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cal integrated coastal management plan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2초

연안통합관리계획의 효과적 실행을 위한 지역 Network 시범모델 연구 (Constructing A Local Network for Effective Implementation of Integrated Coastal Management)

  • 이대인;조현서;조은일;이영철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44-52
    • /
    • 2007
  • 국가단위의 연안통합관리계획과 각 지역별 연안관리지역계획의 효율적 실행을 위한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본 논문은 연안에 대한 지자체 지역주민 민간단체 전문가 집단간의 네트워크를 통한 연안통합관리의 실행방안을 연구하였다. 해외의 사례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양식장이 밀집되어 해양환경의 보전이 절실히 요망될 뿐만 아니라, 지역경제와 산업의 요구로 매립 등 해양환경을 훼손할 가능성이 큰 개발활동이 계획되는 등 이용행위간 상충적인 대립이 존재할 가능성이 크고, 한편으로 다양한 해양 및 환경 관련 단체들이 활발한 역할을 하고 있는 중소도시인 여수지역을 시범모델지역으로 선정하여 지역네트워크의 구성과정과 필요사항을 제시하였다. 대상지역에 대한 연안의 문제점과 이용실태, 지역 해양수산관련 업계 및 환경단체 인력과 활동 상황 파악, 연안관리 인적 네트워크 구성방안과 모델 개발, 외국의 연안관리 참여제도 조사 및 국내 도입방안, 해양산업 및 환경보호 활동기관 단체들과의 연대방안, 주민 참여 확대 방안과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의 지원 방안 등이 검토/연구되었다. 여수지역에서 실제적으로 관련 네트워크를 창립하여 운영하는 중에 활동자금의 조달, 중앙정부와 지자체와의 관계에서 네트워크의 지위와 안정적 장치의 미확보로 실효성과 구속력이 약한 문제 등이 제기되었다. 네트워크의 활성화 및 효율성을 위해서는 캐나다의 ACAP (Atlantic Coastal Action Program)와 같이, 지역조정담당을 선정하여, 일정한 보수를 제공하고, 계획 수립에 전념할 수 있는 사무실 환경을 제공하는 등의 벤치마킹이 필요한 것으로 검토되었다. 이러한 지역 네트워크의 구축사례는 효율적 연안관리와 정책조율을 통한 정부의 정책 입안에 이바지할 것이다.

  • PDF

연안통합관리를 통한 시화호 간척지의 지속가능한 개발 (Sustainable Development of Reclaimed Area in Lake Shihwa by Integrated Coastal Management)

  • 강성현;김은희;구본주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93-106
    • /
    • 2005
  • 본 논문은 시화호 간척지의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하여 이해당사자들이 의사결정과정에 참여하기 위한 체제와 구조, 그리고 절차를 개발하고자 시화호 유역에서 연안통합관리를 시행하는 과정에서 얻어진 문제점과 한계에 관하여 논하였다. 수질개선과 환경복원을 위해 2001년 수립된 시화호 종합관리계획의 시행평가를 통해 통합관리계획의 수립과 시행간의 격차를 감소시키기 위한 유용한 지침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시화호 간척지의 토지이용방식에 대한 이해당사자간 갈등을 해소하는 것은 이 지역의 연안통합관리에 가장 중요한 문제 중의 하나이다. 이를 위해서는 과학적인 평가를 통한 의사결정지원도구와 이해당사자의 관리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

  • PDF

국토공간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연안통합관리체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Integrated Coastal Zone Management System for Efficient Use of National Land)

  • 이길재;이주형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2권5호
    • /
    • pp.99-107
    • /
    • 2014
  • 연안관리 계획은 연안을 이용방향에 따라 4개의 구역으로 분류하도록 하고 있는데, 각 구역별 연안이용행위의 금지 및 지원사항을 정하도록 하고 있다. 연안구역을 설정할 경우 해당지역이 국토이용계획 및 도시계획에 따라 지역 및 지구로 이미 지정되어 있어 추가적인 구역 설정시 이 같은 점이 중요한 검토기준이 되기도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상충되는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따라서, 연안관리에 있어서의 범위와 이용구역의 설정에 대한 검토 요소를 분석하고, 기존의 지역 지구지정 현황과의 상충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인 연안관리를 위해 해양에서의 해양공간계획과 토지에서 활용되는 도시계획제도와 지적제도를 활용하여 연안지역을 등록 관리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 국토이용계획, 해양공간계획 등을 종합한 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별도의 협의체 기관 검토, 다른 개별법이 정하고 있는 각종 구역 지역의 지정 상충 검토, 연안해역의 범위 설정(3해리 내), 연안등록 방안 및 등록 대상 등을 모색하였다.

연안도시 풍수해 관리체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ing the Storm and Wind Damage Management System of Coastal Cities)

  • 오상백;이한석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09-218
    • /
    • 2019
  • 연안도시는 내륙도시보다 태풍이나 해일 등에 의한 풍수해가 크며 도시마다 풍수해 특성이 서로 다르다. 그래서 연안도시는 풍수해 특성을 고려하여 풍수해 유형별 그리고 지역별 특성에 적합한 풍수해 관리체계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관리, 연안관리, 재해관리 측면에서 우리나라 풍수해 관리체계 현황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미국과 일본 풍수해 관리체계를 검토한 후 연안도시 특성에 적합한 풍수해 관리체계 개선방안을 제안한다. 연구결과로서 도시관리 측면에서 방재지구 대상지 선정 의무화, 연안도시통합관리계획 수립,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를 방재지구로 지정, 방재지구를 풍해방재지구 수해방재지구 침식방재지구로 세분화, 방재지구 내 건축제한을 조례로 지정 등을 제안한다. 연안관리 측면에서 연안침식관리구역 지정권을 지자체장에게 위임, 연안침식관리구역은 연안침식심각구역 연안침식진행구역 연안침식발생우려지역으로 세분화, 연안침식관리구역의 건축제한을 조례로 결정, 연안도시 침식예상도 작성 등을 제안한다. 재해관리 측면에서 "자연재해대책법"과 "재난및안전관리기본법"의 통합, 지자체 주도 방재체계로 전환, 지역단위 재해관리네트워크 구축, 맞춤형 지역방재계획 수립 등을 제안한다.

지자체 도시기본계획의 홍수예방정책 평가: 미국 플로리다 사례를 중심으로 (An Assessment of Flood Mitigation Policies Integrated in Local Comprehensive Plans: The Case of Florida in the United States)

  • 강정은
    • 환경정책연구
    • /
    • 제11권4호
    • /
    • pp.59-84
    • /
    • 2012
  • 계획가들은 지자체가 기후변화로 심화되고 있는 홍수에 대해 더욱 관심을 가지고 적절한 홍수예방정책을 도시계획에 통합하고 반영한다면 홍수피해를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믿고 있다. 이러한 계획가들의 생각을 검증하기 위한 첫 번째 단계로 지자체 도시기본계획에 채택된 홍수예방정책들의 종류와 수준을 계획평가 방법론을 활용하여 평가하였다. 주요 홍수예방정책들로 구성된 프로토콜을 바탕으로 플로리다 53개 지자체 도시기본계획이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도시별로 도시기본계획에서 채택한 수해예방정책의 종류와 수준이 상당히 다양함을 보였다. 플로리다에서는 홍수터의 토지이용 규제, 습지개발허가제 등 토지이용규제를 활용한 홍수예방정책들이 폭넓은 동의를 얻어 활용되고 있는데 반해, 취약지에 대한 토지수용, 인센티브를 활용한 홍수예방정책들은 자주 채택되고 있지 않았다. 또한 해안가 도시들이 내륙도시보다는 도시계획을 통한 홍수예방에 훨씬 더 높은 관심을 보였다. 연구대상인 53개 계획의 평가점수는 평균 38.55로, 획득가능한 점수의 약 35.69%에 해당하여 여전히 지자체 차원에서 다양한 홍수예방정책이 수립되고 활용되고 있지 않으며 이러한 결과는 앞으로 더 많은 관심과 개선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활용된 계획평가의 개념과 방법론은 기존계획의 수준을 평가하거나, 새로운 정책이나 계획을 준비하는데 유용한 틀을 제공하므로 우리나라에서도 다양한 환경, 재해 이슈에 적용할 수 있다.

  • PDF

생태경관자원 활용을 고려한 신안군 경관기본계획 (Visual Landscape Plan for Shinan Province with Ecological Landscape Resources)

  • 주신하;윤희재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32-43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visual landscape plan for Shinan province with ecological landscape resources, which is comprised of more than 1,000 islands. The plan was done by the order of image plan, landscape structure plan and detained landscape plan. The image of Shinan province was elicited as 'nature', 'complexity' and 'connectivity', by the aspects of planning, cognitive and strategic sides. The landscape zones are planned, such as leisure zone, rural & marine ecological zone and marine tourism zone, and the landscape axes are also set, such as marine axis, ecological axis and circular axis. Especially to conserve the ecological resources, some conservation zones are proposed and design guidelines for each landscape type are also provided, which are not commonly included in the urban landscape plan. Consequently, the landscape plan and ecological environmental plan were complementary to each other. In the detailed landscape plan, more specific plans and design guidelines are suggested for coastal scenery, village and forest scenery,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 management and promotion. To improve the visual landscape in terms of planning and administrative aspects, the visual landscape plan has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for the local governments. The establishment of visual landscape plan may hopefully help to make Shinan province more beautiful and attractive. The landscape plan and ecological environment plan should be integrated, and the further discussion and research are necessary.

Local activation using traditional knowledge and ecological resources of Korean islands

  • Hong, Sun-Kee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8권2호
    • /
    • pp.263-269
    • /
    • 2015
  • When we consider changes in agro-fishery systems instigated by environmental changes in islands, rise in sea levels, and natural disasters such as tsunamis, there is an urgent need to carry out initiatives to enhance life standard and conserve ecosystem in island and coastal regions. To protect the region's landscape from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ecosystem conservation, human settlements, and the local economy. This paper discusses the outline of a preliminary national plan for a sustainable island management system for remote (inhabited and uninhabited) islands in Korea. Two main ideas to enhance life standard are adapting to the natural environment by applying traditional knowledge and utilizing ecological resources of islands, i.e.,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and creating added value. As a technique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the establishment of eco-villages based on energy-efficient passive houses and ecological welfare is suggested. Another technique for creating added value, the development of sea-farming islands that utilize islands' new recyclable energy is also proposed. Finally, the suggested ideas are discussed in relation to island ecotourism and carbon zero islan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