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ng rainfall

검색결과 558건 처리시간 0.029초

장기만연속수수량추정모형의 실용화 연구 -우리나라 중소유역을 대상으로- (A Generalized Model on the Estimation of the Long - term Run - off Volume - with Special Reference to small and Medium Sized Catchment Areas-)

  • 임병현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7-43
    • /
    • 1990
  • This study aimed at developing a generalized model on the estimation of the long - term run - off volume for practical purpose. During the research period of last 3 years( 1986-1988), 3 types of estimation model on the long - term run - off volume(Effective rainfall model, unit hydrograph model and barne's model for dry season) had been developed by the author. In this study, through regressional analysis between determinant factors (bi of effective rainfall model, ai of unit hydrograph model and Wi of barne's model) and catchment characteris- tics(catchment area, distance round the catchment area, massing degree coefficient, river - exte- nsion, river - slope, river - density, infiltration of Watershed) of 11 test case areas by multiple regressional method, a new methodology on the derivation of determinant factors from catchment characteristics in the watershed areas having no hydrological station was developed. Therefore, in the resulting step, estimation equations on run - off volume for practical purpose of which input facor is only rainfall were developed. In the next stage, the derived equations were applied on the Kang - and Namgye - river catchment areas for checking of their goodness. The test results were as follows ; 1. In Kang - river area, average relative estimation errors of 72 hydrographs and of continuous daily run - off volume for 245 days( 1/5/1982 - 31/12) were calculated as 6.09%, 9.58% respectively. 2. In Namgye - river area, average relative estimation errors of 65 hydrographs and of conti- nuous daily run - off volume for 2fl days(5/4/1980-31/12) were 5.68%, 10.5% respectively. In both cases, relative estimation error was averaged as 7.96%, and so, the methodology in this study might be hetter organized than Kaziyama's formula when comparing with the relative error of the latter, 24~54%. However, two case studies cannot be the base materials enough for the full generalization of the model. So, in the future studies, many test case studies of this model should he carries out in the various catchment areas for making its generalization.

  • PDF

CAT을 이용한 저수지 수위 예측 (Prediction of Reservoir Water Level using CAT)

  • 장철희;김현준;김진택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4권1호
    • /
    • pp.27-38
    • /
    • 2012
  •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hydrological behavior of agricultural reservoir using CAT (Catchment hydrologic cycle Assessment Tool). The CAT is a water cycle analysis model in order to quantitatively asses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hort/long-term changes in watershed. It supports the effective design of water cycle improvement facilities by supplementing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existing conceptual parameter-based lumped hydrologic models and physical parameter-based distributed hydrologic models. The CAT especially supports the analysis of runoff processes in paddy fields and reservoirs. To evaluate the impact of agricultural reservoir operation and irrigation water supply on long-term rainfall-runoff process, the CAT was applied to Idong experimental catchment, operated for research on the rural catchment characteristics and accumulated long term data by hydrological observation equipments since 2000. From the results of the main control points, Idong, Yongdeok and Misan reservoirs, the daily water levels of those points are consistent well with observed water levels, and the Nash-Sutcliffe model efficiencies were 0.32~0.89 (2001~2007) and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0.73~0.98.

레이더 강수량과 PRMS 모형을 이용한 유출량 평가 (Runoff assessment using radar rainfall and precipitation runoff modeling system model)

  • 김태정;김성훈;이성호;김창성;권현한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3권7호
    • /
    • pp.493-505
    • /
    • 2020
  • 현재 유역단위 수문해석을 목적으로 장기간 자료 확보가 용이하고 신뢰도가 확보된 지상관측소 강수량 자료를 강우-유출 모형을 활용하여 유출량을 평가하고 있다. 지상관측소 강수량 자료를 이용하여 면적평균 강수량을 산정하는데 있어 일반적으로 지상관측소의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Thiessen 다각형법을 널리 이용하고 있으나 지상관측소의 공간적 편중으로 인해 면적평균 강수량 산정과정에서 제약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공간적으로 연속적인 강수량 관측이 가능한 기상레이더 자료를 이용하여 유역단위 면적평균 강수량을 산정하고 이를 PRMS 모형의 입력 자료로 활용하여 유출량을 평가하였다. 세부적으로 레이더 강수량의 편의 오차를 해결하기 위하여 G/R Ratio 기법을 적용하여 유역별로 레이더 강수량을 보정하였다. 레이더 강수량을 이용한 유출특성은 Thiessen 면적강수량을 이용한 유출의 통계적 특성을 현실적으로 재현하였다. 지상 관측소에 의존하여 생산하는 Thiessen 면적강수량에 비하여 레이더 강수량을 활용하는 것이 유역에 발생하는 강수의 공간적 특성을 효과적으로 반영하는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수문해석에서 정확도를 확보한 유출량을 제시할 것으로 판단된다.

서울지점 강우자료에 나타난 도시화의 간섭 분석 (Intervention Analysis of Urbanization Effect on Rainfall Data at the Seoul Rain Gauge Station)

  • 유철상;김대하;박상형;김병수;박창열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0권8호
    • /
    • pp.629-641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최대 도시인 서울지점에서의 도시화의 영향을 강우자료의 분석을 통해 파악하였다. 서울지점 강우의 도시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관측길이가 길고 도시화의 정도가 상대적으로 덜한 전주지점과 관측 기록의 길이는 짧으나 서울 인근지점으로 도시화의 영향이 매우 적을 것으로 판단되는 이천지점의 강우자료를 비교 대상으로 이용하였다. 또한 도시화의 영향에 해당하는 서울지점과 전주지점의 강우량 차이를 간섭모형을 이용하여 정량화 하였다. 그 결과, 연최대치 호우사상의 최대강우강도는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며, 총지속시간의 경우는 전체기간에 대해 감소하는 경향이고, 특히 1960년 이후에는 그 평균이 과거보다 현저히 감소하는 추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간섭분석을 통해 1960년 이후의 도시화가 강우에 미친 영향을 정량화한 결과 도시화에 의한 강우강도 및 강우량의 증가 양상이 지속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인공함양시설 설치에 따른 유출특성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Variation of Runoff Characteristics Depending upon Installation of the Groundwater Recharge Facilities)

  • 최계운;김영규;정기일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4권4호
    • /
    • pp.27-34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인공함양법을 적용한 유역에서의 유출특성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유역을 설정하고 각각의 유역에 대하여 실제강우 실험과 강우모의 실험을 실시를 통하여 유출-침투특성을 분석하였다. 실강 우시 유출-침투특성 분석을 위해 2004년 7월 11일${\sim}$7월 17일 사이에 내린 4개의 강우사상에 대하여 분석을 실시한 결과 인공함양유역에서 유출이 발생하는 경우의 유출율 평균은 약 10.61%, 침투율 평균은 89.39%로 파악되어 유출되는 유량의 대부분이 인공함양법 적용에 의해서 침투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강우모의 실험에서는 강우강도의 변화와 상관없이 1시간의 지속시간을 가지는 60mm/hr ${\sim}$ 100mm/hr 구간에서 유출되는 유량 없이 전량이 침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인공함양시설을 설치한 경우라도 장기간 강우 발생시 주위의 지하수 변화에 의해서 유출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변의 지하수위에 대한 지속적인 관찰이 요망된다.

분 단위 강우자료의 품질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Quality Control Method for Minutely Rainfall Data)

  • 김민석;문영일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5권2호
    • /
    • pp.319-326
    • /
    • 2015
  • 수자원 설계 및 홍수 예 경보 등을 위한 수문분석 시, 강우자료는 필수요소이다. 현재 수문분석 시 비교적 장기간의 자료를 보유하고 있는 기상청, 국토교통부 등의 지상기상관측지점(SSS, Surface Synoptic Stations)에 시 강우자료를 이용하고 있으나, 집중호우가 빈번히 발생하는 현실정과 집중호우의 발생빈도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향후에는 더욱 조밀한 관측망을 구성하고 있는 방재기상관측지점(AWS, Automatic Weather Stations)의 분 단위 강우자료를 이용한 분석이 필요하다. 그러나 방재기상관측지점의 분 단위 강우자료는 자동으로 관측되고 있어, 자료품질에 대한 문제점이 매번 지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기상청 방재기상관측지점의 분 단위 강우자료의 품질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분 단위 강우자료의 품질관리방안은 크게 3단계로 결측치 품질관리, 이상치 품질관리 그리고 강우 보완 품질관리로 구분하여 품질관리 방안을 제시하고 분석을 수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서울지점의 분 단위 강우자료와 시 단위 강우자료의 비교분석을 통해 강우 품질관리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는 향후 분 단위 강우자료를 이용한 수문분석 시, 강우자료 품질관리 방안으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한반도에 내습한 태풍의 확률강우 및 풍속의 시공적 분포 특성 (Time and Spatial Distribution of Probabilistic Typhoon Storms and Winds in Korean Peninsula)

  • 윤경덕;서승덕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122-134
    • /
    • 1994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with the hydrometeological and probabilistic characteristics of the storms and winds of typhoons that have been passed through the Korea peninsula during the last twenty-three years since 1961. The paths and intensities of the typhoons were analyzed. Fifty weather stations were selected and the rainfall and wind data during typhoon periods were collected. Rainfall data were analyzed for the patterns and probabilistic distributions. The results were presented to describe the areal distributions of probabilistic characteristics. Wind data were also analysed for their probabilistic distribution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ost frequent typhoon path that have passed through the Korean peninsula was type E, which was followed by types CWE, W, WE, and S. The most frequent typhoon intensity was type B, that was followed by A, super A, and C types, respectively. 2. The third quartile typhoon rainfall patterns appear most frequently followed by the second, first, and quartiles, respectively, in Seoul, Pusan, Taegu, Kwangju and Taejon. The single typhoon rainfalls with long rainfall durations tended to show delayed type rainfall patterns predominantly compared to the single rainfalls with short rainfall durations. 3. The most frequent probabilistic distribution for typhoon rainfall event is Pearson type-III, followed by Two-parameter lognormal distribution, and Type-I extremal distribution. 4. The most frequent probability distribution model of seashore location was Pearson type-III distribution. The most frequent probability distribution model of inland location was two parameter lognormal distribution. 5. The most frequent probabilistic distribution for typhoon wind events was Type-I xtremal distribution, followed by Two-parameter lognormal distribution, and Normal distribution.

  • PDF

진부지역 토석류발생 사면에 대한 침투 및 사면안정 연계해석 (Seepage and Slope Stability Analysis on the Site of Debris-flow at Jinbu Area)

  • 전경재;윤찬영;서흥석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9년도 세계 도시지반공학 심포지엄
    • /
    • pp.369-376
    • /
    • 2009
  • Field investigation was performed right after the occurrence of debris flow at Jinbu area. Geomorphic and geotechnical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and rain fall data were collected. Based on these data, seepage and slope stability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behavior of ground water and factor of safety of the slope according to the rainfall intensity and time. As a results, the minimum value of factor of safety achieved in long time after the moment of maximum precipitation rate. And it is confirmed that the factor of safety is susceptible to ground water level rather than rainfall intensity.

  • PDF

스케일 성질을 이용한 확률강우량의 추정 (Rainfall Quantile Estimation Using Scaling Property in Korea)

  • 정영훈;김수영;김태순;허준행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1권9호
    • /
    • pp.873-884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지속기간을 가지는 강우자료간의 스케일 성질을 이용하여 확률강우량을 추정하는 방법을 알아보고, 국내 강우자료에 대해서 그 적용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기상청 지점중에서 기록기간이 비교적 장기간인 22개 지점에 대해서 지점빈도해석을 통한 확률강우량과 스케일 성질을 활용한 확률강우량간의 정확도를 비교해 본 결과, 시간단위자료를 사용할 경우 대부분 절대상대오차가 10 % 미만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고, 각각의 지속 기간별로 적용가능한 재현기간을 살펴본 결과 연구에 사용된 총 14개의 재현기간 중에서 대부분 8개 이상의 재현기간에 대해서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적용예로서 대구지점의 지속기간 1시간 강우자료를 바탕으로 지속기간 10분${\sim}$50분까지의 확률강우량자료를 스케일 성질을 이용하여 산정한 결과 지속기간 10분을 제외하고는 모두 절대상대오차 10 % 내외의 정확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스케일 성질을 이용하여 미계측 강우지속기간의 확률강우량을 추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nalysis of Temporal Change in Soil Erosion Potential at Haean-myeon Watershed Due to Climate Change

  • Lee, Wondae;Jang, Chunhwa;Kum, Donghyuk;Jung, Younghun;Kang, Hyunwoo;Yang, Jae E.;Lim, Kyoung Jae;Park, Youn Shik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71-79
    • /
    • 2014
  • Climate change has been social and environmental issues, it typically indicates the trend changes of not only temperature but also rainfall. There is a need to consider climate changes in a long-term soil erosion estimation since soil loss in a watershed can be varied by the changes of rainfall intensity and frequency of torrential rainfall. The impacts of rainfall trend changes on soil loss, one of climate changes, were estimated using Sediment Assessment Tool for Effective Erosion Control (SATEEC) employing L module with current climate scenario and future climate scenario collected from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 62 $km^2$ watershed was selected to explore the climate changes on soil loss. SATEEC provided an increasing trend of soil loss with the climate change scenarios, which were 182 ton/ha/year in 2010s, 169 ton/ha/year in 2020s, 192 ton/ha/year in 2030s,182 ton/ha/year in 2040s, and 218 ton/ha/year in 2050s. Moreover, it was found that approximately 90% of agricultural area in the watershed displayed the soil loss of 50 ton/ha/year which is exceeding the allow able soil loss regulation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