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w-fertility household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13초

저출산 가계와 출산계획 있는 가계의 경제구조 비교 분석 (The Differences in Household Economic Structure between Low-Fertility and Birth-Planned Households)

  • 차경욱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3권2호
    • /
    • pp.137-148
    • /
    • 2005
  • This study compared one-child households' economic structures between those who determined not to have more children and those who have a birth plan. This study examined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economic variables such as income, consumption expenditures, assets. debt, and a subjective evaluation of future economic status. Especially, it compared the effects of socioeconomic variables on expenditures on a child between low-fertility and birth-planned households. From a questionnaire completed by a husband or wife of one-child households, 154 low-fertility households and 201 birth-planned households were obtained. A t-test, chi-square tes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a dummy variable interaction technique were us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low-fertility households were older, had higher income, and had more educated, employed wives. Their marital duration was longer, and their child was older than those of birth-planned households. Second, low-fertility households had higher consumption expenditures than did birth-planned households. Especially, expenditures of apparel and shoes, health care, education, and entertainment were significantly higher for low-fertility households. Also, low-fertility households spent more than did birth-planned households on a child. However, low-fertility households had significantly more debt than did their counterparts, and their expectation level of future economic status were lower than that of birth-planned households. Third, the effects of socioeconomic variables on expenditures on a child were different between low-fertility and birth-planned households. Age, education level, husband's occupation, wife's employment status, income, net asset, and subjective evaluation of future economic statu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come elasticity of expenditure on a child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low-fertility households than their counterparts.

직무긴장, 삶의 만족도, 그리고 가사노동 분배가 OECD 국가들의 출산율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Job Strain, Life Satisfaction, and the Division of Household Labor on Fertility Rates across OECD Countries)

  • 전승봉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251-261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OECD 국가들 간 출산율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해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출산율과 관련된 기존 연구들은 대체로 저출산에 대한 국가의 정책적 대응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직무긴장이라는 요인, 일-가정 갈등을 중심으로 직무긴장과 연관된 수 있는 삶의 만족도, 그리고 가정 내에서 가사노동의 균등한 분배와 출산율 간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OECD에서 제시한 자료를 바탕으로 퍼지셋 질적비교분석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낮은 수준의 직무긴장, 높은 수준의 삶의 만족도, 가사노동의 균등한 분배 및 높은 수준의 GDP를 특징으로 하는 국가들이 대체로 높은 수준의 출산율을 보인다. 둘째, 직무긴장과 삶의 만족도, 그리고 가사노동의 측면에서 좋은 수치를 보이는 경우 GDP가 높은 수준의 출산율과 반드시 연결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출산율 제고를 위해서 일-가정 양립 및 가사노동의 균등한 분배를 가능하게 하는 노동환경 및 조직문화가 필요하고 이를 통해 삶의 만족도를 증진시키는 과정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한국의 가임여성이 저출산에 미치는 영향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Fertile Women on the Low Fertility in Korea)

  • 공명숙
    • 산업융합연구
    • /
    • 제13권1호
    • /
    • pp.25-40
    • /
    • 2015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 study on the effects of fertile women on the low fertility in Korea. It is designed to research a model and established hypothesis with emphasis on major variables based on theoretical discussions. However,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ly, this brought in delivery avoid phenomenon thus resulting in lower delivery phenomenon. The government should propose reasonable solutions to persuade female personal value and important elements of delivery rate at the same time. Secondly, Patriarchal stereotypes weighting household labor to female traditionally pressures working female with double burden as dual stance of work and family worsen the delivery will. Such atmosphere within a family generates female with an ability to get pregnancy to avoid marriage and delivery. Lastly, the research has pointed out the delivery support policy as most ineffective policy among government policies. To solve this problem, the government policy to recover delivery rate must be reviewed continuously and to be exercised immediately.

  • PDF

가구구조 변화가 서비스 수요에 미치는 효과 분석 (The Effects of Changes in Household Structure on Service Consumption in Korea)

  • 황수경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33권3호
    • /
    • pp.57-85
    • /
    • 2011
  • 본 연구는 저출산 고령화의 진전과 여성 경제활동참여 증대 등에 따른 가구구조 변화가 가계생산에 영향을 주어 서비스 수요를 변화시키는 효과를 분석한다. 특히 기존에 가계생산에 의존하던 가사노동 및 돌봄서비스 등을 시장서비스로 대체하는 과정에서 추가적인 서비스 수요가 발생할 수 있음을 이론적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우선 3부문 시간배분모형을 통해 가계생산의 시장화가 서비스산업의 확장을 가져오는 메커니즘을 이론적으로 탐색하였다. 다음으로, 우리나라 가구구조 변화가 각 소비항목별 수요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QUAIDS 수요분석모형에 따른 엥겔곡선을 추정하였다. 분석자료로는 "가계동향조사"를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단신가구의 증가, 유배우가구의 감소, 6세 미만 자녀 가구의 감소와 같은 가구 구성의 변화, 그리고 맞벌이가구의 증가 등은 의료비, 교육훈련비, 가사서비스 등 전형적으로 가계생산서비스를 대체하는 시장서비스에 대한 수요를 증가시키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저출산가계의 재무구조분석 (A study on the financial structure of low-fertility household)

  • 박진영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679-692
    • /
    • 2008
  •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analyze one-child households' financial structure. The data from 1022 more than two children households and 236 one-child households were taken from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2004). This study compared demographic, socioeconomic and marital characteristics between one-child households and more than two children households. A chi-square test,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One-child households were different from more than two children households in demographic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nd financial structure. In one-child households, the variable that significantly influenced on consumption expenditures was monthly income and the variables that significantly influenced on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s were householder's age, home-ownership, monthly income.

연관규칙을 이용한 가구별 소비 트렌드의 상관분석 (Correlation Analysis According to Consumption Trend using Association Rule)

  • 최정아;정용규
    • 서비스연구
    • /
    • 제5권1호
    • /
    • pp.105-111
    • /
    • 2015
  • 올해 초 통계청에서 발표한 '한국 사회동향 2012' 보고서에 따르면, 2010년을 기준으로 한국의 1인 가구가 전체 가구 중 23.9%로 4인 가구의 22.5%를 앞지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2011년까지 가장 많던 2인 가구를 제쳤다. 금융업계와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1인 가구는 25.3%로 총 453만 9,000가구 이상으로 추정된다. 즉 우리나라의 네 가구 중 한 가구는 1인 가구인 셈이다. 더 나아가 통계청의 '2010~2035년 장래 가구 추계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2035년 1인 가구가 세 가구 중 한 가구로 해당되는 상황인 34.3%까지 증가할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1인 가구의 증가원인은 혼인율 감소, 이혼율 증가, 저 출산, 고령층의 증가 등으로 간추려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서도 1인 가구는 증가 추세이다. 2011년 기준으로 1인 가구는 2억 4200만 가구로 그 비율이 13%에 달했고 중국과 미국의 1인 가구 비율은 30%에 달하며 스웨덴, 노르웨이, 필리핀, 덴마크는 전체 가구의 약 40% 수준까지 이른다. 현재까지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에 미치지 못하고 있지만, 매우 빠른 속도로 상승하는 것으로 볼 때 이를 뛰어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정부에서는 1인 가구 급증을 주시하며 대책 마련에 힘쓰고 있다. 이런 내용을 통계수치로 나타낸 자료를 통해 1인 가구의 특징을 알아낼 수 있다. 또한 상관분석을 이용하여 1인 가구와 소비트렌드 사이간의 연관성을 파악할 수 있으며 미래의 소득수준에 따른 1인 가구의 증가율을 예측할 수 있다.

자녀출산 및 사교육비의 가구소득과의 관계분석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birth, Private Education Spending and Household Income)

  • 송헌재;신우리
    • 노동경제논집
    • /
    • 제40권4호
    • /
    • pp.33-59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Becker의 자녀 수요에 대한 경제 모형을 설명하고, 우리나라 가구의 자녀수 와 사교육비 지출행태가 이 모형에 의해 설명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재정패널 자료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가구소득은 자녀수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으나 자녀 1인당 사교육비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우리나라의 저출산 현상이 가구소득이 증가하면서 자녀 질에 대한 부모의 수요가 증가한 것일 가능성을 제기할 수 있다. 가구소득뿐만 아니라 부모의 학력과 자녀의 연령이 높을수록 자녀 1인당 사교육비 지출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음을 보이고 있어 부모와 자녀 사이에 교육 투자를 통한 학력과 부의 대물림 현상이 나타날 수 있음을 보인다.

  • PDF

독신의 선택과 노후준비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Study on the Single Life, the Preparation for Old Age and Policy Implication)

  • 양정선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6권1호
    • /
    • pp.123-148
    • /
    • 2012
  •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people prepare for old age by looking at financial statements from single-person households in Gyeonggi province; the policy implications regarding low fertility and population aging are considered. The subjects were members of 600 households who were aged 26 to 44 years old and not married.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OVA, and dichotomous logistic regression using SPSS WIN 12.0. Respondents pointed out that financial problems are the greatest challenges for those facing old age in single-person households; they said that a stable job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secure living. About 57% of household residents responded that they have prepared for retirement, and a majority of them said they hoped to spend their elderly years with a marriage partner. The financial statements from single-person households were inferior to those from other types of households. The assets of single-person household members were less than those of other households. Only 10.5% of respondents have owned homes. The study discusses policy implications for those who want marriage and for those who don't want it. For those who want marriage, job-seeking support was proposed, and for the others, tax deductions and family programs for single-person households were proposed.

  • PDF

둘째 자녀 출산 희망에 대한 배우자간 차이와 이에 따른 집단간 특성 분석 (The Characteristics of Couples by Their Desires for a Second Child)

  • 천혜정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3권3호
    • /
    • pp.25-33
    • /
    • 2005
  • This study examine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married couples and their desire for a second child.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by 355 married men and women who have only one child currently. The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by their desire, or a lack thereof, for a second child. Group I consisted of married people who wanted to have another child, and whose spouse wanted the same. Members of Group II were in a marriage where only the wife wanted to have another child. Members of Group III were in a marriage where only the husband wanted a second child. Group IV consisted of participants who did not want another child, and whose spouse agreed with thor The research questions were (1) how different those four groups are in terms of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2) what are the reasons to stop having children and to have another child, and (3) what are the perceptions of the current low fertility rate in Korea, and the policies designed to increase birth rata The results indicate that wife' age, husband's educational level, expectant level of household economy, age at marriage, marriage duration and the time length between marriage and birth of the first child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four groups. The reasons to stop having children were expected constraint of privacy and time, physical and psychological burden and economic pressure. The most pronounced reason for wanting another child was the desire to give their first child a sibling. Group III had more serious disagreement about having another child than did Group II.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four groups in the perceptions of possible consequences of the low birth rate. These perceptions included: undermined competitiveness of the nation and weakened family ties.

중국 조선족의 저출산력 - 한족과의 비교 (Low Fertility of Koreans in China: A Comparison to Hans)

  • 김두섭
    • 한국인구학
    • /
    • 제19권1호
    • /
    • pp.45-72
    • /
    • 1996
  • 이 논문은 중국내 조선족의 출산력 수준을 한족과 비교하고, 이에 관련되는 주요 결정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조선족이 19세기 중엽부터 중국의 동북지방으로 이주하게 된 역사와 배경을 기술하고, 지난 반세기 동안 조선족인구의 성장과정과 분포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조선족의 출산력을 분석하기 위해서 1990년 중국인구센서스의 자료 중에서 길림성과 연변 조선족자치주의 표본자료를 활용하였다. 중국내 조선족인구는 다른 민족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령화된 연령구조를 지니고 있으며, 교육수준이 뚜렷하게 높다는 특징을 지닌다. 출산력 수준은 한족이나 다른 소수민보다 현저하게 낮은 경향을 보이며, 이러한 경향은 조선족이 밀집되어 거주하는 지역일수록 강하게 나타난다. 조선족의 저출산력은 개인이나 가구의 인구학적 및 사회경제적 특성이 미치는 영향력을 배제하더라도 그대로 유의하게 유지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이 연구의 분석결과는 지난 1980년대 후반 이래 중국에서 남아선호관으로 인하여 출생시의 성비가 높아지는 추세임에도 불구하고, 조선족의 경우에는 출생시의 성비불균형현상이 그다지 심각하지 않다는 것을 확인해 준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에서는 한족이나 다른 민족보다 오히려 높은 수준을 나타내는 조선족의 자녀사망력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졌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