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cal panel

검색결과 334건 처리시간 0.024초

글로벌 기업에 대한 환경보조금과 환경투자지출이 중국 기업의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Government Environmental Subsidies and Corporate Environmental Expenditure for Globalization on the Profitability of Chinese Firms)

  • 리원시;황이;김성환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2권3호
    • /
    • pp.175-192
    • /
    • 2021
  • Purpose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effects of government environmental subsidies and the globalization Chinese firms on their profitability using return on assets (ROA). Design/methodology/approach - In this study, a merged data including accounting, financial market, subsidization of the Chinese governments, local and the central, and export activities of 19,563 year-firms, for those listed on Shanghai Stock and Shenzhen Stock Exchange for 11 years from 2008 to 2018 is used. We collect subsidy data from RESSET database and financial data from CSMAR database. Then, we empirically test the test hypotheses using fixed effects models (FEM) separately and in a simultaneous equation model (SEM). Findings - Firstly, the globalization of Chinese firms has a negative impact on their profitability for some years after the year. Secondly, environmental subsidies just like other subsidies have ameliorating effects on financial performance for global firms. Such effects have lasted some years. Thirdly, environmental investments have a mostly negative impact on short- and long-term profitability for global firms. Lastly, the government's environmental subsidies in China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ir profitability for both global and domestic firms.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We can infer that environmental investments with the help of the governmental subsidies can help Chinese firms deploy global strategies to expand markets to surpass competitors in the long run despite worsening profitability in global markets in the short run.

지역사회 기반 초등학생용 기후변화교육 프로그램 분석틀 개발 (Development of an Analysis Framework for Climate Change Education Program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Based on Communities)

  • 손준호;김선영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87-102
    • /
    • 2023
  • 이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의 시민 강사 등이 지역사회 문제에 기반한 초등학생용 기후변화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반드시 포함해야 할 내용을 분석틀로 제안하는 것으로, 이 분석틀의 개발을 위해 현장 및 기후환경교육 전문가 24명에게 총 7번의 자문을 받았다. 최종 분석틀은 문항별 내용타당도는 I-CVI와 S-CVI 계수로, 전문가 패널 간 신뢰도는 Fleiss' Kappa 계수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최종 분석틀은 3개의 분석 영역(프로그램 목적 - 프로그램 내용 - 프로그램 평가)과 7개의 분석 항목, 7개의 분석 지표와 세부 설명으로 구분하여 개발했다. 특히 분석 지표에 대한 세부 설명란을 추가하여 내용타당도와 신뢰도를 높임으로써 객관적인 분석틀로서의 성격을 확고히 했다. 이 연구에서 제안한 지역사회 기반 초등학생용 기후변화교육 프로그램 분석틀이 체계적인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한국 미충족 의료 니즈 수준 및 발생 사유의 거주지역 간 격차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Exploring Regional Disparities in Unmet Healthcare Needs and Their Causes in South Korea: A Policy-Oriented Study)

  • 정우진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73-294
    • /
    • 2023
  • Background: Most developed countries are working to improve their universal health coverage systems. This study investigates regional disparities in unmet healthcare needs and their causes in South Korea. Additionally, it compares the unmet healthcare needs rate in South Korea with that of 33 European countries. Methods: The analysis incorporates information from 13,359 adults aged 19 or older, using data from the Korea Health Panel. The dependent variables encompass the experience of unmet healthcare needs and the three causes of occurrence: "burden of medical expenses," "time constraints," and "lack of care." The primary variable of interest is the region of residence, while control variables encompass 14 socio-demographic, health,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Multivariable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ccounting for the sampling design, is conducted. Results: The rate of unmet healthcare needs in Korea is 11.7% (95% confidence interval [CI], 11.0%-13.3%), which is approximately 30 times higher than that of Austria (0.4%). The causes of unmet healthcare needs, ranked in descending order, are "lack of care," "time constraints," and "burden of medical expenses." Predictive probabilities for experiencing unmet healthcare needs and each cause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regions. For instance, the probability of experiencing unmet healthcare needs due to "lack of care" is approximately 10 times higher in Gangwon-do (13.5%; 95% CI, 13.0%-14.1%) than in Busan (1.3%; 95% CI, 1.3%-1.4%). The probability due to "burden of medical expenses" is approximately 14 times higher in Seoul (4.1%; 95% CI, 3.6%-4.6%) compared to Jeollanam-do (0.3%; 95% CI, 0.2%-0.4%). Conclusion: Amid rapid sociodemographic transitions, South Korea must make significant efforts to alleviate unmet healthcare needs and the associated regional disparities. To effectively achieve this, it is recommended that South Korea involves the National Assembly in healthcare policy-making, while maintaining a centralized financing model and delegating healthcare planning and implementation to regional authorities for their local residents-similar to the approaches of the United Kingdom and France.

지방의료원 의료이익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An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Medical Operating Income at Regional Public Hospital)

  • 노진원;김정회;전희원;김정하;방효중;이해종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55-64
    • /
    • 2023
  • Background: Despite the various activities of the regional public hospitals, discussions are being made as to whether or not to continue due to the issue of financial deficit. Therefore, the main factors affecting the fiscal deficit were analyzed with 10-year data. Methods: This study is a panel analysis that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34 regional public hospitals and influencing factors on medical benefits for 10 years from 2010 to 2019. First, we analyze the determinants of medically vulnerable areas set by the government, analyze the trend of medical profit per 100 beds and medical profit rate from 2010 to 2019, and identify the factors that affect them. Results: Differences in medical profit per 100 beds and medical profit-to-medical profit rate were caused by market share representing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both indicators improved as the number of outpatients increased. The important influencing variables are the number of doctors and nurses, and both indicators improve when there are specialists, but medical benefits decrease as the number of doctors increases when judged by the number of people per 100 beds. In addition, the number of nurses per 100 beds does not contribute to medical profit and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medical profit ratio. Conclusion: As only regional characteristics were taken into account for medically vulnerable areas, operational characteristics need to be considered. The greatest impact on the finances of local medical centers is the proper staffing of doctors and nurses, and their efficient arrangement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financial stability.

미국 TANF 탈수급자의 실질 근로소득 추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end of Real Earnings for TANF Leavers)

  • 권혁창
    • 사회복지연구
    • /
    • 제42권4호
    • /
    • pp.137-163
    • /
    • 2011
  • 본 연구는 미국 TANF 탈수급자의 실질 근로소득 추이를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위스컨신 주 행정자료를 이용하여 1998년 TANF를 벗어난 탈수급자들을 7년 이상 (1998년~2005년) 추적하여 패널자료를 구성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이론적으로 본 연구는 실질임금의 주기론 (the cyclicality of real wage)의 입장에서 탈수급자들의 실질 근로소득 추이를 연구한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탈수급자들의 평균 실질 근로소득 수준은 전체적으로 탈수급 후 큰 변화를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탈수급자들의 실질 근로소득 분포를 분석하면 상당한 이동성(labor mobility)를 발견할 수 있으며 (탈수급 1년 후 실질임금의 분포와 5년 후 실질임금의 분포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다), 실질 근로소득의 상향이동성보다는 하향이동성이 상대적으로 많이 나타난다. 둘째, 패널자료분석의 결과는 탈수급자들의 실질 근로소득이 노동시장의 상황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민감도분석으로 탈수급 후 계속 고용되어 있는 탈수급자 집단을 분석하였는데, 탈수급자들의 실질 근로소득이 노동시장의 상황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는 결론을 지지한다. 이 연구는 취업우선전략 중심의 미국 공공부조개혁의 성과가 노동시장의 상황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는 데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탈수급자의 경제적 안정에 노동시장의 상황이라는 맥락이 중요하며, 따라서 적절한 노동수요 정책의 필요성이 동시에 고려되어야 한다는 정책적 함의를 지닌다.

초등학교 1~4학년의 자아존중감 변화궤적 및 잠재계층유형 (Elementary School Children's Trajectories of Self-Esteem in Grades 1 through 4)

  • 고슬기;김상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581-587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1~4학년의 자아존중감 변화궤적 및 잠재계층유형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8~11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여 잠재성장모형과 잠재계층성장분석을 실시했다. 먼저 잠재성장모형을 통해 분석한 결과, 가장 적합한 모형으로 선형변화모형이 채택되었으며 변화궤적은 학년이 높아짐에 따라 미세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잠재계층성장분석을 통해 총 4개의 잠재계층 집단('고수준-유지', '저수준-증가', '고수준-감소', '저수준-유지')이 도출됐다. 집단별 분포를 살펴보면, 대부분의 아동은 '고수준-유지' 집단이었고, 다음으로 '고수준-감소', '저수준-증가', '저수준-유지' 집단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에 연구자들은 교육현장에서 초등학교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상이한 잠재계층유형을 통해 변화할 수 있음을 인식할 필요가 있으며, 나아가 각 유형에 적합한 개별화된 지원을 제공하는 것이 요구됨을 제안한다.

가족돌봄휴직·휴가제도가 여성관리자의 일·가정 양립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Family Care Leave and Vacation Systems on Work-Family Balance of Female Managers)

  • 정여진;권순범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7권4호
    • /
    • pp.35-47
    • /
    • 2023
  • 본 연구는 2019년 개정 및 신설된 가족돌봄휴직·휴가제도가 여성관리자의 일·가정 양립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제도의 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20년 여성관리자패널 자료 중 제도 사용경험이 있는 유배우 여성관리자 1,040명을 분석대상으로 삼아 성향점수매칭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성향점수매칭 결과, 가족돌봄휴직 사용자 집단의 가족돌봄시간은 미사용자 집단보다 유의하게 적었고, 사용자 집단의 일·가정 갈등 수준과 가정·일 갈등 수준도 미사용자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가족돌봄휴가의 경우 사용자 집단의 조직형태가 국가/지방자치단체인 경우가 미사용자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가족돌봄휴직 사용 경험이 가정·일 갈등에 미치는 정적 영향이 유의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현행 가족돌봄휴직·휴가제도가 일·가정 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에는 부족하다는 것을 시사하며, 지속적인 정책효과 검증을 통해 정책을 수정·보완해 나가야 함을 뜻한다.

Classification of elderly households based on diet-related style and analysis of their characteristics

  • Haewoon Oh;Uhn-Soon Gim
    • 농업과학연구
    • /
    • 제49권4호
    • /
    • pp.1015-1031
    • /
    • 2022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classify the types of elderly households and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dietary lifestyle. Panel data surveyed by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KREI) for Food Purchase Attitudes over three years (2019 - 2021) were utilized for the analysis. Through a factor analysis, five common factors were extracted out of 19 basic variables related to dietary style, which indicate two kinds of consumer competency index (safe diet, traditional diet) and three kinds of purchase frequency (healthy food, meat & fish, fresh seafood). Applying the cluster analysis method, by using socioeconomic variables along the five common factors, elderly households aged 60 or older were grouped into four types. As a result, Type 1 elderly households accounted for 50.8%, Type 2 for 16.2%, Type 3 for 27.8%, and Type 4 for 5.2% out of all 870 elderly households. Type 1 is characterized as a low-income vulnerable class with a poor diet, Type 2 as a middle-income class with a healthy food-oriented diet, whereas Type 3 was classified as a middle-income class with a meat-oriented diet, and Type 4 as a high-income class with diverse dietary culture.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agri-food voucher pilot project to the entire country and also increase the monthly subsidy for the Type 1 elderly households. Implementing community kitchen projects for elderly single-person households, promoting senior internships by providing incentives to companies that employ retirees, the provision of education by local governments on a safe and balanced diet for Types 2 and 3, and the promotion of an elderly-friendly social environment are also recommended.

자료포락분석기법을 이용한 도시철도 운영기관의 효율성 분석 (Analyzing the Efficiency of Korean Rail Transit Properties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 김민정;김성수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13-132
    • /
    • 2003
  • 본 연구는 강처분성의 가변수익규모 및 비방사적 자료포락분석기법을 이용해 조직유형이 다른 도시철도 운영기관인 서울시지하철공사(지방공기업)와 철도청의 수도권 전철부문(정부부처형 공기업) 및 부산교통공단(국가공단)의 연도별 생산적, 기술적 및 배분적 효율성 값을 추정한 다음, 이들 값에서 토빗회귀식의 추정결과를 이용해 조직유형과 궤도가동률과 같은 외부 요인들의 영향을 제함으로써 내부 요인인 생산활동만의 영향이 반영된 순생산적, 순기술적 및 순배분적 효율성 값을 구하였다. 또한 토빗회귀식의 추정결과로부터 세 도시철도 운영기관들의 조직효율성과 연도별 총효율성 값을 구하였다. 이 때 토시철도 운영기관은 노동, 전력, 전동차 및 유지보수와 궤도(또는 자본) 요소를 투입하여 전동차-km를 생산하는 기업형태로 상정되었으며, 분석에는 세 운영기관의 연도별 자료로 구축된 불균형통합자료가 사용되었다. 자료포락분석의 결과 생산적 효율성과 배분적 효율성은 평균적으로 서울시지하철공사가 가장 높은 반면, 기술적 효율성은 철도청의 수도권 전철부문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생산활동만을 대상으로 추정된 순생산적 효율성과 순배분적 효율성은 오히려 부산교통공단이 가장 높은 반면, 순기술적 효율성은 철도청의 수도권 전철부문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순효율성들의 경우 외부 요인들의 영향이 배제됨에 따라 세 운영기관들의 차이는 상당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조직효율성의 경우 비용을 극소화하는 조직유형은 지방공기업인 서울시지하철공사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조직효율성과 순생산적 효율성을 합한 총 효율성도 평균적으로 서울시지하철공사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도시철도 운영기관들의 경영상태에 대한 공정한 평가를 위해 외부 요인의 영향을 배제하는 방안의 시행과 기존 또는 신설될 도시철도 운영기관의 비용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지방공기업 또는 공단으로의 조직유형 개편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토지이용균형모델을 이용한 기후변화에 따른 제주도 지역의 주거용 토지이용변화와 인구 밀도 예측 (Analyzing Residential Land Use Change and Population Density Considering Climate Change Using Land Use Equilibrium Model in Jeju)

  • 유소민;이우균;야마가타 요시키;임철희;송철호;최현아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3-58
    • /
    • 2015
  • 급격한 경제 성장과 인구 증가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급증시키고 있으며 이는 기후변화를 가속화시키고 있다.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보고서는 온실가스가 2000년부터 2030년까지 최대 90%까지 증가할 것이라고 보고하고 있다. 이에 전 세계에서는 기후변화에 대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기후변화 적응과 완화 대책 수립이 중요시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기후변화 대응 정책으로'저탄소 녹색성장(Low Carbon Green Growth)'을 시행하였다. 지자체에서는 친환경적이며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도시계획을 조성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를 수행해왔다. 특히, 기후변화에 가장 크게 영향을 줄 수 있는 토지이용변화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수행되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를 대상으로 경제적, 지리적 특성을 기반한 토지이용 균형 모델을 적용하여 주거 토지이용변화와 인구 밀도를 예측하였다. 먼저, 주거부분의 토지이용변화를 보기 위해, 3가지 유형의 시나리오를 구축하였다. 시나리오는 현재와 동일한 환경을 갖는 Dispersion 시나리오, 기후변화 적응 대책을 반영한 Adaptation 시나리오, 기후변화 적응과 완화 대책을 동시에 반영한 Combined 시나리오이다. 그 결과, 전반적으로 Dispersion 시나리오에서 Combined 시나리오로 갈수록 주거면적과 인구밀도가 줄어들었다. 이후 주거면적과 인구밀도 결과를 통해 시나리오별 주거용 에너지 소비량과 예상 인명 피해액을 산정하였다. 그 결과, 전반적으로 Dispersion 시나리오에서 Combined 시나리오로 갈수록 에너지 소비량과 예상 인명 피해액은 줄어들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토지이용균형모델을 적용하여 시나리오별 주거부분 토지이용과 인구 밀도 변화 파악은 향후 기후변화 안정성을 확보하고 완화할 수 있는 환경적 도시계획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