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pase inhibitor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21초

자연발효(自然醱酵) 대두식품(大豆食品)의 영양적(營養的) 가치(價値)와 그의 제조(製造) 중(中) 효소활성변화(酵素活性變化) (Nutritional Evaluation of Naturally Fermented Soybean and the Enzymatic Activity Changes during the Preparation)

  • 이상열;민용규;박관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01-107
    • /
    • 1983
  • 한국산(韓國産) 대두(大豆) 4품종(品種)을 $25^{\circ}C$에서 1일(日)에서 7일(日)까지 자연발효(自然醱酵)시키며, 영양가와 효소활성의 변화 및 수분활성도(水分活性度)를 조사하고 식미검사(食味檢査)를 하였다. 대두(大豆)의 자연발효 중 pH는 6.48에서 3.93으로 떨어졌고, 적정산도는 0.3%에서 1.94%로 증가하였다. 또는 riboflavin, relative nutritive value, available lysine 함량(含量)은 각각 98에서 $309.4{\mu}g/$/100g D. B, 78.66에서 94.59%, 6.56에서 7.38mg/gN으로 상당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프로테아제(protease) 역가(力價)는 $2{\sim}3$일(日) 후 급격한 증가를 보였으며 리파아제(lipase) 역가도 거의 직선적으로 증가하였는데 반(反)하여 trypsin inhibitor와 리폭시게나아제(lipoxygenase)의 역가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발효대두의 등온흡습곡선(等溫吸濕曲線)을 실험에 의해 구하였고 발효에 의한 단백질 분해정도가 증가함에 따라 수분흡수능(水分吸收能)이 증가하였다. 발효대두를 이용하여 제조한 과자류 및 국수류의 식미검사 결과 성적이 양호하였으나 신맛의 개선이 요구되었고 5조의 농촌형식품(農村型食品)은 농민들의 좋은 반응을 얻었다.

  • PDF

황백(Phellodendri Cortex)으로부터 분리한 지방세포 분화 저해물질 (Adipocyte Differentiation Inhibitor Isolated from the Barks of Phellodendron amurense)

  • 김경희;안순철;이명선;권오송;오원근;김민수;손천배;안종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503-509
    • /
    • 2003
  • 비만 저해 물질을 탐색하고자 전통의학에서 사용되는 200여 종류의 식용 또는 약용식물을 대상으로 지방세포 분화저해활성을 보이는 생약식물을 선별하여 용매층으로 활성이 이행되는 생약 중 황백(Phellodendri Cortex)을 최종적으로 후보식물로 선정하였다. 황백을 메탄올로 추출한 후,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ODS RP-18 column chromatography, HPLC 등을 수행하여 지방세포 분화 저해활성을 갖는 화합물 PC-4를 분리하였다. PC-4는 노란색의 분말형태로 메탄올을 용매로 UV 최대흡수치를 조사한 결과, 222, 265, 349, 429 nm에서 최대의 UV의 흡수치를 보였으며 산이나 알카리 조건에서 최대 흡수치의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EI-mass spectrum을 측정한 결과, 분자량이 336.1로 예상되었으며 $^1H-NMR,\;^{13}C-NMR,\;DEPT,\;^1H-^1H\;COSY$, HMQC, HMBC NMR spectrum을 통해, PC-4는 isoquionoline alkaloide계열의 berberine으로 동정되었다. PC-4는 지방의 대사에 관여하는 중요한 효소인 fatty acid synthase와 pancreatic lipase에 대한 저해활성은 나타나지 않았으나, 지방세포 분화 저해활성은 $1\;{\mu}g/mL$의 낮은 농도에서도 관찰되었다.

Pharmacological Therapies of Obesity: A Review of Current Treatment Options

  • Bacher, H.Peter;Shepherd, Gillian M.;Legler, Udo F.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7권4호
    • /
    • pp.348-352
    • /
    • 2009
  • Over the last decade, the incidence of overweight and obesity has nearly doubled in many countries and is considered a pandemic. Obesity was identified as a major risk factor for cardiovascular disease as the same level as smoking and diabetes. Visceral fat is considered one of the key contributors to outcome and certain ethnic groups such as Asians seem to be more affected than others. Weight reduction through lifestyle changes was found to be impactful to improve overall health, but weight loss and maintenance thereof is limited and difficult to sustain. Surgical intervention demonstrated a greater weight loss in the severely obese and was associated with improved all-cause mortality. Despite numerous pharmacological targets and a high medical need, only few drugs have been successfully developed. Earlier studies with amphetamine-derived compounds showed significant weight loss but their critical safety profiles led to market withdrawals and disappointment. More recent compounds; orlistat - a lipase inhibitor, rimonabant - a cannaboid-1-receptor antagonist, and sibutramine - a combined serotonin/norepinephrine re-uptake inhibitor, all demonstrated similar significant efficacy; however, they carry specific safety profiles making them unsuitable for every patient. The main limitation of pharmacotherapy is the absence of clear benefit-risk assessments through outcome studies. Such a study - the SCOUT trial - was designed to compare sibutramine versus placebo and the effect on morbidity and mortality in nearly 10,000 obese patients with additional risk factors. Such studies could provide new scientific evidence for obesity treatment and may support future pharmacological approaches.

탱자 (Poncirus trifoliata)의 lipoprotein lipase 억제메커니즘 (A study of the lipoprotein lipase inhibitory mechanism of Poncirus trifoliata water extracts)

  • 이성미;강윤환;김경곤;김태우;최면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8권1호
    • /
    • pp.9-18
    • /
    • 2015
  • 본 연구에는 최근 항비만 소재로 연구되고 있는 건조, 미숙탱자의 물 추출물 (PF-W) 소재를 대상으로 폴리페놀 ($52.15{\pm}4.02mg/g$)과 플라보노이드 ($6.56{\pm}0.47mg/g$) 함량을 측정하고 항산화 활성과 세포독성을 시험한 후, 지방 흡수 제어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lipoprotein lipase (LPL)의 억제효능을 배양배지와 세포 내의 LPL 함량, LPL mRNA 발현 그리고 LPL 효소활성측정을 통해 검토하였다. 그 결과 PF-W은 3T3-L1 adipocyte에서 LPL mRNA의 발현과 활성에는 영향이 없었으며, LPL의 분비를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PF-W의 LPL 분비억제기작을 확인하기 위해 다양한 단백질 이동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확인하였고, 그 결과 LPL의 이동과 분해에 관여하여 세포내 LPL의 활성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진 SorLA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조절하는 transcription factor의 발현과 세포핵으로의 이동에 PF-W가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 PF-W를 처리함으로써 SorLA promoter 에 작용하는 $C/EBP{\beta}$의 단백질양이 세포핵에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PF-W가 SorLA 유전자의 transcription factor인 $C/EBP{\beta}$의 단백질 발현을 세포핵에서 증가시킴으로써 SorLA의 발현이 증가되어 LPL의 분비억제가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PF-W의 항비만 효과기전을 설명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라 사료된다.

비만 개선 효과를 지닌 탄수화물 및 지방 흡수 억제 기능성 식이조성물 개발 (Development of an anti-obesity dietary supplement inhibiting the digestion of carbohydrate and lipid)

  • 윤유식;최선미;홍순복;홍정미;김정원;이홍석;홍성길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19-324
    • /
    • 2002
  • In a previous study, we developed a new food additive as an egg yolk antibody (IgY) against carbohydrate digestion enzymer for the regulation of blood glucose level and weight control. The IgY delayed and decreased the increment if blood glucose level after administration of sucrose in human being by 30% in 20∼30 min. We also developed a lipase inhibitor as a water extract of two kinds of herb, Platycodon grandiflorum and Solanum Melongena, Twenty three volunteers were subjected to the intake of the egg yolk IgY Plus the herbal extracts for 50 days. In average, the treated subjects appeared to lose 1.96 kg of body weight and 3.4 kg of body fat mass during the treated period. Furthermore, Panniculus adiposus and breech siz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Above results suggested that the administration of the dietary additives composed of egg yolk IgY and natural herbal extract improve the obesity by the decrement of body weight and body fat mass.

아실 시아노포스포레인과 아민 유도체로 부터 γ-아미노부틸산에서 유도된 포스포리파제 A2 저해제의 효과적인 합성 (An Efficient Synthesis of γ-Aminobutyric Acid-Derived Phospholipase A2 Inhibitors from Acyl Cyanophosphoranes and Amine Derivatives)

  • 이기승;김대근
    • 대한화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61-170
    • /
    • 2004
  • 일련의 유효한 ${\gamma}$-아미노부틸산에서 유도된 인간 시토솔릭 포스포리파제 A$_2$ 저해제를 아실 시아노포스포레인과 아민 유도체로 부터 수렴적으로 합성하였다. 저해제 내의 친전자적인 단편인 알파-케토 아미드 작용기는 불안정한 ${\alpha},{\beta}$-디케토 니트릴과 ${\gamma}$-아미노부틸산 삼차-부틸에스테르 유도체와의 직접 융합반응에 의하여 -78 $^{\circ}C$에서 양호한 수율로 합성하였다.

췌흉강루에 의한 혈성 흉수의 치험 - 1예 보고 - (Pancreatico-pleural Fistula: A Rare Cause of Hemorrhagic Pleural Effusion - A case report -)

  • 유정환;강신광;김용호;유재현;임승평;이영;전광식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2권2호
    • /
    • pp.263-267
    • /
    • 2009
  • 혈성 흉수를 동반한 췌흉강루는 췌가성낭포 파열 혹은 췌관 폐쇄에 의해 생기는 드문 질환이다. 만성 음주력이 있는 48세 남자가 다량의 우측 총수로 내원하였다. 흉수 내 아밀라제와 리파제가 상승되어 있었고, 전산화 단층촬영에서 췌가성낭포 파열에 의한 췌흉강루로 진단되었다. 최초 치료로 흉관 배액, 금식, 총정맥영양 및 췌장액 분비억제제 등의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여 증상이 호전되었으나, 이후 출혈성 췌가성낭포가 커지고 혈성 흉수가 재발하여 수술적 치료를 하였다. 환자는 특별한 합병증 없이 수술 후 27일째 퇴원하였다.

$17{\beta}$-estradiol Prevents the Expression of $CEBP{\alpha}$-mediated Adipocyte Marker Genes in Female Ovariectomized C57BL/6 Mice

  • Yoon, Mi-Chung;Jeong, Sun-Hyo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31-137
    • /
    • 2008
  • Adipogenesis is a complex sequence of events that culminates in the differentiation of fibroblast-like preadipocytes into specialized lipid-filled adipocytes and also involves a cascade of expression of many transcription factors such as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PPAR{\gamma})$ and CCAAT/enhancer-binding proteins (C/EBPs). $PPAR{\gamma}$ and C/EBPs transcriptionally transactivate adipocyte specific genes, including fatty acid transport protein (FAT/CD36) and leptin. To determine whether $17{\beta}$-estradiol modulates $C/EBP{\alpha}$ actions on adipogenesis in high fat diet-fed female ovariectomized (OVX) C57BL/6 mice, mice were treated with $17{\beta}$-estradiol for 7 days and the effects of $17{\beta}$-estradiol on adipose tissue mass and expression of adipocyte specific gene as well as $C/EBP{\alpha}$ were measured. Compared to vehicle-treated OVX control mice, OVX mice treated with $17{\beta}$-estradiol for 7 days had lower adipose tissue weights that were similar to weights in high fat diet-fed sham-operated (Sham) mice. OVX mice showed the increased expression of $C/EBP{\alpha}$ mRNA compared with Sham mice. However, $17{\beta}$-estradiol treatment in OVX mice inhibited OVX induced-$C/EBP{\alpha}$ activation, indicating that $17{\beta}$-estradiol may act as an inhibitor of $C/EBP{\alpha}$ action. Moreover, $17{\beta}$-estradiol decreased mRNA levels of adipocyte marker genes, such as lipoprotein lipase, FAT/CD36 and leptin, to levels in Sham mi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down-regulation of adipogenesis by $17{\beta}$-estradiol may be due to reduced adipose $C/EBP{\alpha}$ activities in female OVX C57BL/6 mice.

  • PDF

교세포에서 Epigallocatechin Gallate에 의한 포스포리파제 D의 활성화 (Epigallocatechin Gallate Activates Phospholipase D in Glioma Cells)

  • Kim, Shi-Yeon;Kim, Joonmo;Min, Do-Sik
    • 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924-932
    • /
    • 2003
  • 녹차의 주성분인 에피갈로 갈레이트 (EGCG)는 건강에 이로운 효과로 나타내고 있는것으로 알려져 있어 많은 주목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처음으로 EGCG가, U87사람의 교세포에서 포스포리파제 D의 효소활성을 증가시킨다는 사실을 규명하였다. EGCG에 의한 포스포리파제 D의 활성화는 포스포리파제 C효소의 특이적인 억제제와 지질분해효소 활성이 억제제 포스포리파제 \gama1$의 변이체를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 세포내 칼슘에 의존적인 양상을 보였주었다. 이러한 포스포리파제 D의 활성화는 아마도 칼슘 의존성 단백질 키나아제 II (CaM kinase II)를 통하여 일어나는것으로 여겨진다. 흥미롭게도, EGCG는 포스포리파제 \gama1$를 세포질에서 세포막으로의 이동을 유도하였으며, 포스포리파제 \gama1$와 PLD1의 결합을 유도하였음을 관찰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하여 볼 때, EGCG가 사람의 교세포에서 포스포리파제 \gama1$-칼슘-CaM kinase II의 신호전달 경로를 통하여 포스포리파제 D의 활성을 유도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Effects of Local Pancreatic Renin-Angiotensin System on the Microcirculation of Rat with Severe Acute Pancreatitis

  • Pan, Zhijian;Feng, Ling;Long, Haocheng;Wang, Hui;Feng, Jiarui;Chen, Feixiang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9권4호
    • /
    • pp.299-307
    • /
    • 2015
  • Severe acute pancreatitis (SAP) is normally related to multiorgan dysfunction and local complications. Studies have found that local pancreatic renin-angiotensin system (RAS) was significantly upregulated in drug-induced SAP.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ngiotensin II receptors inhibitor valsartan on dual role of RAS in SAP in a rat model and to elucidate the underlying mechanisms. 3.8% sodium taurocholate (1 ml/kg) was injected to the pancreatic capsule in order for pancreatitis induction. Rats in the sham group were injected with normal saline in identical locations. We also investigated the regulation of experimentally induced SAP on local RAS expression in the pancreas through determination of the activities of serum amylase, lipase and myeloperoxidase, histological and biochemical analysis, radioimmunoassay, fluorescence quantitative PCR and Western blot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valsartan could effectively suppress the local RAS to protect against experimental acute pancreatitis through inhibition of microcirculation disturbances and inflammation. The results suggest that pancreatic RAS plays a critical role in the regulation of pancreatic functions and demonstrates application potential as AT1 receptor antagonists. Moreover, other RAS inhibitors could be a new therapeutic target in acute pancreatit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