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cal foods

검색결과 278건 처리시간 0.03초

향토음식의 인지도와 기호도 및 소비행동에 관한 연구 - 경주지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onsumer Awareness, Preference, and Consumption Behavior Regarding Local Food - Focusing on Gyeongju Area -)

  • 장순옥;우이식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54-170
    • /
    • 2015
  • 경주에 거주하는 시민을 대상으로 향토음식에 대한 실태조사를 통하여 특색 있는 음식으로 발전시켜서, 문화적 우수성을 널리 알릴 필요성이 있으며 경주지역 향토음식의 조사 빛 발굴을 통해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한류열풍 및 세계화에 발맞추어 경주의 향토음식의 문화적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우리의 소중한 자산을 계승 발전시켜 나가는 향토음식의 기초자료로 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274명의 경주시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21.0)을 이용하여 통계분석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환경요인은 빈도와 백분율, 평균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인지도와 기호도는 평균 및 표준편차 등의 기술통계량분석, 교차분석을 실시하였고, 성별에 따른 유의검증은 t-test로 하였다. 경주향토음식에 대한 결혼 여부에 따른 인지도에서는 잔치국수가 가장 높은 인지도를 나타냈으며, 기호도에서는 전복죽이었다. 향토음식을 대중화하기 위해서는 모두 청결 및 위생상태의 개선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향토음식의 대중화에 대한 만족도에서는 모두에서 전통적인 조리법의 전수에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토음식의 품질속성에 대하여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항으로는 음식의 위생상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향토음식을 발굴 홍보하고 향토음식점을 개설하여 지역주민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향토음식을 계승발전시켜야 하는 이유로는 기혼, 미혼 모두 식생활문화계승이 높게 나타났으며, 향토음식을 세계적 음식으로 발전하기 위해서 중요한 사항으로는 맛이 좋아야 한다가 기혼이 맛이 가장 중요하다고 하였다. 향토음식을 대중화시키기 위한 필수사항으로는 기혼은 옛 맛을 재현하여야 한다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향토음식을 선택할 때 가장 중요한 기준으로는 미혼, 기혼 모두 맛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담양권 대나무 이용 향토음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developing traditional foods with bamboo in Damyang)

  • 신길만;홍철희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243-261
    • /
    • 2000
  • Damyang is famous for the bamboo and various foods. It is urgently needed that native foods in this area are studied and modernized. Developing new foods and redeveloping local economy. Bamboo shoots can be raw materials for kimchi, canned goods, salted goods, Korean cookies, bread, tea, beverage, and so on. This study aims to invent new traditional foods using local product such as bamboo shoots will contribute to boost the recipe. to explore the new method of production and to modernize the traditional dishes. In the final analysis, economic and cultural consideration would be attached in this study.

  • PDF

향토음식의 학교급식 적용 활성화를 위한 초등학생의 향토음식 섭취 빈도 및 견해 조사 -경상도과 전라도 지역의 비교를 중심으로-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take Frequency and Opinions Regarding Native Local Foods in School Foodservice -Focus on Regional Comparison of Gyeongsang-do and Jeolla-do-)

  • 황혜인;김현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275-28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향토음식의 학교급식 적용 활성화를 위한 기초 자료로써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향토음식에 대한 평소 섭취 빈도와 학교급식에서의 향토음식 제공에 대한 견해를 조사하고자 하였으며, 경상도와 전라도의 지역 간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전라도지역 일부 소재 초등학생 261명과 경상도지역 일부 소재 초등학생 25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향토음식의 평소 섭취 빈도를 비교한 결과, 경상도 향토 음식의 평소 섭취 빈도는 경상도와 전라도의 지역 간 차이가 있어(P<0.01) 경상도지역 초등학생이 전라도지역 초등학생보다 경상도 향토음식을 더 자주 섭취하고 있었으며, 미역찹쌀수제비(P<0.05), 배추전(P<0.05), 애호박죽(P<0.05)의 3개 음식에서 지역 간의 차이를 보였다. 하지만 전라도 향토 음식의 경우 경상도와 전라도의 지역 간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둘째, 학교급식에서의 향토음식 제공에 대한 견해에 대해 경상도와 전라도 지역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향토음식에 대한 관심도는 지역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학교급식에서 향토음식 제공에 대한 의견은 지역 간에 유의적 차이를 보여(P<0.01), 학교급식에서 향토음식이 제공되는 것에 대해 경상도지역 초등학생이 전라도지역 초등학생보다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학교급식에서의 향토 음식의 바람직한 제공 빈도 항목은 '현재수준보다 줄여야 한다' 40명(7.8%), '현재 수준을 유지한다' 332명(64.5%), '현재 수준보다 늘여야 한다' 143명(27.8%)으로 조사되어 현재 수준을 유지하는 것에 대해 가장 많은 응답을 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근거로 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향토음식에 대한 섭취 빈도가 매우 낮은 수준으로 향후 초등학생들에게 학교급식뿐만 아니라 외식 및 가정의 다양한 환경에서 향토음식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도록 다각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둘째, 향후 학교급식에서 향토음식들을 바탕으로 다양한 학교급식메뉴의 개발 및 활용이 이루어짐으로 인해 향토음식에 대한 친밀도와 인식을 높이고 궁극적으로는 향토음식을 계승 발전해 나아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셋째, 향토음식에 대한 섭취 빈도와 학교급식에서 향토음식 제공에 대한 견해에서 경상도와 전라도 간의 지역적 차이가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지역적 차이 없이 다양한 향토음식을 경험하고 폭넓게 인식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회를 제공하는 것 또한 필요하다 하겠다. 동시에 이러한 지역적 차이의 원인에 대한 다각적 측면에서의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본 연구는 편의표본추출법에 의하여 표본을 선정하였다는 제약점이 있으므로 향후 좀 더 다양한 지역의 좀 더 많은 표본을 대상으로 향토음식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다섯째, 본 연구에서는 단체급식 적용을 전제로 하여 적용 가능한 경상도 향토음식 10가지와 전라도 향토음식 10가지에 대하여 조사하였는데, 향후 향토음식을 주메뉴와 찬류로 구분하여 좀 더 많은 수의 다양한 향토음식의 적용을 위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제주향토음식 메뉴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oking Characteristics of Cheju′s Local Food)

  • 오혁수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31-148
    • /
    • 1999
  • Cheju's local foods are various but Island being geographically surrounded by water, sea-foods play a greater part in the diet that is quite different from the mainland Most of dishes are prepared from local foods and the marine products. That traditional food that have been developed through the lifestyle are now becoming the great interest to both foreign and domestic guests. In this research, we have concluded that developing a cheju's traditional food manu and local manu cooking method. 1. Improvement of cooking method. - development of cheju's traditional Food material and spice. 2. Use not raw fish - boiling, grilling, frying 3. Improvement of cheju's local Food's name. 4. Use the only Boneless fish. 5. taste reformation of Fermentation Food - Masking the TMA etc. 6. Use the many Spice in local food.

  • PDF

향토음식의 기호도 및 속성에 대한 차이 연구 - 부산지역 대학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ifference in Preference and Property of Native Local Foods - Focusing on University Students in Busan Area -)

  • 박경태;백종온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61-72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preference and property of native local foods among students living in Busan. It concentrated on the students who were majored in food service in five universities in Busan. From September 1st to 30th, 2007, 300 copies of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and 260 returned were included in the statistics. The statistics was conducted by frequency analysis, T-test(average deviation verification), technical analysis and one way ANOVA for an accurate result of the study.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Gayamilmyeon(M=4.42) showed the most preference for 25 native local foods of Busan(sansungmakgeoli, dongraepajeon, steamed carp, catfish soup, corbicula soup, roasted eel, gijang raw hairtail, dongrae mugwort cake, sansung roasted goat, gijangkkomjangeo, steamed frogfish, duck dish, guponoodles, gayamilmyeon, sliced raw fish, molsim hot-pepper fish stew, hairtail stew, anchovy stew, miyeoksulchi, gompi salted dish, salted raw anchovy dish, roasted kkomjaneo, salted sliced persimmon dish, salted bean leave dish, kkasiri soup).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Miyeoksulchi(M=2.66) showed the least preference among the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property of native local foods, it was present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statistical analysis by sex but significant difference in taste, quantity, service, price, freshness, sanitation, packing condition and originality, etc by age, department, academic year, type of residence, family member, living period in Busan and monthly spending. It was considered to conduct a more in-depth study to promote native local foods and interest in the food of Busan in university students.

  • PDF

Applying a New Process for Local Food Menu Development in Gimpo

  • Han, Kyung-Soo;Lee, Jin;Kim, In-Hwa
    • Food Quality and Culture
    • /
    • 제2권2호
    • /
    • pp.73-79
    • /
    • 2008
  • Recently, increasing interests in local foods have been highlighted along with active efforts and activities from autonomy organizations to develop local cultures and promote local economies by generating value added products and profits through the development of local foods. Subsequently, useful effects might result by making local foods attractive to tourists, such as by using indigenous Gimpo products to make menu items that incorporate the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aspects of the Gimpo area, and contributing to its food culture, the development and use of its indigenous products, and promoting local restaurant businesses, etc. The items of the survey used to select the local food menu items to be developed were limited to ideas offered by expert groups, and were implemented by a new menu development process. In order to derive the menu items to develop, the following method was applied: a brainstorming session with experts to generate and draft ideas, a questionnaire to chefs and cooks in special grade hotels is Seoul to select the menu items to develop from those drafted, and sensory evaluations by experts to evaluate the developed items. Frequency analysis and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12.0 program package, where 13 kinds of local foods were ultimately developed using indigenous products of Gimpo. The developed local food menu items were rice & grape sujaebi, grape sikhae, fried rice embryo bud, grape yanggaeng, rice pancakes, rice spaghetti, grape seed oil dressing, grape sauce, rice pizza, grape pie, rice & grape ice cream, grape chocolate, and rice roll cakes.

  • PDF

원주의 향토 음식 발굴 및 인지도에 관한 연구 - 원주시민과 조리인을 대상으로 - (A study on Discover and Perception of the Native Local Foods in Wonju Region - Comparison between Residents and Cooks -)

  • 송병춘;한경선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65-378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have a proper understanding, to have a concern about native local foods and to discover unknown them in Wonju. The data was obtained by use of questionaries to residents(1977 persons) and cook(172 persons) in Wonju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acquired using SPSS program. To turn out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eneral conditions and each groups t-test and F-test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urvey had briefly summarized as follows 1. The results were total 99 kinds of food revealed as a native local foods and 9 kinds of the special products of Wonju. 2. The main materials were potato, com, buckwheat, acorn, pheasant, mushroom, arrowroot, and wild edible greens. 3. The local foods in Wonju were formed with it's own natural material and cooked by original cooking method. 4. The highest perceptional score items were the hot Tang(Hwangtaehaejangguk, Chueotang, Oritang, Gamjatang, Minmulmaeuntang, Tojongdakbaeksuk, Hwanggibaeksuk, Eomnamusamgyetang), and the Bap(Bibimbap, Ssambap, Sanchae-jeongsik) and the noodles(Potato sujebi, Dongchimimakhukso, Olchaengiguksu, Jangsujebi, arrowroot noodle,Gamjaongsimi).

광주.전남지역의 주요 특산식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Major Local Foods in Gwangju.Jeonam Area)

  • 김정옥;최차란;신말식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327-339
    • /
    • 2006
  •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음식문화 주요 식품 재료의 종류를 확인하기 위하여 각 시군의 특산물을 농산물, 수산물, 축산물, 기타로 구분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현재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의 특산물 중 농산물 51종, 수산물 50종, 축산물 6종, 기타 특산물 17종으로 총 124종 선정되어 있었다. 이 지역의 특산물 중에서 쌀, 오이, 배, 멸치, 굴, 김, 느타리버섯, 표고버섯 등은 여러 지역에서 특산물로 선정되어 있었다. 무등산수박, 무화과, 연어, 숭어, 메기 등의 특산물은 이들의 생산에 적합한 지리적 조건을 가진 지역에서만 생산되고 있었다. 농산물 중 밤호박, 파프리카, 키위, 벨론 등은 최근에 이 지역에서 재배하기 시작하였다. 수산물, 버섯류, 산채류는 자연산은 감소하는 반면 양식이나 인공재배가 증가하고 있었으며, 농산물과 축산물의 브랜드화도 급속히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이 지역의 음식문화와 관련된 식재료의 수급과 선택 가능성에 영향을 주는 특산물의 종류와 생산량이 환경오염과 국토개발 등 자연환경의 변화, 소비자의 기호변화, 건강에 대한 관심의 증가, 재배기술의 발달, 수산양식의 발달, 새로운 품종의 도입 등 여러가지 요인에 의하여 변화되고 있었다. 즉, 이 지역에서 식재료로 이용될 수 있는 다양한 농수산물이 생산되고 있으며, 음식문화가 계속 변화되어 가고 있음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남해군의 전통 향토 음식 발굴 및 전승에 관한 연구 - 생선국 및 탕의 조리법과 영양 성분 - (A Study on Excavation and Transmission of Native Local Foods in the Namhae Region - Recipes and Nutrients of Various Fish Soups -)

  • 김정숙;김상애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47-58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succeed local foods such as Yangte miyuck-gook, Getjango-tang, Boongjango-gook, Sook doenjang-gook, Mulmegi-gook and Mukjang-gook in the Namhae region. To derive standardized recipes; first, a test recipe was prepared based on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literature material, personal interviews of Namhae natives, and surveys of restaurant recipes through restaurant owners and chefs in the Namhae area. After that, standardized recipes were made in accordance with the collected data. Then, CAN Program 2.0 was used for the nutritional evaluation. Most of these fish soups contained high percentages of protein, minerals and vitamins. Getjango-tang and boongjango-gook were higher than the other foods in most of nutrition contents, which were particularly good sources of calcium and iron.

  • PDF

소비자의 지식이 향토음식 스토리텔링에 의한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onsumers' Knowledge on Their Behavioral intentions By the Storytelling about the Local Food)

  • 송영애;전기흥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118-127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지식 수준에 따른 향토음식 스토리텔링에 의한 행동의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지금까지 우리나라 각 지역의 전통적인 식문화를 담고 있는 향토음식과 관련된 스토리텔링 연구를 살펴보면 대부분의 연구가 음식 스토리텔링의 필요성 제기, 음식 스토리의 소재 발굴, 미식 관광을 위한 스토리텔링의 중요성에 대한 연구에 머무르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향토음식 스토리텔링이 소비자의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향토음식과 관련된 지식에 기초하여 스토리텔링의 속성과 향토음식의 구매지역을 조절변수로 두었다. 나아가 지식의 정도가 낮으며, 구매지역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소비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스토리텔링의 속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각 지역을 대표하는 향토음식의 스토리텔링을 발굴 또는 창작할 경우 향토음식의 문화적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는 스토리텔링 개발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