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ve vaccine

검색결과 133건 처리시간 0.03초

Monitoring and evaluation of provincial classical swine fever immunization implementation with an E2 subunit vaccine in Jeju Island, South Korea

  • Guehwan Jang;Eun-Joo Kim;Seong-Cheol Cho;Sung-Up Moon;Myeong Hwa Lee;Jin A Ko;Seung Bo Ko;Jonghoo Lee;Changhee Lee
    • Clinical and Experimental Vaccine Research
    • /
    • 제13권1호
    • /
    • pp.54-62
    • /
    • 2024
  • Purpose: Accidental vaccination with a live attenuated low-virulence strain of Miyagi (LOM) vaccine led to the reemergence of classical swine fever virus (CSFV) in Jeju province, South Korea in 2014. To control the continual outbreaks of LOM-derived CSFV, the provincial government launched a provincial mass vaccination project using a CSF-E2 subunit vaccine. We conducted this study to assess the herd immunity level and outcomes of E2 vaccine-based immunization in breeding and growing herds on Jeju Island during 2020-2021. Materials and Methods: A large-scale vaccination trial using the Bayovac CSF-E2 vaccine investigated its efficacy in breeding and growing herds under farm application conditions (10 CSFV-affected and three CSFV-naïve swine farms). Results: The level of herd immunity in each farm was classified into three (S1-S3) and six (G1-G6) profiles in breeding and growing herds, respectively. Immunity monitoring revealed a remarkable improvement in the herd immunity status in all farms. The majority (10/13) of farms, including CSFV-free farms, showed the S1G1 immunity profile in 2021, indicating the appropriate implementation of the advised vaccination regime. Moreover, there were significant decreases in Erns seropositivity from 100% to 50% and 25.9% to 4.3% at farm and pig levels, respectively. In particular, all farms were confirmed as CSFV free in the growing-finishing herds. Conclusion: Our large-scale trial demonstrated the effectiveness of the E2 subunit vaccine in establishing herd immunity stabilization and eliminating CSFV circulation in the affected farms and highlighted the need for a provincial vaccination policy to regain the CSF-free status on Jeju Island.

건강한 소아에서의 47계대 Oka주 수두약독화 생백신의 면역원성 및 안전성에 관한 연구 (The Immunogenicity and Safety Study of 47 Passaged Oka Strain Live Attenuated Varicella Vaccine in Healthy Children)

  • 강진한;김종현;서병규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4권2호
    • /
    • pp.257-264
    • /
    • 1997
  • 목 적 : 국내 건강한 소아에서의 47계대 배양된 Oka주 수두 약독화 생백신의 단기간내 체액성 면역원성과 안전성 평가를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7년 4월부터 1997년 8월까지 5개월간 가톨릭대학부속 성모자애병원 육아상담실을 방문한 소아와, 서울, 인천, 수원 지역에 있는 4곳의 보육원에 수용되고 있는 원아들 중 과거력상 수두에 이환되지 않았고, 수두백신 접종력이 없으며 중한 기저질환이나 약제 및 백신에 알레르기가 없는 12개월에서 15세 사이 연령의 건강한 소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백신의 접종은 1,400 PFU 용량의 47 계대 Oka주 수두백신을 상완 삼각근에 1회 피하 주사하였다. 단기간(접종후 6주)의 체액성 면역원성을 평가하기 위해 모든 피접종아에서 접종전, 접종 6주 후에 채혈하여 FAMA 법과 효소 면역법으로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의 세포막 항체와 IgG를 측정 비교하였다. 그리고 안전성 평가를 위해 접종 30분내 즉각반응, 접종 3일내 국소 및 전신반응, 접종 6주후까지의 백신에 의한 전신성 부작용 발생을 관찰하였다. 결과 : 1) 총 99명의 소아에서 접종과 검사가 완료되었다{육아상담실; 33명, 보육원 66명). 이들 중 49명은 접종전 대상포진 바이러스 항체 검사상 음성이었고 50명은 양성으로 판명되었다. 이 두군의 연령 및 성별분포는 유사하였다. 2) FAMA 법으로 시행한 검사상 접종전 음성군에서 97.9%의 양전율을 보였고, 음성군 및 양성군 모두에서 의의있는 GMT 상승을 보였다. 3) 효소 면역법으로 시행한 결과에서는 접종전 음성군에서는 100%의 항체 양전율을 보였고, 그리고 양성군에서도 항체가는 접종후 유의하게 상승하였다. 4) 경한 주사부위의 발적, 동통, 부종, 경결 등의 국소반응과 보챔, 식욕부진 등의 전신반응이 있었으나 3일내에 소실되었고, 이후 6주간 백신에 의한 부작용은 전례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결 론 : 이상의 결과로 볼 때에 47계대 배양된 Oka주 수두백신은 단기간내에 높은 체액성 면역원성이 유발되고 안전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이 백신의 광범위한 사용을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장기간의 체액성 및 세포 매개성 면역원성 검증과 야외임상 대조설험 등이 요구되어 진다.

  • PDF

뉴캣슬병 면역에 대한 검토 I. 뉴캣슬병 유행지역에서의 계군면역에 대한 실태조사 (Studies on the Immunization Against New-castle Disease I. A Survey on the Immune Status of Poultry Flocks Againt New-castle Disease in the Epizootic Area)

  • 이학철;정우열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5-24
    • /
    • 1981
  • 우리나라 뉴캣슬병 (ND) 면역상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명확한 예방접종지침을 제시하는 목적의 일환으로 우선 ND 유행이 극심하였던 지역의 일반양계농장에서 사육되는 건강면역군의 예방접종경력과 혈구응집억제항체가(HI 가)를 조사하여 야외에서 실시된 ND예방접종결과에 따르는 면역효과를 간접적으로 파악하는 한편 동일지역 내에서 ND발생계군과 비발생계군에 대한 예방접종경력과 발생계군의 피해상황을 조사함으로서 야외에서 실시한 ND예방약의 응용방법과 본병발생과의 관계를 조사한 추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ND 유행지역에서 조사한 26건강면역계군의 예방접종경력은 각양계농장 임의대로의 예방접종 프로그램에 따라서 22계군은 LV와 LV병용. 잔여 4계군은 KV단용에 의해서 각각 면역되었다. 이들의 HI가는 일반적으로 전자가 높았고 후자는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그 평균치는 각각 146. 50이었다. 그리고 전자의 22계군 중 특히 낮은 역치(10, 23)를 보였던 그계군은 추후 ND발생을 보았으나 잔여 20계군 및 KV 단용 4계군은 모두 무사히 경과하였다. 2. ND유행지역에서 조사한 ND발생14계군의 예방접종경영은 무접종이 1계군이고 잔여 13계군은 각양계농장 임의대로의 접종프로그램에 따라서 LV단용이 8계군, LV와 KV병용이 5계군이었다. 폐사율에 있어서 후자는 5.1%인데 반하여 전자는 32.5%의 피해 즉 후자에 비하여 6.28배의 월등히 높은 폐사율을 보였다. 한편 ND비발생 4계군은 LV와 KV병용 혹은 KV단용 예방접종프로그램에 의해서 면역되었으며 LV단용계군은 1예도 없었다. 3. 야외에서 조사한 면역계군들의 LV응용은 거의가 ND면역상 불리하다고 보여지는 음수 투여에 의해서 면역되었으며 극히 소수예가 비질내적하 혹은 일정 희척 LV병독액 속에 파면역추의 입, 코, 눈까지 침지하는 특이한 방법으로 면역되었다.

  • PDF

수두생바이러스백신 국가표준품 (2차) 제조 및 확립에 관한 연구 (Manufacturing and Establishment of the 2nd National Standard for Varicella Vaccine)

  • 김연희;김도근;손여원;한의리;김석환;임종미;원윤정;윤희성;조문희;김관수;김재옥
    • KSBB Journal
    • /
    • 제25권6호
    • /
    • pp.572-576
    • /
    • 2010
  • 수두 생바이러스 백신과 같은 생물의약품은 다양한 물질이 복합적으로 구성되어 있어 단순한 물리 화학적 분석방법만으로는 그 특성을 규명할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생물의 약품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표준품이 필수적이다. 2002년과 2003년에 제조 및 확립한 1차 국가표준품의 재고량 소진 및 역가 감소에 따라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에서는 수두 생바이러스 백신의 2차 국가표준품을 확립하기 위하여 2008년 용역연구사업을 통해 국내의 수두 생바이러스 백신 제조회사에서 표준품 후보물질을 제조하였으며, 국가표준품 후보물질의 역가산정을 위하여 국내 제조사 및 식품의약품 안전평가원에서 공동연구를 수행하였다. 국내제조사를 포함한 3개의 공동연구 시험소에서 7회 이상의 반복시험을 수행하여 얻은 공동연구 결과를 통계학적으로 분석한 결과 3곳의 공동연구 시험소의 통합역가에 대한 변이계수 (coefficient variation, CV)는 1.24%로 각 시험소간의 기하평균 (GMT) 변동 수준이 매우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수두 생바이러스 백신의 2차 국가표준품의 표시역가는 $4.26\;log_{10}\;PFU$/0.5 mL로 산정하였다.

철 결핍 조건에서 배양된 Edwardsiella tarda의 면역학적 특성 (Immunological characteristics of Edwardsiella tarda grown under iron-restricted condition)

  • 최현숙;박수일;이덕찬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45-54
    • /
    • 2006
  • E. tarda의 독성 비교를 위하여 일반 TSB, iron-chelate인 2,2‘-dipyridyl 첨가 TSB 및 Fe 첨가 TSB의 세 가지 조건에서 E. tarda를 배양하였다. 독성시험의 결과는 iron-chelate 첨가 시험구의 E. tarda에서 가장 낮은 독성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각각의 OMPs와 IROMPs을 분리하여 SDS-PAGE로 항원성을 비교한 결과, iron-chelate 첨가 시험구의 E. tarda IROMPs에서 68, 73 kDa 크기의 분자들이 더 많이 발현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두 가지 vaccine 투여구 중에서 2,2‘-dipyridyl 첨가 배지로 배양한 균체로 제작한 DP-FKC 항원 투여구가 응집 항체가가 더 높게 나타났다. 면역반응의 변화를 알기 위한 응집 항체가 조사에서는 FKC 항원과 DP-FKC 항원 투여구에서 모두 대조구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3주 째에 최고치를 나타내었다. ELISPOT을 이용한 항체 생성 세포 수의 검출에서도 응집 항체가와 유사한 pattern을 나타내었는데, 두 가지 vaccine 투여구에서 2주 째에 가장 많은 항체 생성 세포 수를 나타내었다. 공격실험에서는 3주 째에 FKC 항원 투여구가 50%, DP-FKC 항원 투여구에서는 80%의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전체적으로 DP-FKC 항원 투여구의 생존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넙치에 대한 E. tarda의 vaccine으로는 현재 연구되고 있는 FKC vaccine보다 철 결핍 조건에서 배양된 균체의 항원인 DP-FKC vaccine이 동일한 조건으로 사용하였을 때 더 나은 방어력을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Distinct Humoral and Cellular Immunity Induced by Alternating Prime-boost Vaccination Using Plasmid DNA and Live Viral Vector Vaccines Expressing the E Protein of Dengue Virus Type 2

  • George, Junu A.;Eo, Seong-Kug
    • IMMUNE NETWORK
    • /
    • 제11권5호
    • /
    • pp.268-280
    • /
    • 2011
  • Background: Dengue virus, which belongs to the Flavivirus genus of the Flaviviridae family, causes fatal dengue hemorrhagic fever (DHF) and dengue shock syndrome (DSS) with infection risk of 2.5 billion people worldwide. However, approved vaccines are still not available. Here, we explored the immune responses induced by alternating prime-boost vaccination using DNA vaccine, adenovirus, and vaccinia virus expressing E protein of dengue virus type 2 (DenV2). Methods: Following immunization with DNA vaccine (pDE), adenovirus (rAd-E), and/or vaccinia virus (VV-E) expressing E protein, E protein-specific IgG and its isotypes were determined by conventional ELISA. Intracellular CD154 and cytokine staining was used for enumerating CD4+ T cells specific for E protein. E protein-specific CD8+ T cell responses were evaluated by in vivo CTL killing activity and intracellular IFN-${\gamma}$ staining. Results: Among three constructs, VV-E induced the most potent IgG responses, Th1-type cytokine production by stimulated CD4+ T cells, and the CD8+ T cell response. Furthermore, when the three constructs were used for alternating prime-boost vaccination, the results revealed a different pattern of CD4+ and CD8+ T cell responses. i) Priming with VV-E induced higher E-specific IgG level but it was decreased rapidly. ii) Strong CD8+ T cell responses specific for E protein were induced when VV-E was used for the priming step, and such CD8+ T cell responses were significantly boosted with pDE. iii) Priming with rAd-E induced stronger CD4+ T cell responses which subsequently boosted with pDE to a greater extent than VV-E and rAd-E.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riming with live viral vector vaccines could induce different patterns of E protein-specific CD4+ and CD8+ T cell responses which were significantly enhanced by booster vaccination with the DNA vaccine. Therefore, our observation will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optimal prime-boost vaccination against DenV.

The immune-adjuvant effect and safety of recombinant CC chemokine 1 (rRbCC1) in rock bream, Oplegnathus fasciatus

  • Kwon, Mun-Gyeong;Kim, Ju-Won;Hwang, Seong-Don;Kim, Eun-Gyeong;Park, Dae-Won;Park, Chan-Il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31-240
    • /
    • 2013
  • Adjuvants are immune enhancers that are often used in vaccination to augment the immune response of a vaccine, thereby enhancing the protective immunity against the targeted disease. In the present study, we used the recombinant protein, such as rRbCC1, this protein was produced from rock bream CC chemokine 1. To verify the adjuvant effects of this recombinant protein, the immune responses of rock bream to Streptococcus iniae (S. iniae) FKC vaccination, which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recombinant protein was analyzed and then also performed experimental challenge with live S. iniae. The result of serum agglutination titres was showed relatively low levels however, the efficacy of FKC vaccine still conferred protection against S. iniae. Moreover, the adverse effects result showed that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revealed between high concentration injected and non-injected fish groups, generally. The relative percent survival (RPS) of FKC + recombinant vaccination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vaccinated group with FKC alone. After experimental challenge to the rock bream by injection with live bacteria (S. iniae), the FKC + rRbCC1 vaccination group was showed 87.0% RPS, however, the RPS of FKC alone vaccination was 68.2%.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recombinant protein as an adjuvant had a clear synergism to injection vaccine of rock bream.

Salmonella Enteritidis 분리주에서의 선발된 불활화 백신균주의 방어효과 및 면역원성 (Protective effects and immunogenicity of Salmonella Enteritidis killed vaccine strains selected from virulent Salmonella Enteritidis isolates)

  • 강정무;원호근;김은희;노윤희;최환원;한태욱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21-28
    • /
    • 2011
  • Salmonella Enteritidis (SE) has been a major causative agent of food-borne human disease due to consumption of contaminated eggs and poultry meat. To prevent SE infection in poultry, and therefore minimize human infections, vaccination with either killed or live SE vaccine is suggested. We evaluated a newly developed killed bacterin using a representative SE isolate in Korea. Among pool of SE isolates, two highly virulent isolates (the one isolate from chicken, the other from human) were selected by measuring mortality in mouse and chickens administered. The chickens were injected intramuscularly with killed vaccine and were challenged with highly virulent SE strain 3 week after vaccination. The recovered colony count (cfu/g) of spleen and cecal content in the vaccinated groups was reduced compared with those of the unvaccinated control group. The antibody level in the vaccinated groups was higher at 3 week post vaccin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vaccination with killed vaccine was effective in preventing the infection of virulent SE. Further study for a large number of layers should be needed for the effect of egg production, SE shedding in feces, persistence of antibody level.

Oxidized Carbon Nanosphere-Based Subunit Vaccine Delivery System Elicited Robust Th1 and Cytotoxic T Cell Responses

  • Sawutdeechaikul, Pritsana;Cia, Felipe;Bancroft, Gregory J.;Wanichwecharungruang, Supason;Sittplangkoo, Chutamath;Palaga, Tanapat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9권3호
    • /
    • pp.489-499
    • /
    • 2019
  • Subunit vaccines are safer and more stable than live vaccines although they have the disadvantage of eliciting poor immune response. To develop a subunit vaccine, an effective delivery system targeting the key elements of the protective immune response is a prerequisite. In this study, oxidized carbon nanospheres (OCNs) were used as a subunit vaccine delivery system and tuberculosis (TB) was chosen as a model disease. TB is among the deadliest infectious diseases worldwide and an effective vaccine is urgently needed. The ability of OCNs to deliver recombinant Mycobacterium tuberculosis (Mtb) proteins, Ag85B and HspX, into bone marrow derived macrophages (BMDMs) and dendritic cells (BMDCs) was investigated. For immunization, OCNs were mixed with the two TB antigens as well as the adjuvant monophosphoryl lipid A (MPL). The protective efficacy was analyzed in vaccinated mice by aerosol Mtb challenge with a virulent strain of Mtb and the bacterial burdens were measured. The results showed that OCNs are highly effective in delivering Mtb proteins into the cytosol of BMDMs and BMDCs. Upon immunization, this vaccine formula induced robust Th1 immune response characterized by cytokine profiles from restimulated splenocytes and specific antibody titer. More importantly, enhanced cytotoxic $CD8^+$ T cell activation was observed. However, it did not reduce the bacteria burden in the lung and spleen from the aerosol Mtb challenge. Taken together, OCNs are highly effective in delivering subunit protein vaccine and induce robust Th1 and $CD8^+$ T cell response. This vaccine delivery system is suitable for application in settings where cell-mediated immune response is nee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