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ckdown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38초

COVID-19가 대전지역의 도시열섬강도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COVID-19 Lockdown on Urban Heat Island Intensity in the Daejeon Metropolitan City)

  • 강민수;김량현;여인호;윤준석;이근준;서명석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253-264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2019년에서 2021년까지, 매년 2월에서 5월 동안 대전광역시 6개 지점(기준지역 1곳 포함)의 기온 데이터를 바탕으로 COVID-19로 인한 인간 활동의 감소가 대전 지역의 도시열섬강도에 미친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관측 지점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도시열섬강도는 COVID-19 전인 2019년에 비해 2020년과 2021년에 약 20% 이상 감소되었다. 인간 활동 감소는 야간의 도시열섬을 증가시키고 주간의 도시열섬을 감소시켰다. 그 결과 도시열섬강도의 일변동 폭은 지점에 관계없이 2019년에 비해 2020년 및 2021년 모두 약 20% 이상 증가하였다. 도시열섬강도 감소는 풍속과 같은 자연적 요인 및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와는 큰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반면에 COVID-19 이후 시행된 사회적 거리두기 및 확연히 감소된 대기오염물질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NO2와 가장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Shifting Meme Content during Information Development on the COVID-19 Pandemic in Indonesia

  • Kadri, Kadri;Jumrah, Jumrah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10권1호
    • /
    • pp.30-44
    • /
    • 2022
  •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and reveal the meaning of memes about COVID-19, and explain changes in meme content in regard to the information development of COVID-19 in Indonesia published by the mass media and online media. The data is sourced from memes that are shared on social media, especially WhatsApp groups in the period of January to June 2020. To reveal the meaning of memes, a semiotic analysis of Roland Barthes' model is used. Qualitative analysis is used to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memes and the information development of COVID-19 in Indonesia.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meme content has shifted according to three stages of information development of COVID-19 in Indonesia published by the mass media and online media. When COVID-19 was not yet confirmed in Indonesia, meme content contained mostly humor that was not educative, moreover it seemed to underestimate the coronavirus. Meme content which is mostly humorous and pornographic occurred when COVID-19 was confirmed in Indonesia and during the lockdown policy. At last, as the government has begun to distribute social assistance, the meme content looks more critical.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emphasize the urgency of the mass media as a source of public informatio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become a reference for the community in making memes as a forum for expressing feelings and social criticism, and serve as a reference for the government to act and make the right decisions related to the pandemic that is endemic in their country.

스마트시티 데이터허브를 활용한 코로나19 역학조사지원시스템 사례 및 교훈 (COVID-19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Support System Using the Smart City Data Hub: Experiences and Lessons Learned)

  • 김재호;이석준;황동환;소영섭;전용주;조대연
    • 적정기술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211-218
    • /
    • 2020
  • 세계보건기구(WHO)가 3월 11일 코로나19에 대해 팬데믹(Pandemic)을 선언한 이후 현재 ('20.05.29 기준) 214개 국가에서 580만명이 넘는 확진자가 발생했으며, 사망자는 약 36만명에 이른다. 코로나 19의 세계적 유행은 수 많은 국가와 도시의 봉쇄를 야기했고 강력한 사회적 거리 두기는 보건, 교육, 정치, 종교, 경제 등 거의 모든 분야에 많은 영향을 주고있다. 우리나라는 코로나19에 대응하기위하여 다양한 디지털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대응은 국제적으로 성공적인 사례로 소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중에서 코로나19 역학조사지원시스템의 개발 배경 및 과정과 함께 시스템의 기능을 소개하고 이 시스템이 아주 짧은 기간에 개발 및 실제 적용 될 수 있도록 결정적인 역할을 한 스마트시티 데이터허브 기술에 대해서 소개하고자 한다. 또한, 본 사례를 기반으로 도시에서 데이터허브 등과 같은 수평적 공통 플랫폼의 미래의 도시에서 역할과 중요성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New Normal and Business Sustainability in the Age of Global pandemic

  • Kalam, Abul;Hossain, Md. Alamgir;Jahan, Nusrat;Kim, Minho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2권1호
    • /
    • pp.71-86
    • /
    • 2021
  • Purpose - This study examines the awareness regarding the symptoms of COVID-19 exposures and safety distances strategies whether they were useful to resile the businesses a mid of the pandemic. Besides exploring the awareness and safety distances, the effectiveness of offering free use of protective equipment (mask, hand sanitizer, frequent hand washing, etc.) to the customers for visiting the business centers was also examined. Design/methodology/approach - This study collected 264 survey data in Bangladesh which is one of the most densely populated country and very vulnerable for COVID-19 due to its socio-economic condition.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s used to analyze the data. Findings - The findings of the study indicate that the awareness about the symptoms of virus exposures (cough, fever, diarrhea, and weakness) has significant affirmative effects to enhance the public movement for business purposes with the lower possibility to be affected by the virus. The study also indicates that safety distances and protective equipment can mediate the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awareness of the disease and the businesses' resilient capacity.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COVID-19, as an apprehensive health issue in the current world, has sharpened the uncertainty of the businesses. One essential technique as lockdown, has been followed by almost every country to protect the transmission of the virus even though the scholars criticized it due to the substantial adverse effects on the country's economy. Under this circumstances,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to the relevant businesses by assessing the nexus between the safety distances and the proper uses of protective equipment with the business resilient.

Effects of Physical Environmental Design Attributes on Psychological Well-being of College Students in University Dormitory During the Covid-19 Pandemic Period

  • Saba Sadeghpour, Faraj;Wonpil, Kim
    • Architectural research
    • /
    • 제24권4호
    • /
    • pp.105-111
    • /
    • 2022
  • During pandemic period, college students lost lots of such academic opportunities as extra-curriculum social activities, contact classes, and friendly socializing in university campus area, etc. Previous many studies have shown that physical environment has certain relevance on the well-being of human-beings. Recent public statistics on mental health had shown an increase in psychological distress and a decrease in college students and people's well-being during the lockdown in response to the Covid-19 pandemic. However, there were little evidence on what the college students in dormitory suffered from COVID-19 incident in relation with their physical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factor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dormitory students in university campus. In order to explore the impact of physical environment on students' psychological well-being, survey instrumentation consisted of 25 indices were employed to measure the level of awareness to each index. A Chi-square analysis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200 students found that number of students living in single dwelling un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maintain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except for number of students living in each dwelling unit (χ2 =128.92, p= .004).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lso found that there exists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well-being of students and environmental factors. Further,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most prime predictor for psychological well-being of students residing in dorm was "use of furniture" (β= .281), implying careful design, lay-out and easy-access to interior furniture by facility planner. The study also demonstrated that as the level of positive perception of physical environmental features rose, overall psychological well-being of students also responded positively at specified rate. Finally, the findings reinforce a solid evidence that carefully well-coordinated physical environments play an important role in maintaining emotional stability of college students in dorm even in pandemic period.

코로나 시기 패들렛 활용 교양 수업에 대한 학습자 인식 고찰 (A Study on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for Liberal Arts Class Using Padlet During the COVID-19)

  • 박옥희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4호
    • /
    • pp.73-80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 팬데믹기간에 온라인 학습 도구 패들랫(Padlet)을 활용하여 대면으로 수업한 교양 과목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을 조사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은 B대학 재학생 37명을 대상으로 패들렛 활용 수업에 대한 만족도, 참여도, 학습 효과와 동기에 대해 양적 조사와 질적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설문 자료는 SPSS 19.0 프로그램으로 통계 처리하였고, 개방형 질문은 중심어 위주로 분류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패들렛을 활용한 대면 수업에 대해 학습자의 인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 .001). 수업만족도가 제일 높았고, 이어서 학습 효과와 동기 순으로 높았고 반면, 수업 참여도는 제일 낮았다. 둘째, 성별비교에서는 여학생이 참여도를 제외한 만족도, 학습 효과, 동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 .001). 셋째, 학년 간 비교에서는 1학년과 4학년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p< .001), 만족도, 참여도, 학습 효과, 동기에서 모두 1학년이 4학년 보다 높았다. 넷째, 개방형 질문에서 패들렛 활용 학습에 대한 만족도, 참여도, 학습 효과, 동기에 대해 학습자들은 긍정적인 데이터를 보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제언 및 교육적 함의가 논의되었다.

국내 COVID-19 확산과 용수 사용량의 상관관계 분석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Domestic COVID-19 Spread and Water Usage)

  • 정기문;강두선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1년도 학술발표회
    • /
    • pp.55-55
    • /
    • 2021
  • 지난 2019년 말부터 계속해서 전 세계로 확산되고 있는 COVID-19로 인해, 인간 생활을 둘러싼 사회 및 산업 구조가 다양하게 변모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2020년 2월 발생한 1차 대유행을 기점으로, 2020년 8월 2차 대유행 및 2020년 12월 3차 대유행을 겪었으며, 그 과정에서 마스크 착용 의무화, 개인위생 권장, 사회적 거리두기 등 강력한 예방수칙들이 도입되어 왔다. 특히 COVID-19의 심각성에 따라 단계적으로 발효되는 방역대책 및 사회적 거리두기는 개인뿐만 아니라 상업, 산업 등 대부분의 생활양식을 계속해서 변화시켰으며, 다양한 인프라 시설의 운영 및 관리에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 세계 각국의 연구기관에서는 이러한 봉쇄령(Lockdown) 정책의 영향으로 물관리 분야에 위기가 닥쳐올 것으로 예견하였으며, 국내의 경우 서울시상수도사업본부 조사에 따르면 가정용수 사용량이 3.4 % 증가하고, 상업 및 공공부문 용수 사용량이 25 %까지 감소하는 등 기존 물 사용 패턴과 상이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COVID-19 확산이 용수 사용량에 미치는 대표적인 영향은 크게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변화로 구분할 수 있다. 1) 사회적 거리두기 강도에 따른 물 사용량의 급격한 증가와 감소 등 용수 이용규모의 변화, 2) 상업 및 공공부문의 물 수요에서 생활부문 물 수요로 옮겨가는 등 용수 사용처의 변화, 3) 순간 최대 물 사용시간 등 용수 사용패턴의 시간적 변화 등이다. 본 연구에서는 시간별, 수요처별 용수 사용량 등의 상세한 데이터 확보가 가능한 국내 지역을 대상으로, COVID-19의 확산 및 그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의 단계적 시행이 용수 사용량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시공간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대규모 재난 발생 시 사회적 대응방안에 따른 물 사용량의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현재까지도 지속되고 있는 COVID-19 확산 상황에서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상수도 공급방안 마련에 기여하고, 또한 지금까지 물리적 재난 대응에 편중되었던 물 위기 관리 패러다임을 사회적 재난 대응 분야까지 확장시키는 계기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E-commerce Adoption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During COVID-19 Pandemic: Evidence from South Asian Countries

  • HOSSAIN, Md Billal;WICAKSONO, Tutur;NOR, Khalil Md;DUNAY, Anna;ILLES, Csaba Balint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9권1호
    • /
    • pp.291-298
    • /
    • 2022
  • COVID-19 has spread across the world in the last two years, confining people to their homes and shutting down businesses and markets. The world is currently experiencing a catastrophic economic and social crisis. To benefit people and to protect them, industries invented new products. These products were made by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across the globe. In South Asia, there was also a rigorous lockdown, people were laid off, and SMEs adopted E-commerce to assist clients and customers. Therefore, the study aims to analyze the impact of the COVID-19 pandemic on E-commerce adoption through open innovation strategies in South Asian countries. 500 respondents were selected through an online questionnaire to collect data from different countries of South Asia. The prominent countries are; India, Pakistan, and Bangladesh.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perceived compatibility and complexity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E-commerce adoption. In normal circumstances, however, the open innovation model is feasible. Knowledge and experience sharing and management attitude have a moderate impact on E-commerce adoption. These results are beneficial for researchers and SME managers in South Asia to overcome the challenges of the COVID-19 pandemic and increase the number of skilled people employed. This study suggests that SMEs should hire skilled workers to upgrade their systems.

시정계 자료와 기계학습 기법을 이용한 지역 안개예측 모형 개발 (Developing a regional fog prediction model using tree-based machine-learning techniques and automated visibility observations)

  • 김대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4권12호
    • /
    • pp.1255-1263
    • /
    • 2021
  • 안개는 대체수자원이 될 수 있으나 교통사고 위험을 높이고 공항 운영에 제약을 가하는 사회적 영향이 큰 기상현상이다. 본 연구에서는 1 km 미만 가시거리(시정)로 정의되는 안개 발생을 기상자료로 예측하는 지역 기계학습모형을 개발하고 그 예측력을 평가하였다. 전라북도 지역의 10개 기상청 지상관측소의 2017-2019년 시정 및 기상관측자료로 앙상블 분류기법인 Extreme Gradient Boosting (XGB), Light Gradient Boosting(LGB), Random Forests (RF)를 학습시켜 지역 안개 모형을 개발하였고 독립적인 2020년 자료로 모형의 사용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학습·검증기간(2017-2019)에는 True Skill Score를 기준으로 가장 높은 예측력을 보인 방법은 LGB 기법이었지만 다른 두 모형에 비해 False Alarm Ratio가 컸다. RF 모형과 XGB 방법 역시 기존 연구에 상응하는 예측성능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2020년 자료를 입력해 안개 발생을 모의했을 때 세 모형의 예측성능은 2017-2019년 기간보다 떨어졌지만 모두 관측 안개일수의 공간분포와 일관되는 안개 위험을 예측했다. 세 기계학습모형은 안개위험이 상대적으로 높은 지역을 추출하는 기법으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COVID-19가 인도 노동시장에 미친 영향: 노동격차 확대와 디지털화를 중심으로 (The Impact of COVID-19 on the Labor Market in India: Focusing on the Expansion of the Labor Gap and Digitization)

  • 강성용;이명무;김윤호;남은영;이상건
    • 적정기술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02-114
    • /
    • 2021
  • 인도는 2021년 03월 COVID-19 누적 확진자 수가 1,173만 명을 넘어섰고, 미국 다음으로 대규모 확진자가 발생하여 전국적으로 막대한 피해를 보았다. 특히 비공식노동에 종사하는 인도 내 이주 노동자들은 팬더믹과 봉쇄조치의 직접 타격을 받아 역이주와 생존의 위협을 겪고 있다. 2021년까지 COVID-19가 지속될 경우 관광 및 접객 산업에서 2천만개 이상의 일자리가 사라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이미 노동자 부재로 인한 생산면에서의 타격도 현실화되고 있다. 더 큰 문제는 이러한 일자리 감소와 노동시장의 양극화가 COVID-19 이전부터 꾸준히 진행되어 오던 구조적인 문제에서 출발하였으며, 코로나 대유행은 구조적 문제의 폭발적 발현의 촉매제가 되었을 뿐이라는 점이다. 이에 따라 인도 산업과 노동시장의 구조적인 문제가 무엇인지 짚어 본다. 인도 정부의 제조업 육성책(Make in India)은 물론이고, 2020년 코로나 사태의 한 가운데서 제기된 자립 인도(Atmanirbhar Bharat) 정책도 이러한 문제의 해결에 대한 고민에서 시작된 것이다. 본 연구는 디지털화와 4차산업혁명을 맞이하고 있는 현실을 또 다른 위기 증폭의 촉매제가 아니라, 문제 해결의 단서가 될 수 있는 노동시장 재구성의 방향성을 살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