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cation privacy of source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4초

안드로이드 기반 GPS 개인위치정보 자기제어 구조 설계 (A Design of GPS based Personal Location Self-Control Software on Android Platform)

  • 장원준;이형우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권1호
    • /
    • pp.23-29
    • /
    • 2010
  • 최근 스마트폰 사용자를 대상으로 다양한 종류의 어플리케이션이 개발/배포되고 있다. 특히 Google에서 개발한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인 경우 오픈 소스 정책을 채택하였으며 멀티태스킹 서비스를 지원함과 동시에 기존의 구글 서비스와 연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에서 Layar, Wikitude, Sherpa 및 a2b 등과 같이 스마트폰 환경에서 GPS 위치정보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이 개발되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Cell-ID 기반의 위치정보는 이동통신사업자가 이동통신망에 설치한 교환장치를 통해 직접적으로 수집될 수 있기 때문에 개인 프라이버시 문제가 발생하고, 각종 사업자에 따라 얼마든지 정보가 유출될 가능성이 있는 정보이므로 개인 프라이버시 침해 위험성이 높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에서의 GPS 기반 개인위치정보를 사용자 스스로 통제 및 접근제어할 수 있는 기술적 방안을 제시하였고 이를 설계하였다. 이를 통해 안드로이드 환경에서 다양한 GPS 개인위치정보 자기제어 SW 개발이 가능하였다.

휴면 소오스들이 존재하는 환경에서의 위치 보호 라우팅 (Routing for Location Privacy in the Presence of Dormant Sources)

  • 양기원;신성;김다영;박상주;임화정;차영환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8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5 No.1 (A)
    • /
    • pp.164-165
    • /
    • 2008
  • 전장에서 임무 수행중인 병력이나 탱크 등을 지원하거나 보호 동물의 활동을 모니터링 하는 센서 네트워크에서는 전송 정보뿐만 아니라 그러한 대상들의 위치를 악의적 추적자로부터 보호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활동 소오스 노드처럼 메시지 전송은 진행하고 있지 않지만 위치가 보호되어야 할 대상과 근접한 휴면(dormant) 소오스 노드들을 고려한 소오스 위치 보호 라우팅 기법 GSLP(GPSR-based Source-Location Privacy)를 제안한다. GSLP는 알고리즘의 간결성과 신장성(scalability)이 뛰어난 GPSR(greedy perimeter stateless routing)을 확장하여 메시지 전달 노드를 선정할 때 일정 확률로 임의의 이웃 노드를 선택하는 한편, perimeter 라우팅을 적용하여 소오스 노드들을 우회하도록 하여 위치를 보호하도록 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기존의 대표적인 소오스 위치 보호 라우팅 프로토콜인 PR-SP(Phantom Routing-Single Path)에 비해 GSLP는 휴면 소오스 노드들의 수에 거의 관계없이 높은 안전 기간(전송 메시지 수)을 일정하게 제공하면서도 전달 지연(경로의 평균 홉(hop) 수)은 도착지와의 최단 홉 수의 약 두 배 이내에 머물러 대규모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소오스의 위치를 보호하기 위한 방안으로 적합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무선망에서의 신호도청에 대응하는 데이터 경로 은닉에 관한 연구 (On Concealing Data-Path Against Eavesdropping in Wireless Networks)

  • 차영환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433-438
    • /
    • 2020
  • 무선망에서 통신 경로상의 노드들은 데이터 전달 시마다 전자기적 신호를 방출하므로 일련의 발생 신호들을 포착하여 분석하면 해당 경로가 노출 및 탐지될 수 있다. 악의적 도청자에 대응하는 방법의 하나로는 특정 노드들로 하여금 더미(거짓) 패킷을 생성하도록 하여 마치 데이터 경로상의 노드들처럼 보이도록 하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근원지와 도착지 간에 최단 경로를 한 번에 설정하면서 더미 패킷의 과도한 생성을 억제하는 패킷 전송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통신 경로상의 노드 위치 기밀 수준을 검증한다.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소스 위치 프라이머시 : 익명성 제공 방법 및 수학적 분석 (Source-Location Privacy in Wireless Sensor Networks Countermeasures and Analysis)

  • 이송우;박영훈;손주형;서승우;강유;문호건;이명수
    • 한국정보보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보호학회 2006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778-783
    • /
    • 2006
  • 최근 센서 네트워크 분야를 비롯해 네트워크 분야에서 내용 보호, 인증뿐만 아니라 Source의 위치 프라이비시와 관련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Source 위치는 실제 센서의 지리적 위치이기 때문에 Source의 위치를 노출하지 않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리고 인터넷과 Ad-Hoc 네트워크에서 익명성(Anonymity)을 제공하기 위한 기법들이 많이 제안되었지만, 이러한 기법들은 센서 네트워크에 적합하지 않기 때문에 센서 네트워크의 특성에 맞는 익명성 제공 요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Source의 익명성과 관련해 센서네트워크에서 나타날 수 있는 Eavesdropper의 유형을 정의하고, 이러한 Eavesdropper의 유형에 따라 Source의 익명성을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제안한 방법이 얼마만큼의 익명성을 제공하는가를 정량화하기 위해 엔트로피(Entropy) 성질을 이용해 수학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제안하는 방법이 보다 높은 익명성을 제공하고, 센서의 전송 거리가 Source의 익명성 제공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하였다.

  • PDF

무선센서네트워크 환경에서 생체기반의 개선된 사용자 인증 프로토콜 (A Robust Biometric-based User Authentication Protocol in Wireless Sensor Network Environment)

  • 신광철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07-123
    • /
    • 2013
  • 무선센서 네트워크 환경에서 센서노드들에 대한 식별자 노출을 억제함으로써 익명성을 보장하고 실시간 인증, 인증의 경량화, 동기화 등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무선 채널상에서 이루어지는 통신은 제3자에 의한 위치정보가 노출되거나 프라이버시 침해 및 보안상의 취약점이 존재한다. 익명성은 유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중요한 문제로 폭넓게 연구되어왔다. 센서 노드는 노드간의 무선망 구성을 기본으로 하여 계산능력의 제한과 저장장치의 제한, 전력 장치의 소형화가 강조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생체기반의 D. He scheme을 개선하여 네트워크 성능 향상과 익명성을 보장하며 URSC(Unique Random Sequence Code)와 가변식별자(variable identifier)를 이용한 실시간 인증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감마영상과 실사영상의 Fusion (Fusion of Gamma and Realistic Imaging)

  • 김윤철;유연욱;서영덕;문종운;김영석;원우재;김석기
    • 핵의학기술
    • /
    • 제14권1호
    • /
    • pp.78-82
    • /
    • 2010
  • 현재 우리나라 암발생률을 보면 유방암과 갑상샘암이 매년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I-131 scan과 전초림프절 검사인 lymphoscintigraphy가 많이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검사는 전통적인 핵의학 영상 검사들과 마찬가지로 병리생태를 영상화하는 데에는 탁월하나 해부학적 정보는 많지 않다. 따라서 트랜스미션 스캔을 실시하여 해부학적 위치를 찾는 데 도움을 주는 등 여러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만족스럽지 못하다. 이에 착안하여 감마실사영상의 fusion으로 좀 더 해부학적 정보가 많은 영상을 구현하고자 한다. 2009년 4월부터 7월까지 본과를 내원하고 SIEMENS사의 Symbia Gamma Camera를 이용하여 lymphoscintigraphy를 시행한 환자와 I-131 추가 검사를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먼저 감마카메라로 촬영한 후 촬영실 천정에 설치한 hyVISION사의 소형카메라(R-2000)로 동일 위치를 촬영하여 감마영상과 소형카메라의 실사영상을 자체개발한 Gamma Ray Tool Fusio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fusion하여 일치도를 평가 하였으며, 환자 및 술자의 피폭선량을 평가하였다. 술자와 환자의 피폭선량은 트랜스미션 스캔을 적용하기 위한 플러드 선원의 제작과정과 실제 트랜스미션 스캔이 적용될 때 방사선피폭이 발생되며 술자의 방사선피폭은 평균 14.1743 ${\mu}Sv$이며, 환자의 방사선피폭은 평균 0.9037 ${\mu}Sv$이다. 또한 fusion 영상에서 감마마커와 실사마커가 일치하였고 플러드 선원에 의한 피폭은 없었다. 본원에서 구축한 감마영상과 실사영상의 fusion 프로그램으로 보다 많은 해부학적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영상을 임상의 및 판독의에게 제공할 수 있고, 업무프로세스가 감소되어 편리한 조작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플러드 선원에 의한 피폭을 줄일 수 있어서, 다른 핵의학 검사에도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하지만 환자의 사생활이 존중되어야 하기 때문에 검사시행 전, 검사진행 과정과 장점 등을 자세하게 설명한 후 환자가 동의할 경우 검사를 실시하여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