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cal recurrence

검색결과 790건 처리시간 0.029초

Squamous cell carcinoma of lower lip: the results of wide V-shaped resection

  • Sung Bin Youn;Hoon Myoung;Ik-Jae Kw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49권5호
    • /
    • pp.292-296
    • /
    • 2023
  • Generally, if the size of a lip cancer defect exceeds 30% of the lower lip, a local flap or free flap is recommended. However, defects up to 50% of the lower lip in size have been reconstructed successfully by primary closure without a local flap or free flap. In one case, an 80-year-old male farmer who had smoked for more than 50 years presented with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lower lip and underwent mass resection and supraomohyoid neck dissection. The defect accounted for almost 2/3 of the lower lip and was repaired by primary closure with V-shaped resection. Biopsy results confirmed pT2N0cM0 stage II disease with clear margins. In another case, a 68-year-old male also presented with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lower lip and underwent mass resection. The defect accounted for about half the size of the lower lip but was repaired by primary closure with V-shaped resection. Both patients experienced no discomfort while eating or speaking and were satisfied with the cosmetic and functional outcomes with no evidence of recurrence. Thus, direct closure can be considered even in large lower lip cancers.

자궁경부암 환자의 예후인자에 관한 분석 (An Analysis of Prognostic Factors in the Uterine Cervical Cancer Patients)

  • 양대식;윤원섭;김태현;김철용;최명선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8권4호
    • /
    • pp.300-308
    • /
    • 2000
  • 목적 :자궁경부암은 우리나라 여성에서 가장 많은 발생을 보이는 악성종양으로 비교적 완치율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궁경부암의 치료는 병원 마다 매우 다양해졌으나 방사선에 의한 치료가 주이며 높은 완치율을 얻고있다. 치료의 실패는 대부분 3년이내에 일어나며, 국소재발시에는 자궁방 결합조직에서 더 많이 재발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방사선치료를 받은 자궁경부암 환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치료성적과 재발여부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생존률과 재발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분석하여 보았다. 대상 및 방법 : 1981년 1월 1일부터 1998년 12월 31일까지 고려대학교 방사선 종양학과에서 자궁경부암으로 방사선 치료를 받은 970명중 추적관찰이 가능했던 82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환자는 방사선 단독치료군과 수술후 방사선치료군으로 나누었으며 각 환자에 대하여 나이, 임상적 병기, 세포병리학적 소견, 재발유무 등이 치료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고 특히 치료 후 자궁경부질세포진검사(Papanicolaou smear; Pap smear), 배아성항원(carcinoembryogenic antigen; CEA)와 편평상피 암종항원(squamous cell carcinoma antigen; SCC antigen) 수치가 생존률과 국소재발에 유의한 인자인가를 알아보았다. 결과: 전체환자의 평균나이는 51.3세(방사선 단독치료존 53.1세, 수술 후 치료곰 48.3세)였고, 평균 추적관찰기간은 38.6개월(방사선 단독치료군: 38.8개월, 수술후 치료군: 38.4개월)이었다. 방사선 단독치료군의 경우 대상환자는 521명이었고, 임상병기는 CIS; 5명, IA; 3명, IB; 36명, IIA; 77명, IIB; 284명, IIIA; 31명, IIIB; 47명, IVA; 21명, IVB; 3명, 재발암 14명이었다. 세포병리학적 소견상 편평상피암 495명, 선세포암 23명이었고 완치상태로 추적관찰된 환자는 314명(60.3$\%$), 국소재발: 47명(9$\%$), 대동맥 림프절전이; 28명(5$\%$), 폐전이: 19명(4$\%$), 골전이: 12명(2$\%$)이었다. 수술 후 치료군은 326명이었고 임상병기는 CIS; 6명, IA: 50명, IB: 181명, IIA; 46명, IIB; 43명이었다. 세포병리학적 소견상 편평상피암: 291명, 선세포앓 32명이었고, 완치상태로 추적관찰된 환자는 276명(85$\%$), 국소재발 8명(2$\%$), 대동맥 림프절전이: 7명(2$\%$), 폐전이: 10명(3$\%$), 골전이; 10(3$\%$)이었다. 전체환자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5년 생존율은 71.2$\%$(방사선 단독치료군: 55.8$\%$, 수술 후 치료군: 88.1$\%$)였고 생존율에 있어서는 단변량분석상 임상병기(p=0.0001), 재발유무(p=0.0001), 방사선치료 후 자궁경부질세포진검(p=0.0329), CEA수치($\geq$5 ng/ml, p=0.00001), SCC수치$\geq$2 ng/ml, p=0.0001)가 의미있는 인자로 나타났고, 재발율에 있어서는 CEA가 $\geq$5 ng/ml인 경우, SCC는 $\geq$2 ng/ml인 경우가 2$\~$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방사선치료 후 Pap smear, CEA, SCC는 생존율과 재발율에 모두 비교적 의미있게 작용하는 예후인자로 나타나 앞으로 방사선치료 후 환자의 추적관찰시 자궁경부암의 국소재발과 전이 그리고 생존률을 미리 예견할 수 있는 지표로 삼을 수 있을 것이다.

  • PDF

유방암환자의 유방보존수술 후 방사선 치료 성적 (Radiation Therapy for Operable Breast Cancer after Conservative Surgery)

  • 이명자;전하정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0권4호
    • /
    • pp.309-315
    • /
    • 2002
  • 목적 : 유방암 환자에서 국소적 절제 수술 후 방사선 치료 후 재발 양상, 생존율 및 예후 인자를 평가하기 위해 후향적으로 분석을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5년 1월부터 1996년 12월까지 한양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유방보존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위해 의뢰된 유방암 1기, 2기 및 3기 53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하였다. 추적기간은 평균 84개월이었고 최소 5년이었다. 연령분포는 24세부터 72세였고 중앙연령은 43세였다. 2명을 제외한 51명이 액와 림프절 곽청술을 받았고 조직병리상 42명이 침윤성 선암이었고 2명이 소엽 세포암 2명은 선관내 선암이었고 7명은 그 외 병리소견을 가졌다. 병기로 T0 2명 T1 30명, T2 21명이었고, 53명 중 15명이 액와 림프절 침윤이 있었다. 원발 종양위치로 내측이 13명, 외측이 38명 유두 하 부위가 2명이었다. 방사선 조사는 전체유방에 $46\~50\;Gy$와 원발 종양 주위에 $14\~18\;Gy$ 추가조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 5년 생존율은 $94.3\%$ 5년 무병생존율은 $92.4\%$였다. 10년 생존율은 $91.2\%$ 10년 무병생존율은 $81\%$였다. 병기별로 I $100\%$, IIa는 $100\%$, IIb 및 IIIa는 $66,7\%$의 5년 생존율을 보였다. 4명$(7.5\%)$에서 국소 재발이 있었고 3명$(5.7\%)$에서 원격전이가 있었다. 원발 병소 내 국소 재발은 2년 이내였고 원발 병소 밖의 국소 재발은 8년 후에 보였다. 원격전이는 2년에서 6년 사이였다. 35세 이하의 환자에서 국소 및 원격전이가 높아 12예 중 5예의 재발율을 보였고 (국소재발 2명, 원격전이 3명) 종양크기가 2 cm 이상인 환자 21예 중 5예(국소재발 2명, 원격전이 3명)에서 재발율을 보였다. 액와 림프절 침윤이 있는 15명 중 4명$(26.6\%)$에서 원격전이가 있었다. 종양의 크기 2 cm 이상인 환자에서 임파선 전이율이 $38.1\%$였고 35세 이하의 젊은 연령에서 임파선 전이율이 $58.3\%$였다. 예후 인자로는 연령과 액와 림프절 침윤과 종양이 클수록 생존율이 유의하게 낮았다. 결론 : 유방 보존 수술 후 방사선 치료를 받은 조기 유방암환자의 치료결과는 양호함을 알 수 있었다. 국소 재발율은 추적기간이 길수록 증가함으로 보다 더 장기적인 추적이 필요하고 젊은 연령층의 치료 결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보다 효과적인 치료법의 개발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근치적 방사선치료 후 재발한 자궁경부암의 재 방사선치료 (Reirradiation in Rcurrent Cervical Cancer Following Definite Radiation Therapy)

  • 김진희;최태진;김옥배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9권3호
    • /
    • pp.230-236
    • /
    • 2001
  • 목적 : 저자들은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시행받고 골반 내에 재발하여 재 방사선치료를 받은 자궁경부암 환자를 대상으로 생존률, 부작용 등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7년 11월부터 1998년 3월까지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치료방사선과에서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받고 추적 관찰 중 골반내에 재발하여 재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 1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처음 진단당시 병기로는 Ia 1명, Ib 5명, IIa 5명, IIb 3명, IIIb 2명, IVa 2명으로 평균연령은 57세($37\~79$세)이었다. 재발기간은 6개월에서 122개월로 평균 58개월이었다. 재발부위는 7명에서 자궁경부, 10명에서 질부, 1명에서 골반내 림프절에 재발하였다. 12명은 외부방사선치료와 강내 방사선치료를, 4명은 외부방사선치료와 자입방사선치료를, 2명은 외부방사선치료단독를 시행하였다. 재 방사선치료의 외부방사선량은 $2,100\~5,400\;cGy$이었고 방사선총량은 $3,780\~8,550\;cGy$이었다. 재발 후 추적기간은 8개월에서 80개월로 평균 25개월이었다. 결과 : 재 방사선치료 직후 전체 18명 중 14명$(78\%)$에서 국소 제어가 되었으며 재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후 2년 무병생존률은 $53.6\%$이었다. 재발부위에 따라 2년 무병생존률이 질에 재발한 환자 10명에서는 $71.4\%$, 자궁에 재발한 환자 7명에서는 $28.5\%$ (p=0.03)를 나타내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재 방사선총량에 따라 2년 무병생존률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를 보였다$(>6,000\;cGy\;71.8\%,\;{\leq}6,000\;cGy\;25\%\;p=0.007)$. 재 방사선치료 후 20개월 이상 추적 관찰된 환자 10명중 7명에서 무병생존 중이다(7/18, $39\%$). 외부방사선치료와 강내방사선치료를 시행한 환자에서 가장 좋은 생존률을 보였다. 재 방사선치료 후 실패양상은 국소 재발이 국소 제어 안된 4명을 포함한 7명 $(39\%)$에서 자궁 및 질에 재발하였고 2명에서 원격 전이되어 사망하였다. 부작용으로는 장출혈이 3명에서 있었으며 수술을 요하는 장폐쇄가 2명, 방광손상에 의한 혈뇨가 1명, 2도 방광염이 2명, 연부 부종이 2명, 질부조직괴사가 1명에서 있었으나 자연 치유되었다. 재 방사선치료총량이나 재발기간에 따른 부작용의 차이는 없었다. 결론 : 근치적 방사선치료 후 재발한 경우, 재 방사선치료는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되나 심각한 부작용을 줄이는 노력이 더 요구된다.

  • PDF

Wilms씨 종양에서 방사선 치료의 역할 (The Role of Radiation Therapy in Management of Wilms' Tumor)

  • 김미숙;김일한;윤형근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9권2호
    • /
    • pp.325-331
    • /
    • 1991
  • 1979년부터 1988년까지 서울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방사선 치료를 받았던 Wilms씨 종양환자 28명의 치료성적을 분석하였다. 평균 추적관찰기간은 40개월이었다. 3년 국소 치유율 및 생존율은 각각 78.1$\%$와 67.4$\%$이었다. 연령에 따른 국소치유율의 차이는 없었다. Favorable histology 와 Unfavorable histology 유형의 국소치유율은 각각 83.3$\%$와 62.5$\%$이었다. Favorable histology유형의 II기와 III기 종양의 국소치유율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83.3\%\;vs100.0\%$). Unfavorable histology유형의 I/II기와 III기 종양의 국소치유율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83.3\%:0\%$). 임파절 침윤이 확인된 경우에서의 국소치유율은 불량하였다($50.0\%\;vs\;87.5\%$). 방사선치료를 수술후 10일 이후에 개시한 경우에서의 국소치유율과 수술 후 9일 이내에 개시한 경우에서의 국소치유율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 따라서 방사선치료는 국소치유율을 향상시키는데 유용하였으나 수술적 절제가 불가능한 종양에 대하여는 치료방법의 강화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PDF

국소 진행성 구강암에서 선행 항암 화학 요법의 효과 (The Therapeutic Effect of Neoadjuvant Chemotherapy in Locally Advanced Oral Cavity Cancer)

  • 조요한;최인실;이근욱;오도연;김병수;이대호;김태유;방영주;우홍균;성명훈;이철희;김광현;허대석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79-184
    • /
    • 2001
  • Objective: The role of chemotherapy in locally advanced head and neck cancer has been established in nasopharynx and larynx as definitive therapy and organ preserving therapy, respectively. Oral cavity cancers are relatively uncommon and local recurrence is the main cause of treatment failure. We planned this retrospective study to evaluate the role of neoadjuvant chemotherapy in locally advanced oral cavity cancer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From 1988 March to 2001 February, locally advanced, previously untreated oral cavity cancer patients who received neoadjuvant chemotherapy were examined. Chemotherapy had been done in the following patients: Histologically proven squamous cell or poorly differentiated carcinoma, stage 3 or 4, and performance state 0-2 patients. Chemotherapy regimen consisted of cisplatin and infusional 5-fluorouracil. Response was evaluated after 2 cycles and in case of no response, definitive local therapy was done; otherwise 3 cycles was done before local treatment. Results: 48 patients were treated and 47 patients were evaluable for responses. Complete response rate was 6.4%(3/47) and partial response 80.0%(38/47), scoring overall response rate of 87.2%. Median time to progression was 27.0 months (95% CI : 0-58months) and overall 5 year survival was 54.8%. 5-year disease-free survival in the patients in remission after local treatment was 51.9%. In multivariate analysis, contributing factor to the survival were response to neoadjuvant chemotherapy and local treatment modalities. Extensive surgery was done in 10 patients and 25 patents (52.1%) was followed up with preserved function. With median follow-up of 57.0 months, 19 recurrences were detected, most of which were local or regional type. Conclusion: Neoadjuvant chemotherapy followed by local treatment in oral cavity cancer showed high response rate and was thought to be effective therapeutic approach especially in view of organ preservation.

  • PDF

Cutaneous Rosai-Dorfman Disease Confused with Vascular Mass

  • Kang, Kwang Rae;Jung, Sung Won;Koh, Sung Hoon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1-34
    • /
    • 2016
  • Rosai-Dorfman disease is a rare histiocytic disorder, clinically characterized by massive, bilateral painless cervical lymphadenopathy with potential for extranodal manifestations. We report a 45-year-old male patient who presented with a slowly growing erythematous nodule of the left chin. The mass appeared non-vascular on computed tomography study, but ultrasonogram was suggestive of a vascular lesion. The lesion was excised with presumptive diagnosis of a hemangioma. However, histopathologic examination of the surgical biopsy revealed histiocytic infiltration with emperipolesis, which was pathognomic for Rosai-Dorfman disease. Additional imaging studies did not reveal lymph node enlargement or other extranodal manifestation. The patient was diagnosed with cutaneous form of the Rosai-Dorfman disease and was discharged home. He remains free of local recurrence at 8 months.

대둔근에 발생한 근육 내 신경초종 - 증례 보고 - (Intramuscular Schwannoma Arising from the Gluteus Maximus Muscle - A Case Report -)

  • 김상림;남광우;최성욱;방형식;서규범
    • Archives of Reconstructive Microsurgery
    • /
    • 제21권2호
    • /
    • pp.165-169
    • /
    • 2012
  • Intramuscular schwannomma is unusual and rare cases were reported in the literature in the gluteus maximus muscle. We present a case of an intramuscular schwannoma arising from the gluteus maximus muscle in a sixty-five-year-old woman. An oval in shape and well encapsulated tumor was found embedded with the gluteus maximus muscle, and then the lesion was excised surgically. Two years following excision of the lesion, the patient remained asymptomatic, with no evidence of local recurrence.

  • PDF

Pleural Metastasis of Atypical Bronchial Carcinoid

  • Zinchenko, Eugeniy Igorevich;Maslak, Olga Sergeevna;Pischik, Vadim Grigorievich;Obornev, Aleksandr Dmitrievich;Kovalenko, Aleksandr Igorevich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3권5호
    • /
    • pp.317-320
    • /
    • 2020
  • Pulmonary carcinoids are relatively rare tumors with low metastatic potential. Pleural carcinomatosis of a bronchial carcinoid has only been reported in 4 cases. Due to the rarity of this condition, there are no guidelines for its treatment or management. We report a case of atypical carcinoid with local recurrence and pleural metastases treated by video-assisted thoracoscopic surgery lobectomy and total pleurectomy with photodynamic therapy after non-radical wedge resection.

Adenoid cystic carcinoma of the sublingual gland: A case report

  • Song, Ji-Young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46권4호
    • /
    • pp.291-296
    • /
    • 2016
  • Adenoid cystic carcinoma (ACC) of the sublingual gland is an extremely rare neoplasm. The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CC are slow-growing swelling with or without ulceration, perineural spread, local recurrence, and distant metastasis. This report describes a 58-year-old male who had a slowly growing swelling without ulceration on the right side of the mouth floor that had been present for 1 month. In a radiological examination, the mass showed multilocular cystic features and no bony or tongue muscle invasion. No enlarged cervical lymph nodes were detected. Excisional biopsy and histological analysis showed that the lesion was ACC. In addition to reporting a rare case of ACC, this report also discusses the differential diagnosis and treatment of ACC with a review of the relevant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