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op length

검색결과 309건 처리시간 0.029초

Queue Management using Optimal Margin method to Improve Bottleneck Link Performance

  • Radwa, Amr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1475-1482
    • /
    • 2015
  • In network routers, buffers are used to resolve congestion and reduce packet loss rate whenever congestion occurs at bottleneck link. Most of the existing methods to manage such buffers focus only on queue-length-based control as one loop which have some issues of low link utilization and system stability.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framework which exploits two-loop control method, e.g. queue-length and congestion window size, combined with optimal margin method to facilitate parameter choices. Simulation results in ns-2 demonstrate that bottleneck link performance can be improved with higher link utilization (85%) and shorter queue length (22%) than the current deployed scheme in commercial routers (RED and DropTail).

느티만가닥버섯의 ITS (internal transcribed spacer) 영역의 2차구조 분석 (Secondary Structure of the Ribosomal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egion of Hypsizygus marmoreus)

  • 우주리;윤혁준;유영현;이창윤;공원식;김종국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10호
    • /
    • pp.1260-1266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H. marmoreus 3-10균주와 H. marmoreus 1-1균주의 ribosomal DNA (rDNA) cluster의 분석이 수행되었다. Small subunit (SSU)와 intergenic spacer 2 (IGS 2)는 부분적으로 염기서열이 결정되었고, internal transcribed spacer 1 (ITS 1), 5.8S, internal transcribed spacer 2 (ITS 2), large subunit (LSU), intergenic spacer 1 (IGS 1), 5S는 완전하게 염기서열이 결정 되었다. 팽이버섯 H. marmoreus 3-10균주와 H. marmoreus 1-1균주의 rDNA cluster는 총 7,049 bp로 결정되었다. SSU은 1,796 bp, ITS1은 229 bp, 5.8S은 153 bp, ITS2는 223 bp, LSU은 3,348 bp, IGS1은 390 bp, IGS2은 900 bp로 염기서열이 분석되었다. 결정된 rDNA cluster의 총 7,049 bp 중에서 17 bp가 다름이 확인되었고, 각각 SSU (2 bp), ITS (3 bp), LSU (9 bp), IGS (3 bp)에서 차이를 확인하였다. ITS regions의 2차 구조 결과 5개의 stem-loop가 있음이 드러났다. 흥미롭게도, 이들 stem-loop 사이에서 stem-loop V에서 한 개의 상이한 염기가 다른 2차 구조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점유율을 이용한 대기행렬길이 추정 알고리즘 개발 (The Development of Traffic Queue Length Estimation Algorithm Using the Occupancy Rates)

  • 강지훈;오영태;강증식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4권2호
    • /
    • pp.13-22
    • /
    • 2005
  • 본 연구는 대기행렬길이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현재 서울시 실시간 신호제어시스템(COSMOS)에서 적용되는 대기행렬산출 알고리즘은 평균차량길이와 점유시간을 이용하여 속도를 산출하고 이를 다시 밀도 개념의 정체도로 환산하여 대기행렬길이를 구하고 있다. 평균차량길이에 의한 속도산출로 인하여 오차가 발생되고, 운영자가 지정해 주어야하는 값이 산재되어 그 값을 최적화하기가 어려워 정확한 대기행렬길이를 구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지선으로부터의 거리와 대기검지기에서부터 수집되는 점유율 간의 관계를 밝혀, 이를 대기행렬길이 산출 알고리즘에 적용하였다. 대기행렬길이 추정 알고리즘을 사용할 경우 루프 검지기에서 많은 가공단계가 필요하지 않은 기본 데이터인 점유율을 이용하여 대기행렬길이를 예측할 수 있다고 할 수가 있다. 그리고 운영자 지정값이 없어 현장 적용에 있어서 그 값에 대한 최적화 작업이 필요가 없어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개발된 대기행렬길이 추정알고리즘을 COSMOS시스템이 운영중인 사이트(Site)에 적용할 결과 현재 사용 중인 대기행렬길이 추정 알고리즘 보다 우수한 것을 확인 할 수가 있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개발된 대기행렬길이 추정 알고리즘을 일반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현장 및 경우에 대하여 적용하여 검증을 하여야 할 것이다. 이에 관련한 연구가 향후 진행될 경우 현재 대기행렬길이 추정 알고리즘 보다 적용이 쉽고, 정확한 값을 얻는 알고리즘으로 완성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LS Band용 원형 루프 배열 안테나의 제작 및 측정 (Development of Circular Loop Array Antenna for LS Band Operation)

  • 전중창;김태수
    • 한국전자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자파학회 2002년도 종합학술발표회 논문집 Vol.12 No.1
    • /
    • pp.290-292
    • /
    • 2002
  • In this paper, we present a simple design method and measurement results for circular loop antenna arrays, which can be used for LS band operation, such as access point antennas in the wireless LAN system. It has been shown that the input impedance of a circular loop can be adjusted near 100 $\Omega$ using a short stub. The length of the stub can be immediately determined in the work place through the measurement of S11 with a network analyzer. Fabricated arrays show high antenna gains as much as 12.4㏈i and 15.1 ㏈i at the center frequency of 2.45 ㎓ for 4${\times}$l and 4${\times}$2 array, respectively. These types of loop arrays can be fabricated at a low cost.

  • PDF

비선형 와류격자법을 이용한 낮은 종횡비 날개의 공력특성 계산 (Calculation of Low Aspect Ratio Wing Aerodynamics by Using Nonlinear Vortex Lattice Method)

  • 이태승;박승오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6권11호
    • /
    • pp.1039-1048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비선형 와류격자법 계산 과정이 제안된다. 기존의 계산 과정은 자유와의 형태 계산을 위해 내부 반복계산 및 하향이완법을 포함한다. 하지만 본 논문에서는 유사 정상 개념에 기초한 새로운 수식을 제안하여 자유와의 형태를 계산함으로써, 계산 과정에서 내부 반복계산 및 하향이완법을 생략한다. 또한 반복계산이 진행됨에 따라 각 분절에 유도되는 유속도를 적절히 평균해 줌으로써 알고리듬의 수치적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그리고 낮은 종횡비 날개에 대한 수치실험을 수행하여 분절의 길이, 와류중심반경, 후류영역 계산범위 등과 같은 중요 인자들의 적절한 기준을 경험적으로 결정한다.

고속도로 루프검지기를 이용한 차종분류 기법 평가 (Evaluation of Technical Feasibility for Vehicle Classification Using Inductive Loop Detectors on Freeways)

  • 박준형;김태진;오철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9-21
    • /
    • 2009
  • 첨단교통체계(ITS: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는 효과적인 교통제어 및 안전증진을 추구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와 사업이 진행 중이다. 이를 위하여 실시간으로 교통상황을 제어하는데 필요한 신뢰성 있는 교통정보를 얻기 위해 가장 많이 설치되어 있는 루프검지기를 통하여 기본적으로 교통량, 속도, 점유율 등의 자료를 수집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 가장 보편적으로 설치된 루프검지기에서 추출한 차량자기신호곡선(IVS: Inductive Vehicle Signature) 자료를 이용하여 차량길이 및 속도 등을 산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차종을 구분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세가지 Case(소형-대형, 소형-중형-대형, 소형-중형-대형-특대형)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Case에서 전체차량을 각 Class로 분류하는 기준이 되는 차량길이 기준값을 산출하였다. 일반적인 도로구간에서의 적용을 위해 시 공간적 이식성 Test를 하여 분석대상구간 외의 다른 구간에서 차량길이 기준값의 적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차종구분을 통해 세부적인 교통량 정보를 수집하고 도로를 통과하는 차량들의 차종구성을 파악하여 교통운영 및 전략수립 시에 활용자료로 이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운동매질내에서의 Circular Loop Antenna의 개체특성 (Radiation characteristics of A Circular Loop antenna In Moving Media)

  • 최병하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12-18
    • /
    • 1970
  • 본 논문에서는 광속에 비해서 대단히 낮은 속도로 운동하고 있는 선형, 등방, 균질 매질내에서 크기가 파장과 동등정도이거나 그 이상인 Circular Loop Antenna의 방사특성을 고찰하였다. 고찰에 있어서 우선 운동매질내에서의 전자파방정식인 Maxwell-Minkowski방정식을 토대로 하여 Circular loop antenna에 해당하는 Vector potential을 유도하고 전자계식을 구하였다. 다음 이와같이 유도된 식들로부터 특정한 파장과 속도에 대한 전자계를 계산하고 field pattern을 도시하였으며 이 pattern과 정지매질에서의 field pattern을 비교 검토하였다. 검토한 결과, 지향성은 loop면에 평행한 속도성분에 한하여 속도방향으로는 축소되고 속도와 반대방향으로는 신장되는 사실이 발견되었으며 이 경향은 속도가 클수록 동진주파수가 높을수톡 크게됨을 알수 있었다.

  • PDF

실시간 교통신호제어를 위한 루프 검지기 체계 연구 (A Study on the Loop Detector System for Real-Time Traffic Adaptive Signal Control)

  • 이승환;이철기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59-88
    • /
    • 1996
  • 본 연구는 신호교차로에서으 교통변화에 따른 교통상태를 실 시간으로 정확히 판별해 내기 위한 루프 검지기의 적정 형태 및 위치를 결정하였다. 교차로 정시선의 직진용 루프검지기의 적정 형태는 점유와 비점유시간의 신뢰도로서 결정하였으며, 도시간선도로상의 실시간 교통신호제어의 적용에 가장 적합한 루프는 특수형 루프가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결정된 특수형(7,8번) 및 기존검지기(1번)의 형태와 권선방식은 <그림6.1>에 제시하였다. 직진용 루프의 적정 위치는 정지선 부근에서의 차량의 이용특성상 정지선으로부터 50Cm이내에 설치하는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되며, 좌회전용 루프의 적정 위치는 정지선 부근의 좌회전 차선 이용행탱로서 결정되며, 루프 한개를 설치할 경우에는 정지선으로부터 20Cm이내에 설치하는것이 바람직하다. 상류부 루프의 적정형태는 특수형 루프(1.8${\times}$4.0m:1,7번)와 기존시스템에서 사용하고 있는 루프(1.8${\times}$1.8m:1번)가 검지기준에 따라 모두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대기행렬 검지기 및 앞막힘(Spillback) 예방 검지기의 위치는 링크길이,횡단보도여부,대기행렬 예측범위 등을 고려하여 각 검지기의 위치가 결정되었으며 또한 링크길이 250m이하인 경우는 대기행렬을 관리(Queue Management)하는 측명에서 검지기위치가 고려되어야 한다.

  • PDF

원전 배관 루프시스템의 냉각 위상잠금 적외선열화상을 이용한 결함 검출에 관한 연구 (A Study about Detection of Defects in the Nuclear Piping Loop System Using Cooling Lock-in Infrared Thermography)

  • 김상채;강성훈;윤나연;정현철;김경석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321-331
    • /
    • 2015
  • 냉각 위상잠금 적외선열화상 기법을 이용하여 원전 배관 루프시스템의 가열결함 검출의 선행연구를 통하여 냉각결함 검출조건의 적용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배관의 결함가공은 감육 길이, 감육 깊이를 변화시켜 결함조건을 가공하여 루프시스템을 제작하였다. 사용된 장비는 적외선열화상 카메라와 냉각장치를 사용하였으며 냉각장치와 대상 루프시스템과의 거리는 2m로 고정시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의 분석을 위하여 냉각온도 분포, 위상데이터를 확보하고, 이를 분석하여 결함 길이를 측정하였다. 냉각결함 검출조건은 적외선열화상 데이터보다 위상잠금 적외선열화상 데이터가 측정 결과의 신뢰도가 높았다.

루프이음을 가진 모듈식 슬래브 연결부의 휨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Flexural Performance of Modular Slab Connections with Loop Joints)

  • 김동완;신정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459-467
    • /
    • 2016
  • 최근, 도로를 따라 지하 5~7m의 저심도에 설치되는 저심도 도시철도시스템의 경제성을 확보하기 위해, 신개념의 모듈식 개착 시공법을 개발 중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부 슬래브간의 연결부에 대한 구조성능 검증을 위해 루프이음을 가진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부재들의 4점 재하 실험을 수행하였다. 전체 11개의 실험체가 제작되었으며 단면형상, 이음부 형상, 이음길이, 횡방향 보강철근을 변수로 이음이 없는 전단면 및 반단면 실험체와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루프이음 실험체는 항복하중과 최대하중시 변위량 차이가 컸으며 이는 항복이후 접합부에서 발생한 균열이 확장됨에 따라 강성저하로 변위량이 급격히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200mm의 루프이음을 가진 반단면 실험체의 경우, 이음이 없는 기준 실험체에 상당하는 휨성능을 확보하며 200mm 초과시 휨성능 향상의 정체기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