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teracy learning

검색결과 485건 처리시간 0.023초

대학생을 위한 웹기반 정보활용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분석 (Development of Web-Based Information Literacy Program for Undergraduate Students and Its Effect Analysis)

  • 박수희;최성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357-387
    • /
    • 2006
  • 본 연구는 웹기반 정보활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활용효과를 분석하여 향후 정보활용교육을 웹기반으로 구축함에 있어 바람직한 사례를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 하에 대학생들의 웹기반 정보활용교육에 관한 요구를 분석하고,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개발하였으며, 면대면 교육과 웹기반 교육 두 가지의 프로그램을 실험을 통하여 활용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두 가지 학습형태는 교육 효과 및 학습자 만족도의 면에서 동등한 수준으로 높게 측정되었다.

창의적 체험활동을 위한 환경동아리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Effects of Development Environmental Club Programs for Creative Experiential Learning Activity)

  • 이상균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14-123
    • /
    • 2012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environmental club activities of the creative experiential learning activities on the improvement of students' Environmental Literacy and Pro-environmental Behavior. For that purpose, This study divided 24 students at Jinhae U Elementary School into test groups of 12 students and Control groups of 12 students. Test groups participated in the 'GomGomi' environmental Club for sixteen times from March 2011 to December 2011. Conclusions of this study include; First, we found that the environmental club activities is effective to improve the students' environmental Literacy overall. Specifically, the Environmental Club Activities was effective in the sub-catagories of environmental Literacy such as 'rights of nature' and 'eco-crisi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sub-category of 'human exemptionalism' Second, we found that the environmental club activities is effective to improve students' pro-environmental behavior overall. Specifically, the environmental club activities was effective in the sub-domains of Pro-environmental Behavior such as 'cognitive domain' and 'affective domain'.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sub-domains of 'behavioral domain'. Summary, the environmental club activities was shown to be effective for improving their environmental literacy and pro-environmental behavior; This study implies that the environmental club activities of the creative experiential learning activities would be a effective tool to help students to improve their environmental literacy and pro-environmental behavior.

중고령층 문해학습자의 흥미 유발 및 학습 효과를 높이는 문해교육 방법 (A Study on the Method of Literacy Education that Increase Interest and Learning Effect of Elderly Learners - A Case Study of Literacy Education in Chungcheongbuk-do -)

  • 김영옥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479-493
    • /
    • 2019
  • 본 연구는 중고령층 문해학습자의 흥미 유발 및 학습 효과를 높이는 문해교육 방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충북 중고령층 문해교사, 기관 운영자, 평생교육사, 문해학습자 총11명을 면담 및 참여관찰 하였다. 연구결과 중고령층 학습자들은 배운 것을 쉽게 잊어버리고 받아쓰기를 통해 글씨를 정확하게 익히며, 높은 경쟁 심리 등 공부가 일상생활에서 1순위가 되고 있다. 글씨 형성 의미를 알게 하는 놀이활동, 실생활과 연결된 학습, 받아쓰기가 기억력 및 인지력 향상에 효과적이다. 또한 일상생활에서 익숙한 재료를 활용한 만들기, 교과서에 나오는 극과 시로 역할극, 글씨 큰 그림 동화책 활용, 팀 단위 게임 및 활동, 배우기 쉬운 악기 및 노래 부르기, 공연 및 발표회 등 무대 경험, 실생활 및 교육문화 시설 현장 체험 등이 중고령층의 흥미와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다. 결과 공유 발표회 및 연합 행사, 자료 및 재료비, 문해교사 역량강화 교육 및 공유, 문해교육 연중 운영, 학력인정과정과 병행 및 보조강사 지원이 중요하다. 시사점으로는 문해교사 교육, 보조강사 활용, 학력인정 문해교육과정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챗봇 활용 수학 프로젝트 학습이 인공지능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ath Project Learning Using Chat-bot on Artificial Intelligence Literacy)

  • 유희정;고호경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9권2호
    • /
    • pp.229-250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project learning using chatbots on artificial intelligence literac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a total of 41 students from 1st to 3rd grade of general high school in Gyeonggi-do. Classes were held after school for a total of 6 hours, and the contents of the classes consisted of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e concept and expression of knowledge, OBT application for Kakao i open builder, guidance on how to create chatbots, and chatbot production practice. As a result of the pre- and post-test of the experimental group, the quantitative value of artificial intelligence literacy increased in all three grades. In the case of second-year students who set up a comparison group, when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the comparison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AI literacy result, and female students were found to be more effective than male students.

문제중심학습기반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정보활용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학업적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imulation Education with Problem-based Learning on Information Literac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Academic Self-efficacy of Nursing Students)

  • 조옥희;황경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4호
    • /
    • pp.239-247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SIM-PBL이 간호대학생의 정보활용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학업적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함이다. 대상자는 한국의 일개 대학교 간호학과 4학년 학생 81명이었다. SIM-PBL은 4주 동안, 주 1회(150분) 제공하였고, 교육 전후에 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하여 정보활용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학업적 효능감을 조사하였다. 교육 후에 정보활용능력의 하부영역 중 정보통합(${\acute{p}}=.030$), 정보표현(${\acute{p}}=.003$) 및 정보윤리(${\acute{p}}=.016$) 영역의 능력이 향상되었다. 그러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학업적 효능감은 교육 후에 변화가 없었다. SIM-PBL은 간호대학생의 정보활용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교수법임을 확인하였다. 앞으로, 신뢰성 높은 유용한 정보를 윤리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 SIM-PBL 교육방안이 필요하다.

간호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전공만족도의 관계에서 LMS 학습효과의 매개역할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Literacy and Major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Intermediary Role of LMS Learning Effects)

  • 김은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4호
    • /
    • pp.27-35
    • /
    • 2022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전공만족도 간의 LMS 학습효과의 매개역할를 파악하고자 J시의간호대학에 재학중인 241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3.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간호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는 LMS 학습효과(B=.65, p<.001)와 전공만족도(B=.62, p<.001)에 정적인 영향을 주며, LMS 학습효과는 전공만족도에 정적인(B=.19, p<.001) 상관관계가 있어 간호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전공만족도의 사이의 관계에서 LMS 학습효과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를 향상 시키기 위해서는 디지털 리터러시뿐만 아니라 LMS 학습효과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구성주의 학습기법의 발전방안으로서의 학교도서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chool Library as a Development Device of the Constructivism's Learning Method)

  • 서진원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341-356
    • /
    • 2007
  • 본 논문은 구성주의 학습기법과 학교도서관의 관계를 규명하여 학교도서관이 구성주의 학습기법에서 어떠한 역할을 할 수 있고 나아가서 학교교육에 어떻게 기여 할 수 있는가를 연구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현대 지식정보사회에서의 구성주의와 구성주의 학습기법의 발달과정, 개념, 특성 등을 살펴보았다. 학교 도서관에서는 특히 사서교사의 information literacy교육의 개념과 그 중요성을 파악하고 이를 통하여 구성주의 학습기법이 효과적으로 수행 될 수 있음을 주장하였다.

  • PDF

정보활용능력 교수효과 평가 및 교과설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Information Literacy Program and the Development Ofits Design Principle)

  • 김성원
    • 정보관리연구
    • /
    • 제41권4호
    • /
    • pp.23-40
    • /
    • 2010
  • 급변하는 정보사회를 살고 있는 개인들의 독립적인 평생학습(lifelong learning)의 필요성 대두에 따라 평생학습을 가능케 하는 주요한 자질로서 정보활용능력(information literacy)의 중요성이 널리 인식되고 있다. 몇몇 국가에서는 국가적 차원의 정보활용능력 기준을 제정하고 교과과정에 정보활용능력의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을 도입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정보활용능력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정규 교과과정의 개설도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고에서는 정보활용능력 관련 교과 수강생들의 자기효능감(self-efficiency) 평가결과를 기반으로 관련 교과의 교수효과를 확인하고, 교과설계 시 반영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로 교과과정이 수강생들의 정보활용능력 증진에 도움이 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자기효능감 평가를 기반으로 교과과정 설계 시 반영할 수 있는 시사점들을 제시하였다.

미디어리터러시와 자기표현 및 정서조절전략이 청소년의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edia Literacy and Self-Expression and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o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ies For Youth)

  • 육명신;박명신;박용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6940-6948
    • /
    • 2015
  • 본 연구는 미디어리터러시와 자기표현 및 정서조절전략이 청소년의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D지역의 청소년 453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미디어리터러시, 자기표현, 정서조절전략은 청소년의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청소년의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디어리터러시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자기표현 및 정서조절전략은 미디어리터러시와 청소년의 자기조절학습능력 사이에서 매개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미디어리터러시 시대에 학교생활 및 교육현장의 교육과정을 통해 청소년의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자기표현 및 정서조절전략 향상을 위한 많은 노력과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함과 우리 미래의 희망인 청소년의 삶에 필요한 자기표현, 정서조절전략, 자기조절학습능력의 향상과 학교교육의 질적 수준을 높일 수 있는 이론적이고 실증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많은 시사점을 준다.

From Information to Knowledge: The Information Literacy Conundrum

  • Todd, Ross J.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131-153
    • /
    • 2010
  • The fusion of learning, information, and technology presents dynamic challenges for all librarians, educators and students in 21st century libraries and schools. At the heart of this fusion is the growth of a pervasive, integrated information environment characterized by vast quantities of digital content, open choice, collaborative and participatory digital spaces, and the transition of the web environments from consumption of information to creation of information. This environment heralds important opportunities for librarians and teachers to rethink, re-imagine and recreate a dynamic approaches to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Drawing on an extensive body of research undertaken through the Center for International Scholarship in School Libraries (CISSL), and published research on both information literacy and constructivist learning, this paper provides a critical examination of the current status of information literacy: its multiple conceptualizations, competing models, viewpoints, and its operationalizations in educational and library environments. The paper will challenge information literacy practices which center on simplistic, reductionist approaches to information literacy development, and the separation of information process and knowledge content. In particular it will address apparent contradictions in espoused conceptions of information literacy which revolve around "knowledge": knowledge construction, critical thinking, problem solving and the development of knowledgeable people; and information literacy practices which revolve around "information": a predominant focus on skills of access and evaluation of resources and with less attention given to engaging with found information to develop deep knowledge and understanding. The paper will present a series of challenges for moving forward with information literacy agendas in libraries and schoo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