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ad transfer curves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26초

강관 매입말뚝의 주면 하중전이 곡선(t-z) 제안 (Proposed Shear Load-transfer Curves for Prebored and Precast Steel Piles)

  • 김도현;박종전;장용채;정상섬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4권12호
    • /
    • pp.43-58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매입말뚝 주면부의 하중전이 거동을 확인하기 위하여 14본의 강관매입말뚝에 대한 정재하시험을 수행하였다. 정재하시험을 통하여 하중-침하 곡선 및 축하중 분포를 계측하였으며, 그 결과 말뚝-지반 사이에서 발생되는 주면마찰력을 정량화 하였다. 이를 토대로 강관매입말뚝의 일반적인 하중전이곡선 형태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 말뚝의 주면하중전이 거동은 연성과 취성파괴 두 가지 형태로 나타났다. 그 결과, 강관매입말뚝의 t-z 곡선을 쌍곡선(일수현상이 없는 경우)과 톱니 형태(일수현상이 있는 경우 또는 표준관입저항치, $N{\geq}50$인 풍화암 이상)로 각각 제안하였다. 그때의 최대주면마찰력은 쌍곡선의 경우 지반의 N치 또는 암반의 일축압축강도, 톱니 형태의 경우 주입된 시멘트풀에 의해 형성된 쏘일-시멘트층의 일축압축강도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타입강관말뚝의 토질별 하중전이곡선 도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oad Transfer Curves of the Driven Steel Pipe Piles by Soil)

  • 임종석;최용규;심종선;박종희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5권9호
    • /
    • pp.29-43
    • /
    • 2009
  • 전산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좀 더 복잡하고 반복적인 계산을 쉽게 수행할 수 있게 됨으로써 하중전이곡선을 이용한 하중전이해석법이 널리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도 하중전이해석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하중전이해석법에서 사용되는 곡선들은 대부분 외국에서 개발된 곡선들로서 국내지반에서의 적용성 여부는 확실치 않다. 본 연구에서는 타입강관말뚝의 하중전이곡선을 도출하기 위하여 국내 9곳의 현장재하시험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이들을 분석하여 사질토와 점성토에 대하여 각각 $f/f_{max}$-w/D 곡선의 평균선을 구하였으며 각 곡선을 쌍곡선함수로 나타내었다. 그리고 이 곡선의 적용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이 곡선을 이용한 결과와 말뚝해석 프로그램인 TZPILE 2.0을 이용한 결과를 국내 3현장의 재하시험결과와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일반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적용하여 얻은 하중-침하량 관계가 기존의 TZPILE 2.0으로 얻은 관계보다 비교적 실측값에 가까운 경향을 보였으며 보수적으로 나타났다.

축하중 재하말뚝의 하중전이 거동에 대한 수치해석 (A Numerical Analysis of Load Transfer Behavior of Axially Loaded Piles)

  • 오세붕;최용규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14권2호
    • /
    • pp.93-106
    • /
    • 1998
  • 축하중 재하시 실제 강관말뚝의 거동을 API 하중전이 곡선을 이용한 유한차분해석과 FLAC 프로그램을 이용한 수치해석으로 분석하였다. 실험적으로 계측한 말뚝두부의 하중-변위 관계와 깊이에 따른 축하중 분포를 적합하게 예측할 수 있었다. 특히, FLAC 프로그램 해석결과에서는 하중 제거시 매립층에서 응력 경로가 파괴 포락선 상에서 발생하여 비선형적인 하중-변위 관계를 매우 유터사하게 예측할 수 있었다. 또한 FLAC 프로그램 해석결과 및 API 규준에 따른 하중전이 관계를 실험결과와 비교하여, 말뚝-지반간 전이거동을 분석하였다. 사례연구를 통하여 API 하중전이관계를 이용한 유한차분해석이나 FLAC 프로그램을 이용한 수치해석으로 축하중 재하 말뚝의 공학적인 거동을 합리적으로 평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소형박용 디젤엔진의 전열특성 (Characteristics of Heat Transfer for Small-size Marine Diesel Engine)

  • 최준섭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20권4호
    • /
    • pp.36-42
    • /
    • 1996
  • Analysis of heat transfer on small-size Diesel engine is required for the development of high performance and efficiency engine. This basic study aims to establish heat transfer technique for marine Diesel engine. The main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Overall engine heat transfer correlation of Re-Nu. 2) Radiant heat flux as fraction of total heat flux over the load range of several different Diesel engine. 3) Characteristics of heating curves on piston, cylinder liner and head. 4) Surface heat flux versus injection timing.

  • PDF

실내모형실험을 통한 군말뚝기초의 거동분석 (Model Tests of Pile Groups in Sand)

  • 정상훈;정상섬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7권6호
    • /
    • pp.193-205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수직 및 수평하중을 받는 군말뚝의 배열 및 중심간격을 고려한 실내모형실험을 수행하여 군말뚝기초의 거동특성을 분석하였다. 모형말뚝은 PVC말뚝을 사용하였으며 모형지반은 주문진표준사를 이용해 조밀한 사질토 지반(Dr=73%)으로 조성하였다. 말뚝의 배열은 $2\times2,\; 3\times3$ 배열, 말뚝중심간격은 말뚝직경의 2.5, 5.0, 7.5 배인 경우를 고려하였다. 실험결과 수직하중을 받는 말뚝에서는 두부에서의 수직하중-침하량곡선, 하중전이함수인 주면마찰락력-변위곡선(t-z 곡선)과 선단지지력-변위곡선(q-z 곡선)을 구하였으며, 수평하중을 받는 말뚝에서는 두부에서의 수평하중-수평변위곡선, 하중전이함수인 지반반력-변위곡선(p-y곡선)을 구하였고 이를 토대로 말뚝의 배열 및 중심간격에 따른 군말뚝계수를 제안하였다. 또한 수평하중을 받는 군말뚝의 각 열에 대해 상호작용계수(P-multiplier)를 산정하였다.

  • PDF

타입 강관말뚝 하중전이곡선 도출을 위한 현장재하시험 연구 (A Study of Field Loading Tests for Derivation of Load Transfer Curves of the Driven Steel Pipe Piles)

  • 임종석;최용규;하혁;심종선;박종희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초청강연 및 논문집
    • /
    • pp.1188-1194
    • /
    • 2008
  • As computation technologies has developed, the analysis using load transfer is mainly performed. But most of the functions used in the above program has been developed in foreign countries. Also in our nation, lots of studies concerning load transfer are being researched. The investigation of suitability about the piles installed in our grounds, however, is required as functions acquired experientially, basing on the piles installed in foreign grounds. In this background, the load transfer curve required to use load transfer method on its design through the analysis of field tests inside our nation intends to be made, on which this research focuses.

  • PDF

타입강관말뚝의 토질별 하중전이곡선 도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rivation of Load Transfer Curves of the Driven Steel Pipe Piles by Soil)

  • 임종석;최용규;심종선;박종희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9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 /
    • pp.539-550
    • /
    • 2009
  • As computation technologies has developed, the analysis using load transfer is mainly performed. But most of the functions used in the above program has been developed in foreign countries. Also in our nation, lots of studies concerning load transfer are being researched. The investigation of suitability about the piles installed in our grounds, however, is required as functions acquired experientially, basing on the piles installed in foreign grounds. In this background, the load transfer curve required to use load transfer method on its design through the analysis of field tests inside our nation intends to be made, on which this research focuses.

  • PDF

타입 강관말뚝 하중전이곡선 도출을 위한 현장재하시험 연구 (A Study of Field Loading Tests for Derivation of Load Transfer Curves of the Driven Steel Pipe Piles)

  • 임종석;최용규;심종선;박종희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8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 /
    • pp.760-766
    • /
    • 2008
  • As computation technologies has developed, the analysis using load transfer is mainly performed. But most of the functions used in the above program has been developed in foreign countries. Also in our nation, lots of studies concerning load transfer are being researched. The investigation of suitability about the piles installed in our grounds, however, is required as functions acquired experientially, basing on the piles installed in foreign grounds. In this background, the load transfer curve required to use load transfer method on its design through the analysis of field tests inside our nation intends to be made, on which this research focuses.

  • PDF

비선형 하중전이법에 의한 점토 및 모래층에서 파일의 지지력 예측 (Axial Load Capacity Prediction of Single Piles in Clay and Sand Layers Using Nonlinear Load Transfer Curves)

  • 김형주;미션호세;송용선;반재홍;백필순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9권5호
    • /
    • pp.45-52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지반 및 구조물의 문제점을 이상화 하는데 필요한 응용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공개되어 있는 소프트웨어 즉 도스용 프로그램을 윈도우상에서 OpenSees 말뚝의 정적 지지지력과 침하를 분석할 수 있도록 하여 윈도우상에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전 처리와 후 처리 및 경제조건 처리가 가능하도록 OpenSees프로그램을 개선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지지력 분석은 유한요소 해석과 합성된 하중전이함수에 근거한 수치해석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흙-말뚝의 상호작용에 의한 마찰력과 선단 지지력을 각각 모델링하기 위해 경험적인 비선형 T-z과 Q-z곡선에 의한 하중전이법을 이용하여 하중재하에 따른 침하조건에서의 흙-말뚝의 반응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예측한 정적 지지력과 침하량은 문헌에 의한 정적재하시험 결과와 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나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