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소스 위치 프라이머시 : 익명성 제공 방법 및 수학적 분석

Source-Location Privacy in Wireless Sensor Networks Countermeasures and Analysis

  • 이송우 (서울대학교 전기컴퓨터공학과) ;
  • 박영훈 (서울대학교 전기컴퓨터공학과) ;
  • 손주형 (서울대학교 전기컴퓨터공학과) ;
  • 서승우 (서울대학교 전기컴퓨터공학과) ;
  • 강유 (KT연구소 정보보호단) ;
  • 문호건 (KT연구소 정보보호단) ;
  • 이명수 (KT연구소 정보보호단)
  • Lee Song-Woo (School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Computer Scienc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Park Young-Hun (School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Computer Scienc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Son Ju-Hyung (School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Computer Scienc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Seo Seune-Woo (School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Computer Scienc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ang Yu (KT Information Security Center) ;
  • Moon Ho-Kun (KT Information Security Center) ;
  • Lee Myuong-Soo (KT Information Security Center)
  • 발행 : 2006.06.01

초록

최근 센서 네트워크 분야를 비롯해 네트워크 분야에서 내용 보호, 인증뿐만 아니라 Source의 위치 프라이비시와 관련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Source 위치는 실제 센서의 지리적 위치이기 때문에 Source의 위치를 노출하지 않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리고 인터넷과 Ad-Hoc 네트워크에서 익명성(Anonymity)을 제공하기 위한 기법들이 많이 제안되었지만, 이러한 기법들은 센서 네트워크에 적합하지 않기 때문에 센서 네트워크의 특성에 맞는 익명성 제공 요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Source의 익명성과 관련해 센서네트워크에서 나타날 수 있는 Eavesdropper의 유형을 정의하고, 이러한 Eavesdropper의 유형에 따라 Source의 익명성을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제안한 방법이 얼마만큼의 익명성을 제공하는가를 정량화하기 위해 엔트로피(Entropy) 성질을 이용해 수학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제안하는 방법이 보다 높은 익명성을 제공하고, 센서의 전송 거리가 Source의 익명성 제공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하였다.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