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teracy condition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5초

외국인 이주노동자의 구강건강수준과 치과 의료이용 관련요인 (Related factors to dental care utilization and oral health status in immigrant workers in Korea)

  • 남인숙;이경수;장은진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9-29
    • /
    • 2015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ed factors to dental care utilization, oral health behaviors, and oral health status in immigrant workers in Korea. Methods: The subjects were 504 foreign immigrant male workers over 20 years old who visited Daegu labor consultation center for oral health survey and oral examination. The questionnaire included 5 questions of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8 questions of oral health practice behavior, 6 questions of dental clinic visit, 8 questions of social relations and Korean language proficiency. The question for health behavior was measure by body mass index(BMI). Social relations and Korean language proficiency instrument was modified by Seol from "Family welfare survey in Korean international marriage" and scored by Liker 5 scale. Results: The oral health examination of the immigrant workers was as follows: decayed teeth - 76.6%, filling teeth - 27.4%, missing teeth - 69.8%, dental caries experience above five or more - 60.2%, periodontal pocket tissues - 58.9%. Simplified Oral Hygiene Index was very poor and accounted for 49.0%. Dental care utilization experience was closely associated with social relation indexes including attendance in family events, household stuff help, financial help and counseling for hard work(p<0.01). Dental care utilization experience proportionally increased with proficiency in Korean literacy including speaking, listening, and writing abilities of Korean language(p<0.01). Conclusions: In order to improve the oral health condition of the immigrant workers, it is important to provide social network, Korean language proficiency support, and health insurance coverage through economic burden reduction by the Korean government.

예비교사를 위한 ICT 활용 교육과정 모형 (Model of ICT Utilization Curriculum for Preservice Teachers)

  • 이철현;신수범;유인환;이태욱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3권1호
    • /
    • pp.87-95
    • /
    • 2000
  • 현재까지의 컴퓨터교육은 주로 초 중등 학생의 정보소양 함양에 치중해 왔다. 이에 반해, 학교교육에서 핵심적 변수가 교원임에도 불구하고 교원의 정보통신기술함양 교육에는 소홀한 경향이 짙다. 또한 교원 양성대학에서 예비 교사들의 정보통신기술 활용 능력을 신장시키려는 노력도 상대적으로 미약했던 것이 현실이다. 이와 같은 인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국내 교원양성대학의 교육과정 현황 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진단하고, 초 중등 컴퓨터교육에서 ICT 활용 교육의 위치를 탐색하였다. 또한, 국가수준에서 교원에게 요구되는 ICT, 교사 업무 영역별 예비교사에게 필요한 lCT 활용 능력 및 교원양성대학 컴퓨터교육의 방향을 토대로 교육 목표 및 교육 내용을 제시하였다.

  • PDF

메타버스 활용 교육에 대한 디자인 전공생의 인식 및 실태 분석 : D 대학교를 중심으로 (Analysis on Awareness and Actual Condition of Metaverse Utilization in Education for Design Major Students : Focusing on D-University)

  • 강희정;한현석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837-842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메타버스 활용 교육에 대한 디자인 전공생들의 인식과 실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D대학교 디자인 전공생 120명을 대상으로 2023년 5월 10일부터 23일까지 14일간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의 평가 방법은 명목 척도, 5점 척도로 하였고, 설문 결과에 대하여는 SPSS 29.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한 빈도 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메타버스 활용 교육에 대한 장점이 학생들과 충분히 공유될 필요가 있으며, 메타버스의 특성을 이해하고 수업 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기본 소양 프로그램이 제공되는 것도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둘째, 단순 정보 전달이나 이해 위주의 강의보다는 실기를 진행하는 스튜디오 수업 등에서 학생들의 호응이 높을 것으로 보여 진다. 셋째, 메타버스가 코로나19 시대에 일시적으로 유행했던 매체에 그치지 않고 디지털 전환 시대의 교육적 수단으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메타버스의 특성을 반영한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이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개발될 필요가 있다. 또한 교수자 역시 메타버스의 활용을 적극적으로 검토하여 메타버스의 다양한 활용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지식정보처리역량에 대한 과학교사의 인식 조사 (A Study of Science Teachers' Perception on Knowledge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y)

  • 손미현;정대홍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693-703
    • /
    • 2018
  • 지식 정보화 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역량 중의 하나는 지식정보처리 역량일 것이다. 지식정보처리역량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이기도 하면서 과학 교과와 매우 관련이 깊다. 역량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많은 사람들이 공감하지만 수업 내에서의 실천은 교사의 의지에 달려있다. 따라서 지식정보처리역량에 대한 과학교사들의 인식과 수업실태를 조사하였다. 조사 방법은 서울의 중학교 교사 32명과 고등학교 교사 32명의 객관식 및 주관식 설문과 지식정보처리역량과 관련된 수업을 진행하는 교사 3인의 면담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지식정보처리역량에 대해서 모든 교사가 그 중요성을 공감하였으며 정보화 사회라는 시대적 흐름과 과학적 역량 함양이라는 교과 목표와 연관지어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수업에서 실천하는 경우는 많지 않았는데, 이는 설문 결과는 수업 시간의 부족으로, 면담 결과에서는 교사의 PCK 부족을 꼽았다. 지식정보처리역량 관련 연수 경험은 절반 정도였으나 대부분 정보활용 교육에 관련된 것으로 수집과 분석 부분에 대한 연수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지식정보처리역량의 요소별 중요도는 정보수집, 분석, 활용 모두 매우 높았으며 그 중 정보분석이 가장 높았다. 대부분은 중학교 교사의 중요도 인식이 더 컸으나 그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정보수집 요소에서 정보원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고등학교 교사의 인식이 유의 수준에서 더 높았다. 지식정보처리역량의 함양을 위해서는 과학 교과 수업시간에 정보처리역량을 강조할 수 있도록 과학 탐구의 의미를 확대하고 타교과와의 연계 방안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지식정보처리역량 함양이 교과 교육내에서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기 위해서 제도적 뒷받침과 역량의 특성을 고려한 교수학습방법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Korean parents' perceptions of the challenges and needs on school re-entry during or after childhood and adolescent cancer: a multi-institutional survey by Korean Society of Pediatric Hematology and Oncology

  • Lee, Jun Ah;Lee, Jae Min;Park, Hyeon Jin;Park, Meerim;Park, Byung Kiu;Ju, Hee Young;Kim, Ji Yoon;Park, Sang Kyu;Lee, Young Ho;Shim, Ye Jee;Kim, Heung Sik;Park, Kyung Duk;Lim, Yeon-Jung;Chueh, Hee Won;Park, Ji Kyoung;Kim, Soon Ki;Choi, Hyoung Soo;Ahn, Hyo Seop;Hah, Jeong Ok;Kang, Hyoung Jin;Shin, Hee Young;Lee, Mee Jeong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63권4호
    • /
    • pp.141-145
    • /
    • 2020
  • Background: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cancer, going back to school is a key milestone in returning to "normal life." Purpose: To identify the support vital for a successful transition, we evaluated the parents' needs and the challenges they face when their children return to school. Methods: This multi-institutional study was conducted by the Korean Society of Pediatric Hematology and Oncology. The written survey comprised 24 questions and was completed by 210 parents without an interviewer. Results: Most parents (165 of 206) reported that their children experienced difficulties with physical status (n=60), peer relationships (n=30), academic performance (n=27), emotional/behavioral issues (n=11), and relationships with teachers (n=4) on reentering school. Parents wanted to be kept informed about and remain involved in their children's school lives and reported good parent-teacher communication (88 of 209, 42.1%). Parents reported that 83.1% and 44.9% of teachers and peers, respectively, displayed an adequate understanding of their children's condition. Most parents (197 of 208) answered that a special program is necessary to facilitate return to school after cancer therapy that offers emotional support (n=85), facilitates social adaptation (n=61), and provides tutoring to accelerate catch up (n=56), and continued health care by hospital outreach and school personnel (n=50). Conclusion: In addition to scholastic aptitude-oriented programs, emotional and psychosocial support is necessary for a successful return to school. Pediatric oncologists should actively improve oncology practices to better integrate individualized school plans and educate peers and teachers to improve health literacy to aid them in understanding the needs of children with canc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