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ad and resistance factors

검색결과 230건 처리시간 0.033초

하중계수에 기초한 최적신뢰성의 해석모델 개발 (Development of Load Factors-Based Analysis Model of Optimum Reliability)

  • 이증반;신형우
    • 전산구조공학
    • /
    • 제5권4호
    • /
    • pp.113-124
    • /
    • 1992
  • 토목구조물 설계에 있어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도로교에 대한 하중계수에 기초한 최적신뢰성해석모델을 제안하고, 또 총기대비용 최소화원칙에 기인한 최적하중-저항계수 및 최적 공칭안전율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주요내용이다. MFOSM과 AFOSM을 포함하는 주요 2차 모멘트신뢰성 이론을 비교분석함으로써 AFOSM의 근사식과 대수정규포근사식을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최적신뢰성 및 설계규준의 유도에 사용함이 적절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베이지안 이론을 이용한 타입강관말뚝의 신뢰성 평가 (Reliability Updates of Driven Piles Based on Bayesian Theory Using Proof Pile Load Test Results)

  • 박재현;김동욱;곽기석;정문경;김준영;정충기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6권7호
    • /
    • pp.161-170
    • /
    • 2010
  • 기초구조물의 저항계수 산정 및 하중저항계수설계법의 개발을 위해서는 충분한 양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바탕으로 정확한 신뢰성 분석이 수행되어야 한다. 기존 국내외 말뚝기초의 신뢰성 분석 연구에서는 말뚝의 측정지지력 확인이 가능한 재하시험 자료만을 이용하여 저항편향계수의 분포특성을 산정하였다. 따라서, 파괴에 이르지 않은 말뚝재하시험 자료는 신뢰성 분석에서 제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베이지안 이론을 이용하여 타입강관말뚝 저항편향계수의 사전 분포특성에 측정지지력을 확인할 수 없는 재하시험 결과를 추가하여 현장 특성을 반영한 저항편향계수의 사후분포특성을 산정하였다. 그리고 저항편향계수의 사후분포특성을 이용하여 말뚝의 신뢰성 평가를 수행하고 신뢰도수준을 갱신하였다. 국내 전역에서 수행된 양질의 정재하시험 자료를 수집, 분석하여 57개의 자료에 대한 측정지지력을 확인하였고, 이들 자료에 대해서 구조물기초설계기준에서 제안하고 있는 Meyerhof 공식을 이용하여 설계지지력을 산정하였다. 이를 통해 저항편향계수의 사전분포 특성을 정량화 하였으며, 베이지안 기법을 적용하여 다양한 현장재하시험 결과에 따라 저항편향계수의 사후분포를 산정하였다. 갱신된 저항편향계수 통계특성을 적용하여 일차신뢰도법을 이용하여 강도 높은 신뢰성 해석을 수행하고 시험결과에 따른 신뢰도 수준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방법을 통해 양질의 측정지지력 데이터가 부족한 경우 베이지안 기법을 이용하여 신뢰성 분석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LRFD 설계를 위한 국내 항타강관말뚝의 저항계수 산정 (Resistance Factors of Driven Steel Pipe Piles for LRFD Design in Korea)

  • 박재현;허정원;김명모;곽기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8권6C호
    • /
    • pp.367-377
    • /
    • 2008
  • 국내 기초구조물에 대한 하중저항계수설계법 개발의 일환으로 신뢰성에 기반한 항타강관말뚝의 저항계수를 산정하였다. 국내 정재하시험 및 지반조사 자료를 수집, 분석하여 측정 지지력 확인이 가능한 57개 자료에 대해서 선단부 N치 50을 기준으로 두 그룹으로 분류하였다(N<50, $N{\geq}50$). 구조물기초설계기준에서 제안하고 있는 두 가지 정역학적 설계공식에 대해서 대표 측정지지력과 설계지지력을 비교함으로써 저항편향계수를 평가하였다. 저항편향계수의 통계특성을 이용하여 일차신뢰도법 및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에 의한 엄밀한 신뢰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신뢰성 분석 결과 및 국내 말뚝기초의 설계, 시공 실무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목표 신뢰도지수를 결정하였다. 무리말뚝의 여용성을 적용할 수 있는 경우 2.0, 2.33, 무리말뚝의 여용성을 적용할 수 없는 경우 2.5의 목표 신뢰도지수를 결정하였고, 일차신뢰도법 및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적용하여 저항계수를 산정하였다.

Applicability of Mini-Cone Penetration Test Used in a Soil Box

  • Sugeun Jeong;Minseo Moon;Daehyeon Kim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22권4호
    • /
    • pp.83-92
    • /
    • 2023
  • In this study, we conducted verification of key influencing factors during cone penetration testing using the developed Mini Cone Penetration Tester (Mini-CPT), and compared the experimental results with empirical formulas to validate the equipment. The Mini-CPT was designed to measure cone penetration resistance through a Strain Gauge, and the resistance values were calibrated using a Load Cell. Moreover, the influencing factors were verified using a model ground constituted in a soil box. The primary influencing factors examined were the boundary effect of the soil box, the distance between cone penetration points, and the cone penetration speed. For the verification of these factor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the model ground having a relative density of 63.76% in the soil box. It was observed that the sidewall effect was considerably significant, and the cone penetration resistance measured at subsequent penetration points was higher due to the influence between penetration points. However, within the speed range considered, the effect of penetration speed was almost negligible. The measured cone penetration resistance was compared with predicted values obtained from literature research, and the results were found to be similar. It is anticipated that using the developed Mini-CPT for constructing model grounds in the laboratory will lead to more accurate geotechnical property data.

침하가 예측되는 지반에서 강관말뚝 주면 마찰 저항에 따른 말뚝의 거동 분석 (Analysis of Pile Behaviors with Friction Resistance of Skin of Steel Pipe Pile in Ground where Settlement is Predicted)

  • 이기철;신세희;이학린;김동욱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6권11호
    • /
    • pp.107-117
    • /
    • 2020
  • 개단 강관말뚝의 경우 일반적으로 말뚝에 작용하는 외부 주면 마찰력뿐만 아니라 설치과정에서 폐색된 흙이 강관 내부에 작용하는 내부 마찰저항이 존재한다. 내·외부 저항에 따라 극한하중의 변화가 예상되며, 말뚝이 시공된 지반이 점성토일 경우 지반 침하로 유발되는 부주면 마찰력에도 영향을 끼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강관말뚝 내·외부 저항 특성에 따른 거동을 수치해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며, 지반 침하 발생 전·후의 마찰력 분포, 축력, 침하량을 산정하였다. 해석 결과, 내부 마찰 저항은 외부 마찰 저항보다 적은 영향을 미쳤지만 전체적인 말뚝 거동에 끼치는 영향을 고려하였을 때,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설계 시 두 가지 저항요소를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축대칭 다단계 딥드로잉 공정의 성형인자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Formability Factors of Axisymmetric Multi-Stage Deep Drawing Processes)

  • 여은구;조선형;이용신
    • 한국공작기계학회논문집
    • /
    • 제11권4호
    • /
    • pp.6-11
    • /
    • 2002
  • Formability in deep drawing process depends not only on a drawability of workpiece material but also on process conditions such as die punch comer radius, lubricant conditions, punch-die clearance etc. For instance, bending resistance should be reduced by increasing die round appropriately, drawing load should be minimized by improving the lubricant condition between die and material, and blanking load should be increased by selecting a pertinent punch round and by augmenting the friction resistance in punch. In this study, a multi-stage deep drawing process is analyzed using ABAQUS. The effects of formability factors, such as die shoulder radius, punch-die clearance and friction coefficient are investigated, and the results are also discussed in detail.

소용량 EHD 발전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Small Capacity EHD Power Generation)

  • 전춘생;이재복;임응춘
    • 태양에너지
    • /
    • 제9권2호
    • /
    • pp.58-68
    • /
    • 1989
  • This paper describes an experimental study that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limiting factors on the power output in the closed cycle Electro-Hydro-Dynamic generator of small capacity. A corona discharge for producing unipolar charged particles used as the charging method. The experiment demonstrated that the corona method of charging was an efficient and effective means of producing unipolar charged particles. Four factors having an effect on the power output characteristics of EHD generator are discussed and examined experimentally, using methyl alcohol and kerosene as working fluides; a. The conversion length between attractor and collector. b. The corona current of Emitter. c. The flow velocity of working fluids. d. Load resistance. This results are as follows; 1) There in a critical value in conversion length for its maximum power output. 2) Power output increases almost linearly with corona current and flow velocity. 3) There is the critical value of load resistance producing a maximum power output. 4) Kerosene is known better working fluid than Methyl alcohol in this EHD generator.

  • PDF

축대칭 다단계 딥드로잉 공정의 성형인자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Formability Factors of Axisymmetric Multi-Stage Deep Drawing Processes)

  • 여은구;조선형;이용신
    • 한국공작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공작기계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한국공작기계학회)
    • /
    • pp.280-285
    • /
    • 2001
  • A good drawability of material itself is required. To improve the formability in deep drawing process. Besides that bending resistance should be reduced by increasing die round appropriately, drawing load should be minimized by improving the lubricant condition between die and material, and breaking load should be increased by selecting a pertinent punch round and by augmenting the friction resistance in Punch. In this study, a multi-stage deep drawing process is analyzed using ABAQUS, the effects of formability factors. Such as die shoulder radius, punch-die clearance and friction coefficient are investigated.

  • PDF

22.9kV 배전선로 전력손실산출 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alculation Method of Power Losses in 22.9kV Power Distribution Lines)

  • 황인성;홍순일;문종필
    • 전기학회논문지P
    • /
    • 제66권4호
    • /
    • pp.219-223
    • /
    • 2017
  • In this paper, we calculated the losses in the high voltage lines of power distribution system. The losses caused by high voltage lines are calculated using maximum current, resistance, loss factor, and dispersion loss factor. The accurate extraction of these factors are very important to calculate the losses exactly. Thus, the maximum loads are subdivided to regions and calculated monthly for more accurate maximum current calculation. Also, the composite resistance i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ratio of the used wire types. In order to calculate the loss factor, the load factor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were calculated. Finally, the losses of the distribution system is calculated by adding the losses by the transformers and the low voltage lines.

콘크리트 도로교 설계를 위한 저항계수 체계별 신뢰도 분석 (Reliability Analysis of Concrete Road Bridge Designed with Different Resistance Factor Format)

  • 백인열;상희정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147-157
    • /
    • 2011
  • 본 연구는 국내 콘크리트교량설계기준에 신뢰도기반 저항계수를 적용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 구조물의 설계강도를 산정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저항계수체계에 따른 설계결과와 신뢰도지수를 비교분석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현재 국내에서 적용하는 단면저항계수 및 유럽에서 사용하는 재료저항계수를 적용하여 콘크리트 빔 교량들에 대하여 동일한 설계를 수행한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콘크리트 구조의 강도를 산정하는데 관련된 재료, 치수 및 해석의 불확실성을 고려하여 설계의 안전율인 신뢰도지수를 산정하고, 신뢰도지수에 큰 영향을 미치는 설계변수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휨강도와 전단강도에 대하여 설계를 수행하였으며, 현행 국내 도로교설계기준, 미국 AASHTO LRFD, 유럽 Eurocode의 저항계수를 적용한 결과 국내 기준의 저항계수에 따른 설계의 신뢰도지수가 가장 컸으며, 활하중의 통계분포 형식에 따라 신뢰도지수에 차이가 있음을 보였다. 콘크리트 보의 휨과 전단에 대한 신뢰도지수에 미치는 영향은 철근의 항복강도와 활하중이 가장 큼을 민감도 분석결과를 통하여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