillus casei YIT 9018)

  • 심재헌;김상교;백영진;오태광;양한철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7-23
    • /
    • 1995
  • We studied the influence of culture conditions on the acid tolerance of Lactobacillus casei YIT 9018 in artificial gastric juice with respect to relative amount of membrane bound ATPase and their biochemical characteristics. With raising incubation temperature from 30.5$\circ$C to 40.5$\circ$C and lengthening incubation time from exponential phase to late stationary phase, the acid tolerance of L. casei YIT 9018 was increased. As acid tolerance enhanced, C$_{18:1}$ content of membrane fatty acid was reduced and C$_{19:0 cyclo}$ was enriched but the others were not changed greatly. At high ATPase activity, proton permeability was relatively low but this phenomenon did not correspond to acid tolerance. In conclusion, it was considered that changes of C$_{18:1}$ and C$_{19:0 cyclo}$ were closely related to the acid tolerance of L. casei YIT 9018.

  • PDF

미국삼(Panax quinquefolium)의 저온 저항성에 관한 연구 (Low Temperature Tolerance of Panax quinquefolium)

  • Lee, Jong-Chul;John, T.A.Proctor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0권2호
    • /
    • pp.179-183
    • /
    • 1996
  • One exotherm was detected in the intact ginseng seeds containing more than 35% water, but in seeds with 20% there was no exotherm. The shapes of exotherm were remarkably uniform without relation to water content above 35%. The temperature at the initiation of freezing varied from -3.5$^{\circ}C$ to -9.6$^{\circ}C$ with the different water content in the seeds, and the Initial temperature of freezing delayed with the decrease of water content. The resistance damage at low temperature appeared in order of maln body, rhizome, lateral root of 3-year-old yearling rhizome, and fine root of 3-year-old. Ginseng roots didn't receive any damage at -5$^{\circ}C$ for 24 hours. Otherwise they received serious damage below -1$0^{\circ}C$ even for 5 hours'exposure. Hence, alternative low temperature gave more severe damage compared to constant low temperature.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Possibility of receiving injury at low temperature was higher during the thawing season of the early spring than in the winter.

  • PDF

기상재해와 수도육종상의 대책 - 내냉성품종육성방안- (Meteorological Constraints and Countermeasures in Rice Breeding -Breeding for cold tolerance-)

  • 허문회;함영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71-384
    • /
    • 1982
  • 1. 내냉성품종의 요망은 고위도지대뿐만 아니라 열대지방에서도 간절하며 요망되는 내냉성품종의 특성도 여러 가지이다. 세계적으로 요망되는 내냉성을 IRRI에서는 편의상 a) 북해도형, b) 수원형, c) 태북일기작형, d) 태북이기작형, e) 열대고냉지형 및 f) Bangladesh형으로 구분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요망되는 내냉성은 통일계품종에서 더욱 간절하며 생육전반에 걸쳐 Japonica 정도의 생리적 활성이 요망되지만 적어도 유묘기와 성숙기의 저온장해가 Japonica보다 크지 않은 것이 우선 당면한 문제라 하겠다. 일반계품종에서는 조생이면서 안정된 기본영양생장성을 가지고 고온에서 과민하지 않고 저온에서 생육지연이 비교적 작은 것이라면 좋을 것이다. 2. 국내에서의 내냉성계통검정방법과 시설은 통일계품종의 출현 이후 급속히 발전되었으며 저온항온기, 냉수 Tank, growth cabinet, phytotron, 춘천의 냉수포장, 진부, 운봉, 영덕의 내냉계통육종포 등 내냉계통선발을 위해서는 비교적 잘 갖춰진 편이다. 국외의 시설로는 IRRI의 냉수 Tank와 세대촉진시설 그리고 Banaue, Kathmandu나 Kashirnir의 자연생태적조건을 우리가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로 일본에서 보고된 생육각단계에서의 여러 가지 내냉성검정방법을 소개하였다. 3. 내냉성품종들이 가지고 있는 내냉형질의 단리는 아직 분명히 되어 있지 못하지만 a) 저온발아성, b) 저온유묘생장성, c) 저온묘변색 d) 저온발근력, e) 저온분벽력, f) 저온양분흡수능력, g) 저온동화력, i) 저온임실장해, j) 저온등숙장해 등에 품종간차가 분명한 것이 보고되어 있다. 위의 형질간의 상관관계는 형질에 따라 재료에 따라 구구하였다. 내냉성형질들의 유전에 관한 보고는 많지 않아 저온발아력에 관해 4개 이상의 다인자, 유묘저온생존력에 관해 단인자 또는 다인자, 유수형성기 저온저항력에 관해 4개 또는 그 이상의 다인자, 냉수포장에서의 저온저항력에 관해, 4개 이상의 유전자가 관여되는 것으로 그리고 heritability는 항상 높은 것으로 보고되어 있지만 같은 그 재료들을 가지고 다른 저온에서 검토하면 상이한 결과가 나올 것은 쉽게 짐작할 수 있다. 여러 가지 내냉성검정기술의 발전과 IRRI의 국제 내냉성품종연락시험으로 Japonica, Indica, Bulu 등에서 다같이 많은 품종들이 내냉성모본으로 검정되어 있다. 4. 육종방안을 구상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들 a) 유전질의 다양화, b) 내병충성의 집적, c) 지역별 적응품종의 동정, d) 장려품종의 체계적 통제 등을 고려하면서 단기적 및 장기적 육종방안을 제안하였다. 단기적으로는 일반계품종을 대상으로 하되 우리나라 기존품종을 기초로 알려진 내냉성품종을 가지고 생육일수와 내냉성을 조정하는 한편 극조생내냉성 찰벼모본에 내충내병인 Indica 모본을 일회친으로 Japonica로 Back cross하면서 내병충성을 유지한 계통을 선발하여 이것으로 내냉조합에 내병충성을 첨가시키도록 한다. 장기적 방안으로는 Japonica뿐만 아니라 Indica, Javanica 등 모든 내냉성모본을 이용하여 germplasm의 다양화를 꾀하며 모본별 형질별 내냉성유전자를 동정하여 이들을 종합하여 생육전기간을 안정하게 경과할 수 있게 내냉성을 향상하고 내병충성을 첨가하는 단계적인 과정을 제안하였다. 육종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세대촉진, 화분배양과 국제협력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 PDF

저온하에서 질소시비량이 수도품종의 생육형질, 질소함량 및 ethylene 생성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itrogen level under low Temperature Condition on Growth Characters, Nitrogen Concentration and Ethylene Evolution of Rice Varieties)

  • 이종훈;이문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15-223
    • /
    • 1987
  • 본 연구는 벼의 주요생육단별로 저온하에서 질소시비량과 시비시기를 달리해서 수도품종의 내냉성과 도체내 질소함량 및 ethylene 생성량과의 관계를 명백히 함으로서, 내냉성 품종육성과 냉해경감을 위한 재배기술확립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실시한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분얼기의 저온처리는 초장과 분얼을 크게 억제시켰으며, 질소시비량의 증가는 저온하에서도 초장, 분얼수는 다소 증가되나, 저온에 약한 태백벼가 현저히 적었다. 그러나 저온처리 종료후 회복력은 내냉성이 약한 태백 벼가 현저했다. 2. 분얼기, 감수분열기, 등숙기 저온처리는 엽신의 질소함양은 증가시키나 탄수화물함양은 감소하는 영향이었다. 3. 감수분열기는 질소시비량의 증가에 따라 저온에 의한 임실비율이 감소하며, 그 경향은 내냉성이 약한 품종에서 현저했으며, 엽신의 질소함양과 임실비율간에는 부의 유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4. 출수기의 실비의 증비는 저온하에서 등숙률을 저하시켰으며, 그 경향 내냉성이 약한 품종에서 뚜렷했다. 5. 엽신의 ethylene 생성량은 품종간 큰 차이를 나타냈고, 질소시비량 증가에 따라 ethylene 생성량이 감소하는데. 이 같은 결과는 품종의 내비성 또는 내냉성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6. 엽신의 ethylene 생성량의 저온처리기간 또는 처리후의 추이를 보면, 저온처리와 함께 급격히 감소하고, 저온처리 종료후는 다시 증가하나, 그 경향은 시비하에서는 현저한 증가를 보이나 질소증비에 따라 생성량은 현저히 감소하였다. 또한 품종간 차이가 큼을 인정할 수 있었다.

  • PDF

Effect of Silicon on Growth and Temperature Stress Tolerance of Nephrolepis exaltata 'Corditas'

  • Sivanesan, Iyyakkannu;Son, Moon Sook;Soundararajan, Prabhakaran;Jeong, Byoung Ryong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2권2호
    • /
    • pp.142-148
    • /
    • 2014
  • Effect of silicon (Si) nutrition on growth and temperature stress tolerance of Nephrolepis exaltata 'Corditas' grown in a soilless substrate was examined. In vitro-grown acclimatized plantlets were transplanted into the pots containing a coir-based substrate. A nutrient solution containing 0, 50, or $100mg{\cdot}L^{-1}$ Si was supplied through a drip-irrigation system. After 5 months of cultiv ation, S i-treated and -untreated p lants were grown at 10, 25, or $40{\pm}1^{\circ}C$ under a 12 h photoperiod with $530{\mu}mol{\cdot}m^{-2}{\cdot}s^{-1}$ PPFD and 60% RH. After 7 days, chlorophyll content and chlorophyll fluorescence parameters were measured. Silicon nutri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growth characteristics of N. exaltata 'Corditas'. However, Si-treated plants had more tolerance to temperature stress than the control plants. The Fv/Fm valu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hen the plants were exposed to $25^{\circ}C$. However, significant difference in Fv/Fm was recorded when plants were exposed to 10 or $40^{\circ}C$. Thus, Fv/Fm could be used as an indicator of low and high temperature tolerance in ferns. The present study also suggests that application of Si may be used to enhance temperature tolerance of ferns.

Axenic purification and cultivation of an Arctic cyanobacterium, Nodularia spumigena KNUA005, with cold tolerance potential for sustainable production of algae-based biofuel

  • Hong, Ji-Won;Choi, Han-Gu;Kang, Sung-Ho;Yoon, Ho-Sung
    • ALGAE
    • /
    • 제25권2호
    • /
    • pp.99-104
    • /
    • 2010
  • A psychrotolerant cyanobacterium, Nodularia spumigena KNUA005, was isolated from a cyanobacterial bloom sample collected near Dasan Station in Ny-${\AA}lesund$, Svalbard Islands during the Arctic summer season. To generate an axenic culture, the isolate was subjected to three purification steps: centrifugation, antibiotic treatment and streaking. The broad antibacterial spectrum of imipenem killed a wide range of heterotrophic bacteria, while the cyanobacterium was capable of enduring both antibiotics, the remaining contaminants that survived after treatment with imipenem were eliminated by the application of an aminoglycoside antibiotic, kanamycin. Physical separation by centrifugation and streaking techniques also aided axenic culture production. According to the cold-tolerance test, this mat-forming cyanobacterium was able to proliferate at low temperatures ranging between 15 and $20^{\circ}C$ which indicates the presence of cold-tolerance related genes in N. spumigena KNUA005. This suggests the possibility of incorporating cold-resistance genes into indigenous cyanobacterial strains for the consistent production of algae-based biofuel during the low-temperature seasons. Therefore, it is needed to determine the cold-tolerance mechanisms in the Arctic cyanobacterium in the next research stage.

저온처리에 따른 국내 상록활엽수종의 내한성 비교 평가 (The Comparative Assessment of Cold Tolerance of Broad-leaved Evergreen Trees by Low Temperature Treatment)

  • 진언주;윤준혁;배은지;최명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8권4호
    • /
    • pp.484-492
    • /
    • 2019
  •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대응하여 광범위한 지역에서 가로수 식재에 활용 가능한 상록활엽수를 선발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서 국내 남부지역에서 생육하는 굴거리나무, 녹나무, 동백나무, 다정큼나무, 종가시나무, 후박나무, 황칠나무 등 7수종에 대하여 내한성을 비교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저온처리에 따른 7종 상록활엽수의 전해질 용출을 측정한 결과 처리 온도가 낮아질수록 값이 증가하였고, 전해질 용출량과 처리 온도와의 관계를 비선형회귀를 통하여 분석한 결과 도출된 함수들은 S자 반응곡선의 형태로 나타났다. 예측치사 온도를 통하여 수종별 내한성을 분석한 결과 동백나무(-11.586℃)> 다정큼나무(-9.348℃)> 종가시나무(-8.719℃)> 후박나무(-8.090℃)> 굴거리나무(-7.409℃)> 황칠나무(-7.085℃)> 녹나무(-6.995℃) 순으로 조사되었다. 앞서 평가한 것처럼 국내 남부지역의 동일한 지역에서 생육하는 7종 상록활엽수들 중에서도 상대적 내한성 차이가 5℃ 이상을 나타냈고 동일한 과에 속하는 종간에서도 녹나무과는 내한성 차이가 2℃ 이상을 나타냈다. 내한성이 강한 우수 수종을 분석한 결과 종가시나무, 동백나무, 다정큼나무이며 이들은 중부지역 도시들에서 외부 온도 조건으로 생존 가능성을 평가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