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terature-media

검색결과 693건 처리시간 0.025초

소셜미디어 연구의 흐름: 경영학 관련 연구의 메타분석 (Research trends in social media: A meta-analysis of business-related literature)

  • 곽현;박선주;정승화;정예림
    • 지식경영연구
    • /
    • 제16권2호
    • /
    • pp.29-45
    • /
    • 2015
  • The number of studies on social media has increased rapidly worldwide. There has been, however, little effort to assess th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social media studies up to pres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systematical viewpoint on social media research published by scholarly business-related journals. Our analysis focus on research topic, functionality, targeted media types, methodology, and characteristics. User research receives the most attention, followed by effect research in terms of developmental models of media research agenda. The major methodological trend is online survey. Facebook and twitter are the two most popular mediums studied in literature, and social media is mainly characterized as information sharing as well as relationship building. Two recommendations are suggested in ways to strengthen social media research: more various topics and application areas, and the rigor and diversity of research methods.

Role of Social Media in Online Radicalization: Literature Review and Research Agenda

  • Tanu Shree;Sumeet Gupta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29권2호
    • /
    • pp.268-282
    • /
    • 2019
  • This study attempts to synthesize the literature on radicalization and examine the role of social media in promoting radicalization. The study is based on the review of prominent studies on radicalization in both offline and online settings. The study builds upon the literature in offline settings on radicalisation and presents a research agenda for radicalization in online settings. The study also presents a model of radicalization delineating the role of social media.

문헌 연구를 통해 본 소셜 미디어와 인간의 관계: 사용자, 산업, 사회의 관점에서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Social Media Explored in Literature: From the Perspectives of Users, Industries, and Society)

  • 민진영
    • 정보화정책
    • /
    • 제29권3호
    • /
    • pp.3-25
    • /
    • 2022
  • 소셜 미디어의 등장 이후 20여년이 지난 지금 전 세계 인구의 반 이상, 거의 대부분의 인터넷 사용 인구가 소셜 미디어를 사용하는 시대가 되었다. 많은 사람에게 소셜 미디어 사용이 일상적 일이 되자 필연적으로 소셜 미디어와 관련된 다양한 사회현상이 나타났고 이에 따라 다수의 연구자가 이러한 현상들을 다양한 관점에서 연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연구들을 분석 및 고찰하여 소셜 미디어 현상과 연구들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Social Media'로 검색된 1,038개의 기존 문헌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어떤 주제를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 살펴보고 소셜 미디어 현상 및 연구 경향에 대한 종합적 이해를 제공하고자 했다. 나아가 Ihde(1990)의 기술과 인간의 관계를 문헌들이 다루고 있는 주제에 적용하여 소셜 미디어와 인간이 어떠한 관계로 발전해 왔는지 고찰하였다. 아울러 이 관계에 기반하여 기존 연구들이 채용한 소셜 미디어에 대한 관점을 해석하고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제언하였다.

The Effects of Message Tone and Formats of CSR Messages on Engagement in Social Media

  • CHAE, Myoung-Jin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10호
    • /
    • pp.501-511
    • /
    • 2020
  • As more consumers are interested in sustainability issues and evaluate brands based on their social responsibility issues involved, firms are using social media platforms in order to communicate with consumers about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activities. However, the current literature focuses mostly on factors drive engagement of promotional messages, while little evidence was found in the literature on how to design effective CSR messages on social media to engage consumers. Using over 3,000 branded posts on Facebook and Twitter, this research explores factors that help CSR messages become more engaging in social media. The results show that, on average, CSR messages had a negative significant effect on consumer engagement. However, CSR messages became more engaging when designed with emotional appeals, longer texts, and a hashtag. While marginal, CSR messages with informational appeals and humor undermined the effect of CSR messages on engagement. Finally, we explore different types of CSR messages by their beneficiary scope and the role of brands in the message and discuss what message contents drive more engagement in social media.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the academic literature and managers by providing new insights on how to design CSR messages for effective communications in social media.

소아청소년기 중이염의 천연물 의약품 치료 : 무작위 대조군 연구에 대한 문헌 고찰 (Herbal Medicines for the Treatment of Otitis Media in Children : A Literature Review of Randomised Controlled Trials)

  • 홍다희;김민희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42-56
    • /
    • 2024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literature review is to analyze herbal medicine's efficacy in pediatric otitis media. Methods : Six databases(Pubmed, CNKI, RISS, KISS, KCI, OASIS) were used to search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elated to pediatric otitis media until October 2023. Total nine studies written in Korean, English, Chinese, and German were selected and analyzed. Results : Recurrent otitis media was treated with Kami-hyunggyeyungyo-tang, Echinacea purpurea, and Sipjeondaebo-tang. For acute otitis media, Otovowen and Sopunghaedok capsule were administered, while Oryung-san, Chongyi-tang, and Changyija-san were used for otitis media with effusion. Glycyrrhizae Radix(甘草) and Cnidii Rhizome(川芎) were the most frequently used. Objective measures showed superior effects in the herbal medicine group for otoscopic examination, impedance test, audiometry, and fever. Sipjeondaebo-tang exhibited significant efficacy in recurrent otitis media treatment, possibly related to warming-interior medicine(溫裏藥) or blood-invigorating medicine(血分藥). Conclusion : Analyzing studies revealed herbal medicine's superiority for pediatric otitis media over conventional approaches.

매체통합 고전문학수업에서 매체풍부성과 매체경험이 매체유용성과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f the Influence of Medium Richness and Learner's Experience with Various Mediums on the Usefulness of Mediums and Learning Commitment in Integrated Media Korean Classical Education)

  • 현영란;정소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471-491
    • /
    • 2015
  • 본 연구는 창의인재교육 관점에서 고전문학수업에서 매체통합교육에 있어 매체풍부성과 매체경험이 매체유용성과 학습몰입과 어떤 상관성이 있는지 살펴본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 234개 시군구의 향토문화 자료를 집대성하고 이를 디지털화하여 서비스하는 웹매체인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www.grandculture.net)(향토DB)를 활용한 수업을 받은 418명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가설 설정, 타당도 검증, 인과모형을 도출하여 구조방정식을 분석한 결과, 향토DB의 매체풍부성과 학습자의 매체경험은 학습몰입에 주요한 영향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매체풍부성과 학습자의 매체유용성을 매개한 간접효과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따라서 향토DB와 같은 전국의 시군구 자료를 집대성한 웹매체의 적극적 발굴과 고전문학수업에서의 활용이 창의인재교육을 위한 매체통합교육에 유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과학과 미디어 기반 학습 관련 문헌 연구 (A Literature Review on Media-Based Learning in Science)

  • 변태진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417-427
    • /
    • 2017
  • 미디어는 정보 전달 수단으로 사용되는 문자 또는 이미지를 의미하며, 시공간을 넘어 정보 전달을 매개한다. 미디어는 신문과 텔레비전과 같은 올드 미디어부터 인터넷과 스마트폰으로 대표되는 뉴 미디어까지, 테크놀로지의 발달과 함께 점진적 누적적으로 발달해왔다. 미디어 교육의 목표는 미디어의 속성을 이해하고, 미디어에 대한 비판적 해석과 선별적 수용 태도를 기르며, 나아가 미디어를 통해 창의적으로 의미를 표현하고, 의사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다. 연구자는 국어, 사회 교과교육 연구자들과 함께 2016년 7월~12월까지 '미디어 기반 학습에 기초한 한국형 교실수업 모델 개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해당 과제의 기초 연구로써 연구자는 2006년~2016년 사이 발간된 58편의 논문에서 과학과 미디어 기반 학습과 관련된 문헌 연구를 통해 연구 동향과 변인을 추출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과 미디어 기반 학습 관련 연구가 최근 증가 추세에 있으며, 전체 연구 중 초등학생을 연구 대상으로 삼은 경우가 절반이 넘었다. 조사한 문헌들은 학생 대상 연구, 교사와 예비 교사 관련 연구, 스마트 기기 또는 미디어 콘텐츠 관련 연구, 디지털 교과서 개발 관련 연구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4개의 변인 중 학생을 대상으로 인지적 정의적 발달 관련 연구와, 미디어 콘텐츠의 개발 및 적용과 관련된 연구가 다수를 이루었다.

Current Literature Analysis of Arts and Cultural Management

  • Woo-Jun JANG
    • 산경연구논집
    • /
    • 제15권4호
    • /
    • pp.27-33
    • /
    • 2024
  • Purpose: Arts and cultural management are a field with unique meaning and significance. This study is uniquely based on the focus of arts and cultural management on social and cultural sustainability sets it apart from other related study fields. Through delving into arts and cultural management, one can quickly gain skills vis-à-vis creativity and innovation in traditional and emerging media platform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e current researcher relied on the descriptive research design, arriving at and evaluating the findings. The descriptive research design was the most ideal because of the need to evaluate the various literature sources systematically and later describe them without undue influence. Results: This research's core finding of art and cultural management in the current literature may be split up four findings, such as (1) Art and Cultural Management is Fast Embracing Digital Innovations and Related Elements, (2) Data and Analytics in Art and Cultural Management, (3) Interdisciplinary Nature of Arts and Cultural Management Elements, and (4) Arts and Cultural Management Face Numerous Challenges that Define it and its Future. Conclusions: All in all, based on the literature findings, the present research concludes that It is incumbent upon the various stakeholders, such as the government, to prioritize the arts and cultural management field through adequate budgeting and allocation of money.

중학생의 유해매체 이용과 흡연 및 음주 간의 관련성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Use of Harmful Media, Smoking, and Drinking among Junior Highschool Students)

  • 문인옥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43-54
    • /
    • 2009
  • Objectives: Adolescent health risk behaviors are typically smoking, drinking, violence, and the use of harmful media. The articles published in the literature are about those behaviors which was individually studied. Teenagers, however, are likely to have those behaviors simultaneously such as smoking and drinking. Also, the use of media and harmful materials are common among adolesc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of smoking, drinking, the use of harmful media. Methods: This study was a secondary analysis using the data drawn from National Youth Committee's survey of adolescent harmful environment in 2007. The self-reported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7,409 students attending junior high schools between October 10 and November 20. The samples were randomly selected based on strata of geography, schools, and gender. Results: Junior high school students used the harmful media ranging from 13.9 % to 31% depending on the type of media. The most accessed one was adult-only games. The current smoking rates was 5.4% and drinking rates was 27.4%.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moking and the use of harmful media, between drinking and the use of harmful media, and between smoking and drinking. The behavioral factors that can predict the use of harmful media based on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re the grade and smoking. Conclusion: Students were at risk of engaging health risk behaviors as they were getting older. Like other literature, smoking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adolescent behavioral problems.

  • PDF

텍스트의 정서 단어 추출을 통한 문학 작품의 정서 분석 (Analyzing Emotions in Literature by Extracting Emotion Terms)

  • 함준석;이신영;고일주
    • 감성과학
    • /
    • 제14권2호
    • /
    • pp.257-268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단위 시단 동안 주로 작용하는 정서를 '지배적 정서(dominant emotion)'라고 정의하고, 문학작품의 지배적 정서 흐름을 자동적으로 추출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한다. 한국어는 언어 구조적 특성상 접미어에 따라 의미가 역전되거나 달라질 수 있다. 하지만 소설이나 수필 같이 일정 이상의 분량을 가진 텍스트에서 정서 단어를 추출한다면 어느 정도 추출이 잘못되어도 지배적 정서 흐름을 판단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문학작품에서 지배적 정서를 추출하기 위한 절차는 다음과 같다. 먼저 문학작품의 전제 텍스트에서 형태소를 분석하여 형태소 단위의 단어를 추출한다. 추출된 단어를 정서 단어 데이터베이스와 매칭하여 정서적 의미를 담고 있는 단어를 분리해 낸다. 분리된 단어들을 정서 모델에 사상하여 해당 단어가 갖고 있는 정서를 도출한다. 도출된 정서 단어들을 통해 지배적 정서를 분석한다. 제안한 방법론에 따라 현진건의 현대소설 '운수 좋은 날'과 윤오영의 수필 '방망이 깎던 노인'을 분석한 결과, 지배적 정서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