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Loop Detector System for Real-Time Traffic Adaptive Signal Control

실시간 교통신호제어를 위한 루프 검지기 체계 연구

  • Published : 1996.06.01

Abstract

This study has determined optimal type, and location of loop detector to measure accurately traffic condition influenced by traffic variation with real time. Optimal type of loop detector for through vehicle at stop bar was determined by confidences of occupancy period, and nonoccupancy period, and so appropriate detector type for application to real time traffic control system has been decided on special loop detector.

shows types and winding methods of existing detector (num1) and special detector (num 7,8) determined. It is desired that optimal location of through loop detector should be installed within 50cm of stop bar owing to vehicle behavior. And optimal location of loop detector for left turn vehicle is determined by left turn vehicle behavior on stop bar. In the case of install only one loop, it is desirable that within 20cm of stop bar. Both the special loop (1.8 × 4.0m : num 1.7) and existing loop (1.8 × 1.8m : num1) would be suitable. A location standard aspects, while regarding as economic, existing loop (1.8 × 1.8m : num1) would be suitable. A location of the queue detector and the spillback prevention detector considering the link length, the pedestran crossing is be or not and the estimation range of queue. And if the link length is shorter than 250m, locations of queue detector and spillback protect detector must be considered in the respect of queue management.

본 연구는 신호교차로에서으 교통변화에 따른 교통상태를 실 시간으로 정확히 판별해 내기 위한 루프 검지기의 적정 형태 및 위치를 결정하였다. 교차로 정시선의 직진용 루프검지기의 적정 형태는 점유와 비점유시간의 신뢰도로서 결정하였으며, 도시간선도로상의 실시간 교통신호제어의 적용에 가장 적합한 루프는 특수형 루프가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결정된 특수형(7,8번) 및 기존검지기(1번)의 형태와 권선방식은 <그림6.1>에 제시하였다. 직진용 루프의 적정 위치는 정지선 부근에서의 차량의 이용특성상 정지선으로부터 50Cm이내에 설치하는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되며, 좌회전용 루프의 적정 위치는 정지선 부근의 좌회전 차선 이용행탱로서 결정되며, 루프 한개를 설치할 경우에는 정지선으로부터 20Cm이내에 설치하는것이 바람직하다. 상류부 루프의 적정형태는 특수형 루프(1.8${\times}$4.0m:1,7번)와 기존시스템에서 사용하고 있는 루프(1.8${\times}$1.8m:1번)가 검지기준에 따라 모두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대기행렬 검지기 및 앞막힘(Spillback) 예방 검지기의 위치는 링크길이,횡단보도여부,대기행렬 예측범위 등을 고려하여 각 검지기의 위치가 결정되었으며 또한 링크길이 250m이하인 경우는 대기행렬을 관리(Queue Management)하는 측명에서 검지기위치가 고려되어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교통신호제어시스템 연구용역시행 1차년도 결과보고서 서울시 지방경찰청
  2. 서울특별시 교통신호제어시스템개발 연구용역시행, 2차년도 결과보고서 서울특별시 지방경찰청
  3. 서울특별시 교통신호 제어시스템개발 연구용역시행, 3차년도 결과보고서 서울특별시 지방경찰청
  4. 아주대학교 공학석사학위논문 감응식 루프 검지기를 이용한 루프특성 및 교통상태 판별에 관한 연구 조광연
  5. 아주대학교 공학 석사학위 논문 신호교차로에서의 대기행렬 파급도에 관한 연구 이성호
  6. 대한교통학회 발표논문 신호등 교차로에서의 지체예측에 관한 연구 이철기
  7. Traffic Detector Handbook(Second Edition) FHWA
  8. Traffic Detector Field Manual
  9. Traffic Control System Hand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