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cal recurrence

검색결과 803건 처리시간 0.023초

Helical tomotherapy for spine oligometastases from gastrointestinal malignancies

  • Choi, Yun-Seon;Kim, Jun-Won;Lee, Ik-Jae;Han, Hee-Ji;Baek, Jong-Geal;Seong, Jin-Sil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9권4호
    • /
    • pp.219-227
    • /
    • 2011
  • Purpose: This study evaluated the treatment effectiveness and proper radiation dose of helical tomotherapy (HT) in spine oligometastases from gastrointestinal cancers. Materials and Methods: From 2006 to 2010, 20 gastrointestinal cancer patients were treated with HT for spine oligometastases (31 spine lesions). The gross tumor volume (GTV) was the tumor evident from magnetic resonance imaging images fused with simulation computed tomography images. Clinical target volume (CTV) encompassed involved vertebral bodies or dorsal elements. We assumed that the planning target volume was equal to the CTV. We assessed local control rate after HT for 31 spine metastases. Pain response was scored by using a numeric pain intensity scale (NPIS, from 0 to 10). Results: Spine metastatic lesions were treated with median dose of 40 Gy (range, 24 to 51 Gy) and median 5 Gy per fraction (range, 2.5 to 8 Gy) to GTV with median 8 fractions (range, 3 to 20 fraction). Median biologically equivalent dose (BED, ${\alpha}/{\beta}$ = 10 Gy) was 52 $Gy_{10}$ (range, 37.5 to 76.8 $Gy_{10}$) to GTV. Six month local control rate for spine metastasis was 90.3%. Overall infield failure rate was 15% and outfield failure rate was 75%. Most patients showed pain relief after HT (93.8%). Median local recurrence free survival was 3 months. BED over 57 $Gy_{10}$ and oligometastases were identified as prognostic factors associated with improved local progression free survival (p = 0.012, P = 0.041). Conclusion: HT was capable of delivering higher BED to metastatic lesions in close proximity of the spinal cord. Spine metastases from gastrointestinal tumors were sensitive to high dose radiation, and BED (${\alpha}/{\beta}$ = 10 Gy) higher than 57 $Gy_{10}$ could improve local control.

두경부 골수외 형질세포종의 임상적 고찰 (Extramedullary Plasmacytoma of the Head and Neck)

  • 심광용;안중배;김귀언;정현철;김주항;김병수;노재경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9-34
    • /
    • 1999
  • Objectiv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clinical profile and the results of treatment of a series of patients with extramedullary plasmacytoma(EMP) of the head and neck. Materials and Methods: The clinical features, treatment and survival of 14 patients with EMP seen at Yonsei Medical Center between 1970 and 1998 were carefully reviewed. Results: The median age was 48 years(range 15-75) and there was a male predominance(M:F 1.8:1). Nasal cavities and paranasal sinuses account for 50% of the primary sites and the most common symptom was airway obstruction(50%). Five patients(36%) showed evidence of adjacent bone destruction, one patient had lymph node involvement and one patient had an IgG monoclonal gammopathy at the time of diagnosis. All 5 patients treated with radiotherapy alone achieved local control. Of 5 patients treated with surgery alone, 2 patients(40%) had local failure. Of 3 patient treated with a combination of surgery and radiotherapy, one patient had local recurrence. A total of7 patients(54%) had local, distant or nodal relapses after primary treatment. Six of them received salvage treatment. With salvage treatment of surgery and/or radiotherapy, local control was achieved in 4 of 6 patients. Conversion to multiple myeloma was seen in one patient. Conclusion: Radiotherapy should be recommanded as treatment of choice for EMP of the head and neck. Surgery should be reserved for radioresistant or recurrent tumors, but tumors that are localized and can be removed relatively easily with little morbidity may be treated by primary surgery.

  • PDF

경남연안의 지역특성에 따른 폭풍해일고의 변동 (Storm Surg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Local Peculiarity in Gyeongnam Coast)

  • 허동수;염경선;김지민;김도삼;배기성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45-53
    • /
    • 2006
  • Each year, the south coast of Korea is badly damaged from storm surge. The damages are greatly dependent upon the local peculiarities of the region where the storm surge occurs. So, in order to prevent/reduce recurrence of the disaster, it is very important to investigate the fluctuation characteristics of the storm surge height, related to the local peculiarities at each coastal area where occurrence of the disaster is expected. In this paper, using the numerical model, the storm surge was simulated to examine its fluctuation characteristics at the Gyeongnam coast (southeast coast of Korea). Typhoons of Sarah (5914), Thelma (8705) and Maemi (0314), which caused terrible damage to the coastal area in the southeast coast of Korea in the past, were used forstorm surge simulations. Moreover, the storm surge due to virtual typhoons, which were combin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roposed typhoons (Maemi, Sarah, Thelma)with the travel route of other typhoon, was predicted. As expected,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storm surge heights are enhanced at the coastal regions with the concavity like a long-shaped bay. Also, the storm surge heights, due to each typhoon, were compared and discussed at major points along the Gyeongnam coast, related to the local peculiarities,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and the travel route of typhoon.

Outcome of Atypical Meningioma

  • Bae, Jun-Seok;Park, Jun-Beom;Kim, Jeong-Hoon;Kim, Chang-Jin;Lee, Jung-Kyo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38권1호
    • /
    • pp.35-40
    • /
    • 2005
  • Objective : Limited data are available concerning the outcome of the patients with atypical meningioma due to lack of the studies with large series. The authors review atypical meningioma retrospectively and analyzed various parameters concerning its outcome. Methods : Of the 866 meningioma patients treated between 1990 and 2003, pathologically proven 54 atypical meningiomas were reviewed. Various factors of the patients were analyzed, and surgical specimens were re-examined blindly by neuropathologist without any patient information. Extent of surgical resection was determined according to Simpson's classification by reviewing the chart and postoperative scan if possible. Results : Twenty-three [42.6%] had local recurrences during the follow-up, of which 13 [32.5%] of 40 complete excisions and 10 [71.4%] of 14 incomplete excisions. The median time to recurrence was 47 months, and the overall 3-, 5-, and 10-year local control rates were 62.4%, 41.5%, and 31.1%, respectively. Five [9.3%] died during follow-up period. The mean survival time was 123months, and the overall 3-, 5-, and 10-year survival rates were 94.2%, 87.2%, and 78.5%, respectively. The extent of surgical excision was the most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 not for survival but for local control [p=0.2179 and 0.0005, respectively]. Extracranial metastasis was not seen in our cases. Conclusion : Complete surgical excision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improving local control. Careful long-term follow-up is mandatory because atypical meningioma shows a broad range of aggressiveness and natural history.

척추 거대세포종의 수술적 치료 (Surgical Treatment of Giant Cell Tumor of the Spine)

  • 강용구;유기원;이승구;박원종;정양국;박창구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38-145
    • /
    • 2009
  • 목적: 척추 거대세포종은 매우 드문 질환으로, 종양이 추체 내에 확산이 될 때까지는 증상이 나타나지 않아, 진단이 늦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치료가 매우 힘든 질환으로 알려지고 있다. 최근 척추수술 술기의 발전과 진단기기의 발달로 척추종양을 척추 전절제술(total spondylectomy)로 치료하여 좋은 치료결과를 보고하고 있는바, 전절제술로 치료한 증례와 소파술로 치료한 증례를 분석하여, 척추 전절제술의 효용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7년 4월부터 2006년 3월까지 척추의 거대세포종에 대한 수술적 치료를 받은 환자 중에서 3년 이상 추시가 된 10례를 분석하였다. 남자 3명, 여자 7명이었으며, 평균나이는 32세(25-44세)이었다. 경추 2례, 흉추 4례, 요추 2례, 천추 2례이었다. 전례에서 동통이 주소이었으며 7례는 신경학적 증상도 동반되었다. 4례는 전후방 도달에 따른 척추 전절제술, 1례는 후방도달에 따른 천추전절제술 수술을 시술받았으며, 경추 2례를 포함한 5례에서는 소파술 및 전방추체유합술로 치료를 받았다. 결과: 수술적 치료 후 9례에서 동통과 신경학적 증상의 호전이 있었다. 그러나 4례(40%)에서 국소재발이 합병하였는데 2례가 경추에서, 흉추와 천추에서 각 1례가 발생하였다. 국소재발은 소파술로 치료한 3례와 전절제술로 치료 받은 1례이었다. 결론: 거대세포종은 수술적인 치료 후에도 국소재발이 많이 합병하는 바, 초기 치료에서 척추에 대한 전후방 도달법을 이용한 전절제술과 같은 완전 절제술이 필수적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비인강암의 방사선치료 성적 (Radiotherapy for Nasopharyngeal Carcinoma)

  • 이명자;전하정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1권4호
    • /
    • pp.269-275
    • /
    • 2003
  • 목적: 비인강암 환자에서 방사선치료 후 재발 양상, 생존율 및 생존율에 미치는 예후인자를 분석평가하기 위해 후향적으로 분석을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4년 1월부터 2000년 6월까지 한양대학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방사선치료를 위해 의뢰된 비인강암 49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하였다. 추적기간은 평균 76개월이었고 최소 2년 6개월이었다. 연령분포는 17세부터 78세였고 중앙연령은 52세였다 조직병리상 편평상피세포암이 21예, 미분화암이 25예, 샘모양 낭암종이 3예였다. 미국암합동위원회의 1997년 개정판으로 재분류한 병기로 T1 14예, T2 24예, T3 3예, T4 8예였다. N0 17예, Nl 15예, N2 4예, N3 13예였다 병기군별은 stage I, IIa, IIb, III, IVa IVb가 각각 4예, 7예, 12예, 5예, 8예, 13예였다. 방사선은 원발병소나 임파선전이부위에 58$\~$70 Gy를 조사 시행하였다. 결과: 5년 생존율 및 10년 생존율은 각각 54.5$\%$ 및 47$\%$였다. 5년 무병 생존율 및 10년 무병생존율은 가각 55.7$\%$ 및 45.3$\%$였다. 병기별로 100$\%$, IIa 80$\%$, IIb 59.5$\%$, III 40$\%$, IV 42.2$\%$의 5년 생존율을 보였다. 총 23예의 재발을 보였고 10예(20.4$\%$)에서 국소 재발, 4예(8.2$\%$)에서 임파선재발, 10예(20.4$\%$)에서 원격전이가 있었다. 병기에 따른 국소재발률은 T1 2예(4.3$\%$),T23 예(12.5$\%$), T4 5예(62.6$\%$)로 T병기가 높을수록 재발률이 높았다. 원격전이는 N2-3환자에서 많았다(41.2$\%$). 국소 재발시기는 50$\%$가 2년 이내였고 원격 전이시기는 70$\%$에서 2년 이내였다. 예후로는 여성, 젊은 연령, 조기 T병기 및 조기 전체적인 병기 및 미분화세포가 생존율이 높았으며 그중 조기 T병기 및 전체적인 병기가 통계적인 유의성이 있었다. 결론: 비인강암의 방사선치료결과는 국소 재발률은 T4 병기에 높고 원격전이는 2$\~$3병기에 현저히 높음을 알 수 있었다. 국소재발을 낮추기 위해 특히 T4에서 좀더 많은 양의 방사선이 요구되며 방사선량을 높이기 위해 삼차원적인 치료계획을 이용한 입체조형 방사선 치료나 세기조절 방사선 치료 등이 필요하리라 생각되며 임파선전이환자에서 보다 효과적인 항암제와 방사선의 병용요법의 개발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후복막 연조직 육종의 수술 후 외부 방사선 치료 (Postoperative External Beam Radiotherapy for Retroperitoneal Soft Tissue Sarcoma)

  • 장나영;김일한;최진화;박찬일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6권3호
    • /
    • pp.135-141
    • /
    • 2008
  • 목 적: 수술 후 방사선 치료를 받은 후복막 연조직 육종 환자들의 치료 성적과 예후 인자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5년부터 2003년까지 수술 후 방사선 치료를 받은 후복막 연조직 육종 환자 23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추적 관찰 기간은 8개월에서 240개월까지로 중앙값은 77개월이었다. 전체 환자 중 21명이 원발성 종양이었고, 두명은 재발성 이었다. 지방육종과 평활근육종이 전체 종양의 78%를 차지하였고 17명의 환자가 조직학적으로 고등급(2또는 3등급)이었다. 종양의 크기는 3에서 50 cm까지 분포하였으며 중앙값은 13 cm이었다. 65%의 환자에서 종양의 완전절제가 이루어졌다. 방사선치료는 일일 1.8에서 2.0 Gy를 주 5회 조사하여 총 45에서 59.4 Gy를 조사하였으며 중앙값은 50.4 Gy였다. 결 과: 환자들의 5년 전체생존율, 국소무재발생존율, 무전이생존율은 각각 68%, 58%, 71%였다. 11명의 환자에서 국소 재발이 일어났으며, 9명에서는 원격전이가 발생했다. 원격전이는 간에서 가장 많이 발생했다. 예후인자 분석 중 일변량 분석에서는 주변장기를 침윤한 경우와 60세를 초과한 나이가 생존율에 나쁜 영향을 주는 인자로 분석되었고 이중 주변장기를 침윤한 것은 다변량 분석에서도 유의한 인자로 분석되었다. 60세를 초과한 경우는 일변량과 다변량 분석 모두에서 국소재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인자였다. 한 명의 3등급의 설사를 제외하고는 3등급 이상의 치료에 의한 부작용은 보고되지 않았다. 결 론: 본 연구 결과 이전에 보고 되었던 다른 연구들의 결과와 비슷한 정도의 치료성적이 분석되었으며 주변 장기를 침범한 경우와 60세를 초과한 경우가 환자의 생존과 재발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인자였다.

악성흑색종 환자군에서 수술적 치료 후 시행한 고용량 인터페론-${\alpha}2b$ 면역요법에 의한 보조적 치료 결과 분석: 예비보고 (The Analysis of Post Operative Treatment of Malignant Melanoma Using High Dose Interferon-${\alpha}2b$ Immunotherapy: Preliminary Report)

  • 정소학;조현익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78-82
    • /
    • 2012
  • 목적: 고용량 인터페론-${\alpha}2b$를 이용한 악성흑색종의 면역요법은 외과적 절제술 후 현미경적 적이나 남아있는 종양의 재발을 막고 무병생존율과 전체 생존율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 등은 악성 흑색종 환자군에서 외과적 절제술 후 고용량 인터페론-${\alpha}$ 면역요법을 시행한 그룹의 무병생존기간 및 전체 생존율 등을 비교 분석하여 면역요법의 치료결과를 예비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10년 2월부터 2012년 10월까지 본원에서 악성 흑색종으로 진단받고 외과적 수술 후 면역치료를 시행한 5명을 대상으로 분석 하였다. 병기는 AJCC 병기를 이용하여 판정하였으며 IIA 3예, IIB 1예, IV 1예로 나타났다. 추시기간은 최소 7개월에서 최대 32개월이었다. 면역 요법을 시행한 군에서는 먼저 유도요법으로 ${\alpha}2b$를 체표면적 당 20만 IU를 총 4주간 1주일에 5회 정주하였으며 이후 유지요법으로 체표면적당 10만 IU를 총 48주간 1주일에 3회 피하주사하였다. 이들 환자들에 대해 국소재발과 국소전이, 그리고 원격전이여부를 조사하였고 무병생존기간을 조사하였다. 결과: 인터페론-${\alpha}2b$ 면역요법을 시행한 환자군에서 추시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 및 양전자 컴퓨터 단층촬영을 통한 평가 결과 현재까지 모두 국소 재발 및 국소전이 원격전이의 증거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고용량 인터페론-${\alpha}$ 면역요법 시행군에서 현재까지 종양의 국소 재발 및 전이를 막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향후 궁극적인 생존율 및 무병생존율 향상이 달성되는가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대상과 추적관찰이 필요하겠다.

Clinical outcome of fiducial-less CyberKnife radiosurgery for stage I non-small cell lung cancer

  • Jung, In-Hye;Song, Si Yeol;Jung, Jinhong;Cho, Byungchul;Kwak, Jungwon;Je, Hyoung Uk;Choi, Wonsik;Jung, Nuri Hyun;Kim, Su Ssan;Choi, Eun Kyung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33권2호
    • /
    • pp.89-97
    • /
    • 2015
  • Purpose: To evaluate the treatment results in early stage non-small cell lung cancer patients who have undergone fiducial-less CyberKnife radiosurgery (CKRS). Materials and Methods: From June 2011 to November 2013, 58 patients underwent CKRS at Asan Medical Center for stage I lung cancer. After excluding 14 patient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records of the remaining 44 patients. Al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SPSS ver. 21. Results: The median age at diagnosis was 75 years. Most patients had inoperable primary lung cancer with a poor pulmonary function test with comorbidity or old age. The clinical stage was IA in 30 patients (68.2%), IB in 14 (31.8%). The mean tumor size was 2.6 cm (range, 1.2 to 4.8 cm), and the tumor was smaller than 2 cm in 12 patients (27.3%). The radiation dose given was 48-60 Gy in 3-4 fractions. In a median follow-up of 23.1 months, local recurrence occurred in three patients (2-year local recurrence-free survival rate, 90.4%) and distant metastasis occurred in 13 patients. All patients tolerated the radiosurgery well, only two patients developing grade 3 dyspnea. The most common complications were radiation-induced fibrosis and pneumonitis. Eight patients died due to cancer progression. 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that fiducial-less CKRS shows comparable local tumor control and survival rates to those of LINAC-based SABR or CKRS with a fiducial marker. Thus, fiducial-less CKRS using Xsight lung tracking system can be effectively and safely performed for patients with medically inoperable stage I non-small cell lung cancer without any risk of procedure-related complication.

방골성 골육종의 임상결과 (Clinical Outcome of Parosteal Osteosarcoma)

  • 송원석;전대근;조완형;공창배;조상현;이광열;이수용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20-27
    • /
    • 2013
  • 목적: 방골성 골육종 환자의 치료 결과와 국소 재발 후의 결과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2명의 방골성 골육종 환자의 치료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평균 추시기간은 114개월(범위; 36-235개월)이었다. 22명 중 7명은 국소 재발 후에 전원 되었다. 병기는 17명에서 IB였고, 5명은 IIB (G2, 2명; 역분화, 3명)이었다. 종양의 위치는 대퇴골(11명), 기타 부위(11명)이었다. 최초 절제연은 광범위 절제연 10명, 변연 절제연 5명, 병소내 절제가 7명이었다. 여러 임상 및 병리인자와 국소 재발과의 연관성, 그리고 국소 재발 후의 임상 경과를 조사하였다. 결과: 10년 생존율은 85.7%이었다. 3명(14%)에서 원격 전이를 보였고 이들은 모두 사망하였다. 9명(41%)에서 국소 재발이 있었다. 종양의 위치, 절제 방법 및 절제연이 국소재발과 관련이 있었다. 국소 재발 후 수술 한 환자 9명 중 최종 추시 시 7명에서는 무병 상태였다. 결론: 방골성 골육종의 오진의 가능성이 높으며 특히 대퇴골 이외에 발생한 경우 오진이 많았다. 대부분의 재발성 종양에 대한 재 절제는 가능하나 공격적 성향을 보이며 재발한 경우에는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