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ver microsome

검색결과 151건 처리시간 0.032초

뽕나무(Morus alba)와 꾸지뽕나무(Cudrania tricuspidata)의 수용성 추출물에 의한 항산화 활성 (Antioxidative Activities by Water-Soluble Extracts of Morus alba and Cudrania tricuspidata)

  • 김현정;차재영;최명락;조영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3권2호
    • /
    • pp.148-152
    • /
    • 2000
  • 뽕나무(Morus alba) 및 꾸지뽕나무(Cudrania tricuspidata)의 잎과 줄기 껍질의 수용성 추출물에 대하여 in vitro 실험계에서 항산화 활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성장기 마우스의 간장 microsome을 이용한 생체막 지질 과산화 억제정도는 꾸지뽕나무 줄기 껍질(53%)>뽕나무 줄기 껍질(43%)>꾸지뽕나무 잎(38%)>뽕나무 및(34%) 순으로 나타났다. Linoleic acid산화 실험계에서는 꾸지뽕나무 줄기 껍질과 뽕나무 잎의 추출물이 강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꾸지뽕나무 줄기 껍질의 추출물은 반응 8일째까지 강한 활성을 보였다. TBA method에서는 뽕나무 줄기 껍질이 다른 것에 비해 약간 강한 활성을 보였으며, 또한 DPPH에 의한 수소공여능은 각 시료첨가 0.05%에서 뽕나무 잎>꾸지뽕나무 잎>통나무 줄기 껍질>꾸지뽕나무 줄기 껍질 순으로 나타나 및 추출물에서 비교적 수소공여 작용이 강하였다. 이들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화합물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뽕나무 잎(1.32%), 뽕나무 줄기 껍질(1.28%), 꾸지뽕나무 잎(1.34%), 꾸지뽕나무 줄기 껍질(1.30%)로 큰 차이가 없었다.

  • PDF

Salmonella typhimurium에 대(對)한 국균생산물질(麴菌生産物質)의 변이원성(變異原性) (Mutagenicity of the Material from Aspergillus to Salmonella typhimurium)

  • 정호권;김태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67-71
    • /
    • 1982
  • 돌연변이(突然變異) 유발 물질(物質)에 의(依)하여 DNA손상(損傷)을 입고 야생균주(野生菌株)에서 볼 수 없었던 Histidine의 요구성(要求性)이 강(强)하게 나타나는 Salmonella typhimurium 균주(菌株) 등(等)은 손상(損傷)DNA회복성(回復性)이 예민하여 독성(毒性) 가능(可能)의 물질(物質)과 접촉(接觸)하면 쉽게 DNA변이(變異)를 일으켜 히스티딘 요구성(要求性)이 없는 야생균주(野生菌株)로 복귀(復歸)되는 원리가 최근(最近)에 Ames등(等)에 의(依)하여 밝혀졌다. 본연구(本硏究)는 이같은 성질이 표준화(標準化)된 Sal. typhimurium TA 98, TA 100, TA 1535, TA 1537 및 TA 1538을 이용(利用)하여 Asp. oryzac, Asp. kawachi등(等)이 생산(生産)하고 약탁주(藥濁酒)에 흔한 국산(麴酸)(Kojic acid)과 Asp. ochraceus, Asp. wentii 등(等)이 생산(生産)하고 luteoskyrin의 전구물질로 알려졌으며 또 의 항균성분(抗菌成分)인 emodin에 대하여 변이원성(變異原性)을 실험(實驗) 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쥐의 간(肝) microsome 효소계(酵素系)(S-9)의 대사활성을 거치지 않는 경우 kojic acid는 균주(菌株) TA 98와 TA 100에 대(對)하여 변이(變異)가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2. S-9 대사활성(代謝活性)을 거친 Kojic acid는 균주(菌株) TA 100의 경우는 약간 변이(變異)가 있었으나 인정(認定)되기 어려웠고 균주(菌株) TA 98에 대(對)하여는 큰 변이(變異)를 인정(認定)할 수 있었다. 3. Emodin도 S-9 대사활성(代謝活性)을 거칠 경우 균주(菌株) TA 1537에 대(對)하여 현저한 변이(變異)를 일으키고 있었다.

  • PDF

더덕 부위별, 첨가수준이 실험쥐의 항산화활성과 지질조성에 미치는 효과 (Antioxidative Activity and Lipid Composition from Different Part and Supplement of Codonopsis lanceolata in Rat)

  • 오혜숙;원향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9호
    • /
    • pp.1128-1133
    • /
    • 2007
  • 본 연구는 더덕 육질과 더덕 껍질의 항산화 효과와 지질대사를 동물실험을 통해 확인하고자 6주령 된 Sprague Dawley 종 흰쥐 40마리를 대조군, 더덕 육질 2.5% 첨가군(LF), 더덕 육질 5% 첨가군(HF), 더덕 껍질 2.5% 첨가군(LS), 더덕 껍질 5% 첨가군(HS)의 총 5군으로 나누어 실험식이로 6주간 사육 후 혈액 및 간 microsome 내의 항산화효소 활성, 지질 과산화물과 지질 조성을 측정한 결과 혈액의 glutathione peroxidase 활성은 더덕 첨가군이 모두 높았으며 첨가 수준보다는 부위에 따른 차이를 보였고 혈액 glutathione reductase의 활성과 MDA(malondialdehyde) 생성량은 더덕 부위보다는 첨가 수준에 따른 차이를 보여 주었다. 간의 glutathione peroxidase 활성은 더덕 첨가 여부에 따라 항산화 활성의 차이를 보였으며 껍질의 경우 5% 첨가군이 더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Glutathione reductase 활성은 더덕 육질 첨가군은 모두 대조군과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더덕 껍질 첨가군은 5% 첨가군이 대조군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MDA 생성량은 대조군에 비해 더덕 첨가군에서 더덕 부위와 첨가 수준에 관계없이 모두 낮게 나타났다. 혈액의 총 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은 더덕 육질이나 껍질을 첨가한 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더덕 첨가의 수준과 더덕 부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혈액 HDL-콜레스테롤도 더덕 첨가의 수준에 따른 차이는 볼 수 없었으나 더덕 부위에 따른 차이, 즉 껍질보다는 육질을 첨가했을 때 HDL-콜레스테롤이 더 높게 나타났다. 간의 총콜레스테롤도 더덕 육질이나 껍질을 첨가한 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더덕 첨가의 수준과 더덕 부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간의 중성지방은 5% 더덕 육질을 첨가한 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이 결과를 요약해 볼 때 흰쥐에서 더덕 껍질이나 더덕 육질 첨가 식이의 항산화 효과와 지질 조성의 개선 효과를 볼 수 있었다. 따라서 더덕 육질은 물론 껍질도 식품 내 첨가물로서, 혹은 다른 약용으로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Benzoyl peroxide가 흰쥐의 지질과산화현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enzoyl Peroxide on the Activity of Drug-metabolizing Enzyme System and Lipid Peroxidation in Rats)

  • 이향우;이규순;홍사오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55-63
    • /
    • 1982
  • Lipid peroxidation is the reaction of oxidative deterioration of polyunsaturated lipids and this peroxidation involves the direct reaction of oxygen and lipid to form free radical intermediates, which can lead to autocatalysis. As results of the extensive studies on the lipid peroxidation by many authors, the relationship between lipid peroxidation and the drug metabolizing system as well as the actions of free radicals on the peroxidation was reasonably well known. For a long time, the mechanism of hepatotoxicity of $CCl_4$ was not clearly understood. However, it is now quite well established that $CCl_4$ is activated in vivo to a free radical which is a highly reactive molecule. Therefore, lipid peroxidation which induces the reduction of cytochrome P-450 and aminopyrine demethylase activity is known as decisive event of $CCl_4$ hepatotoxicity. On the other hand, it was also reported that singlet molecular oxygen produces lipid peroxidation in liver microsomes.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benzoyl peroxide on the lipid peroxidation and drug-metabolizing enzyme were examined. Benzoyl peroxide mixed with starch and phosphates etc. is usually used as a food additive for flour bleaching and maturing purpose because of its oxidative property. Albino rats were used for the experimental animals. Benzoyl peroxide was suspended in soybean oil and sesame oil and administered intraperitoneally or orally. TBA value and aminopyrine demethylase activity were determined in liver microsomal fraction and serum. The results were summerized as following. 1) Body weights of animals administered benzoyl peroxide suspension were decreased while that of oil administered group were increased. 2) The activity of aminopyrine demethylase was generally decreased in animals administered oil suspension of benzoyl peroxide. Furthermore, the marked reduction of the enzyme activity was observed in animals administered benzoyl peroxide intraperitoneally. 3) Generally, microsomal TBA values as well as serum TBA were significantly elevated in benzoyl peroxide group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 more remarkable increase of serum TBA than microsomal TBA was observed in animals administered orally for 6 days. 4) Specifically, the changing pattern of TBA value was notable in serum rather than in liver microsome by intraperitoneal administration of benzoyl peroxide.

  • PDF

Effects of the P/S Ratio of Dietary Lipids and Antioxidant Vitamin Supplements on the Level of Serum Lipids and Liver. Lipid Peroxidation in Rats Treated with DMBA

  • Lee, Byung-Joo;Park, Jung-Nan;Lee, Sang-Sun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1권5호
    • /
    • pp.906-913
    • /
    • 1998
  • This study an analyzes the effects of the P/S ratio of dietary lipids and antioxidant vitamin supplements on serum lipids level and fatty acid profile, the degree of lipid peroxidation, and the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in the liver of rats treated with 7,12-dimethylbenz($\alpha$) anthracene(DMBA). P/S ratio of dietary lipids was made into 0.5, 1 and 2 by mixing palm oil, soybean oil, sesame oil and perilla oil at 10%(w/w) fat level and n-6/n-3 ratio was fixed to 4. Antioxidant vitamin of $\alpha$-tocopherol or $\beta$-carotene was supplemented in addition to vitamin mixture which was given at 1 % of the standard diet. female Sprague-Dawley strain rats, about 60 days old,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LP : low P/S ratio(0.5), MP : medium P/S ratio (1.0), HP , high P/S ratio(2.0)) and each group was sub-divided into three groups(S ; standard, T ; tocopherol supplemented, C : carotene supplemented): Two weeks after feeding experimental diets, all groups were treated with a single dose of DMBA(2mg/100g BW) by gastric intubation and fed experimental diet for 9 week.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Serum total cholesterol(TC) level was not significantly influenced by diet but tended to be lower in HP groups compared to LP and MP groups. Triglyceride level was the highest in LP groups and the lowest in $\alpha$-tocopherol supplemented groups. 2)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TBARS) level, representing lipid peroxidation in hepatic microsome, tended to be increased as the unsaturation of dietary lipids increases. $\alpha$-Tocopherol supplement significantly decreased TBARS level. 3) The activities of superoxide dismutase(SOD) and glutathione peroxidase(GSHPx) in hepatic cytosol showed the tendency to be high with increasing P/S ratio of dietary lipids. SOD activity was not significantly influenced by antioxidant vitamin, but GSHPx activit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alpha$-tocopherol supplemented groups. In summary, high polyunsaturated fat diet was effective on reducing the serum level of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while it increased unsaturation and peroxidizability of serum fatty acid. With increasing P/S ratio of dietary lipids, lipid peroxidation was increased in the liver and antioxidant enzyme system was induced to inhibit lipid peroxidation against oxidative damage. $\alpha$-Tocopherol supplement was effective in lowering lipid peoxidation, but $\beta$-carotene supplement did not exhibit antioxidant effect. (Korean J Nutrition 31(5) 906~913, 1998)

  • PDF

대두배아 사포닌의 유리기 생성 억제 및 세포독성 (Free Redical Scavenging and Cytotoxicity Activitives of Soybean Germ Saponin)

  • 류병호;이홍수;김현대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51-157
    • /
    • 2002
  • 대두 배아로부터 saponin을 분리.정제하여 유리기 억제효과 및 동물의 암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을 조사하였다. 유리기 억제활성에 대한결과를 보면 대두 배아 saponin을 0.5 및 1.0%씩 첨가한 급여 식에서 4주 동안 사육한 후 간장을 절취하여 간장 획분의 활성산소 및 항산화 관련 효소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간장의 mitochondria 및 microtome 획분의 hydroxy radical(.OH)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급여식에 사포닌을 첨가한 급여군에서 .OH기의 생성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간장의 microsome 획 분에서도 0.5 및 1.0% 투여군에서 $H_2O$$_2$생성억제 효과가 인정되었다. 또한 간장의 cytosol획분에서 $O_2$.$^{-}$의 생성은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한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대두 배아 사포닌의 세포독성을 P338 (mouse Iyoupoid neoplasm)과 L1210 (mouse leukemia) 세포주를 사용하여 실시한 결과 200 $\mu$g/mL 농도에서 높은 성장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처리 농도에 따른 대두배아 추출물이 P338과 L1210에 대한 성장 효과 실험에서도 200 $\mu$g/mL에서 은 성장억제 효과가 나타났으며 농도가 높을 수록 완전히 억제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한우와 돼지에서 간의 약물 대사효소의 활성 비교 (Comparative liver drug metabolizing enzymes activities between Korean native cattle and swine)

  • 이관복;윤효인;박승춘;김민규;이내경;조준형;이동우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7-28
    • /
    • 1998
  • Drug-metabolizing activities of Korean native cattle and swine were investigated from viewpoints of the cytochrome P-450's level, their dependent mixed function oxidase activities, the reactive oxygen species formation and cytosolic enzyme acitivities from each liver homogenates. Level of cytochrome P-450 in the liver microsome of Korean native cattle was $0.28{\pm}0.05nmole/mg$ and that in pigs $0.35{\pm}0.03nmole/mg$. Level of cytochrome $b_5$ of Korean native cattle was $0.24{\pm}0.06nmole/mg$, and that of pigs $0.2{\pm}0.05nmole/mg$, showing no difference between two species. NADPH P-450 reductase were higher in Korean native cattle ($58.3{\pm}5.3nmole/mg/min$) than in pigs ($29.9{\pm}3.8nmole/mg/min$)(p<0.01). The activities of cytochrome P-450 dependent monooxygenases such as ethoxyresorufin O-deethylase (cattle, $96.5{\pm}12.5nmole/mg/min$ ; pigs, $13.6{\pm}2.1nmole/mg/min$), N-benzphetamine N-demethylase (cattle, $5.23{\pm}0.82nmole/mg/min$ ; pigs, $0.76{\pm}0.3nmole/mg/min$) and aniline hydroxylase (cattle, $0.95{\pm}0.1nmole/mg/min$ ; pigs, $0.33{\pm}0.08nmole/mg/min$) were much higher in Korean native cattle than in swine(p<0.01). However, the activity of testosterone $7{\alpha}$-hydroxylase was higher in swine ($90.4{\pm}1.2nmole/mg/min$) than cattle (cattle, $32.8{\pm}1.2nmole/mg/min$). Interestingly, testosterone $16{\alpha}$-hydroxylase, a marker enzyme for P-450 IIA was not detected in both animal speci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Korean native cattle and pigs have high contents of P-450 IA1 and P-450 IIIA. Total sulfhydryl compound (cattle, $10.3{\pm}1.1nmole/mg$ ; Pigs, $14.5{\pm}1.8nmole/mg$) and glutathione related enzymes except glutathione reductase (cattle, $38.1{\pm}7.9nmole/mg/min$; swine, $22{\pm}3.6nmole/mg/min$) showed higher levels in swine than in Korean native cattle. Superoxide dismutase (cattle, $7.64{\pm}0.84nmole/mg/min$ ; pigs, $4.47{\pm}0.94nmole/mg/min$) and catalase (cattle, $30.4{\pm}3.7nmole/mg/min$ ; pigs, $17.2{\pm}1.8nmole/mg/min$) were remarkably higher in Korean native cattle than in swine (p<0.05).

  • PDF

간에서의 RNA, 단백질 생합성에 미치는 인삼성분의 생화학적 연구 (Biochemical Studies of Ginseng Saponin on RNA and Protein Biosynthesis in the Rat Liver)

  • Oura Hikokichi
    • 고려인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고려인삼학회 1988년도 학술대회지
    • /
    • pp.1-10
    • /
    • 1988
  • 조사포닌을 복강내 투여하면 1) 핵내의 RNA polymerase의 활성도, 2) 핵내의 RNA합성, 3) 세포질의 RNA합성,4) 세포질내의 폴리리보좀 함량, 5) in vitro 상태에서의 쥐간의 polysome과 micro-some으로의 아미노산 유입율, 6) 방사능 표지된 아미노산의 혈청 단백질로의 유입율이 증가하였음을 과거에 보고 한 바 있으며 또한 4주간 조사포닌을 투여한 쥐에서 적출한 간세포를 전자 현미경으로 조사한 결과, 조면 소포체가 상당히 증가하였으며 초원심분리기로서 막에 결합한 ribosome에서의 polysome함량의 증가를 확인하였다. 최근 streptozotocin으로 유도한 단백질 결핍성 당뇨병 쥐에 $Rb_2$를 계속적으로 주사한 결과 blood urea nitrogen과 간내의 urea 농도가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혈청내의 총단백질과 알부민의 농도가 대조군의 수치에 비하여 증가한 반면 간내의 RNA와 총 ribosome, 막에 결합된 ribosome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또한 $Rb_2$투여로 혈청내의 총단백질로의 방사능 표지 전구물질의 유입량이 증가하였으며 당뇨쥐에서의 질소균형을 개선시켰다. 이러한 실험적 결과에 근거하여 인삼 사포닌은 대사를 촉진시키고 RNA, 단백질 합성 등을 촉진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가열유와 Vitamin E가 흰쥐 간장내의 과산화적 손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eated Oil and Vitamin E on Lipid Peroxidative Liver Damage in Rat)

  • 이순재;최원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11-120
    • /
    • 1991
  • 가열유 섭취에 따른 동물체내에서의 과산화적 손상에 대한 연구와 VE의 식이중 첨가수준에 따라 가열유로 인한 과산화적 손상에 대한 항산화적 방어현상을 관찰하기 위하여 열화된 가열유(산가 4.02, carbonyl가 27.9, peroxide value 52.7)를 하루 총열량의 10%, 그리고 $dl-{\alpha}-tocopheryl acetate$의 양을 달리하여 (0, 40, 200mg/kg of diet : HOF group, HO group, HOE group) tube feeding하면서 0, 3, 6주간씩 사육하였다. 실험종료후 쥐를 휘생시켜 간장을 적출하여 과산화적 손상으로부터 생체를 보호하는 생체내 항산화적 해독기전에 관여하는 효소계인 superoxide dismutase(SOD), glutathione peroxidase(GPX)와 비효소적 방어계인 microsome 대의 VE를 측정함과 동시에 조직의 손상이나 노화의 독성이 되는 지질과산화량을 측저 였고 또한 mitochondria를 비롯한 세포내 각 소기관들의 손상을 전자현미경적으로 관찰하였다. SOD활성도는 가열유 투여군이 대조군에 비해 다소 높았고 GPX활성도 및 VE함량0] 낮았으며 POV는 현저하게 높았다. 전자현미경적 관찰에서는 mitochondria내막과 cristae가 소실되고 핵막과 chromatin이 불규칙 하였다. 가열유 투여군에서 VE첨가수준을 각각 달리했을때 VE가 부족한 HOF식이군은 HO군, HOE군에 비해 s SOD활성이 높았고, GPX활성 및 VE함량이 현저히 저하되었으며, POV가 높았으며, 세포내 mitochon ndria등을 비롯한 소기관들의 손상이 더욱 현저하게 나타났으나, VE를 다량 첨가한 HOE식이군에서는 HO군, HOF식이군에 비해 이러한 과산화적 손상이 경하게 나타냈다. 또 이러한 현상은 3주때보다 6주에서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

  • PDF

In Vitro 과산화지질에 미치는 glutathione 고함유 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 FF-8의 항산화효과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Glutathione-Enriched Extract from Saccharomyces cerevisiae FF-8 in In Vitro Model System)

  • 이치형;차재영;전방실;이호준;이영춘;최용락;조영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819-825
    • /
    • 2005
  • 항산화물질인 glutathione (${\gamma}$-L-glutamyl-cysteinyl-glycine) 고함유 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 FF-8에서 생산된 glutathione을 함유한 세포 추출액의 항산화 활성을 in vitro 과산화지질 실험계인 DPPH($a,{\;}\acute{a}-diphenyl-\beta-picrylhydrazyl$)법, linoleic acid를 이용한 ferric thiocyanate법과 TBA법 및 microsome 생체막 지질 과산화물 생성정도의 TBARS법으로 측정하였다. YM 최적 배지에서 생산된 glutathione 농도는 $204\mug/ml$로 YM 기본배지에서 생산된 glutathione 농도 $74\mug/ml$보다 2.76배 증가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YM 기본배지와 최적배지에서 S. cerevisiae FF-8이 생산하는 glutathione 함량에 따른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였다. DPPH 측정법에서는 짙은 자색의 탈색되는 정도로 나타내는 전자 공여능이 glutathione 함량이 높은 최적 생산배지에서 S. cerevisiae FF-8가 생산하는 glutathione고함유 세포 추출액에서 대조구인 $ 0.05\%BHT $와 비슷한 수준으로 항산화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각 조직 microsome을 이용한 생체막 지질 과산화 억제정도는 최적 생산배지에서 전체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간장 $60.98\%$, 신장 $56.43\%$, 심장 $52.91\%$, 뇌 $52.13\%$, 고환$45.57\%$ 및 비장 $42.95\%$순으로 나타났다 Linoleic acid 산화 실험계를 이용한 ferric thiocyanate법에서는 최적 생산배지가 반응 7일째까지 대조구에 비해 강한 항산화 활성을 보였으며, TBA법에서는 반응 5일째까지 최적 생산배지가 YM 배지보다는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Saccharomyces cerevisiae FF-8 균주가 glutathione을 생산하는 최적배지 조건에서 생산된 glutathione 고함유 세포 추출액은 in vitro 항산화 실험계인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ferric thiocyanate and TBARS 측정에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생리활성 성분을 지닌 것으로 나타나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시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