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pase inhibition

검색결과 132건 처리시간 0.026초

아실 시아노포스포레인과 아민 유도체로 부터 γ-아미노부틸산에서 유도된 포스포리파제 A2 저해제의 효과적인 합성 (An Efficient Synthesis of γ-Aminobutyric Acid-Derived Phospholipase A2 Inhibitors from Acyl Cyanophosphoranes and Amine Derivatives)

  • 이기승;김대근
    • 대한화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61-170
    • /
    • 2004
  • 일련의 유효한 ${\gamma}$-아미노부틸산에서 유도된 인간 시토솔릭 포스포리파제 A$_2$ 저해제를 아실 시아노포스포레인과 아민 유도체로 부터 수렴적으로 합성하였다. 저해제 내의 친전자적인 단편인 알파-케토 아미드 작용기는 불안정한 ${\alpha},{\beta}$-디케토 니트릴과 ${\gamma}$-아미노부틸산 삼차-부틸에스테르 유도체와의 직접 융합반응에 의하여 -78 $^{\circ}C$에서 양호한 수율로 합성하였다.

Identification of Bacteriocin-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from Kimchi and Partial Characterization of their Bacteriocin

  • Ha, Duk-Mo;Cha, Dong-So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4권4호
    • /
    • pp.305-315
    • /
    • 1994
  • Nineteen strains of bacteriocin-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were isolated from 432 Kimchi samples, and identified by the comprehensive biochemical and morphological tests verifying their cellular fatty acid composition. Using partially purified bacteriocins from these isolates, their inhibitory activities against other lactic acid bacteria and some pathogens, and sensitivity to enzyme and heat treatments were tested. The isolates were identified as Lactobacillus plantarum (2 strains), L curvatus (2 starins), L brevis (2 strains), Enterococcus faecium (6 strains), Leuconostoc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 (1 strain) and Lactobacillus sp. (6 strains). The bacteriocins produced by E. faecium strains provided the broadest spectrum of inhibition, affecting against other Gram-positive bacteria including lactic acid bacteria and health-threatening bacteria such as Clostridium perfringens and Listeria monocytogenes. The bacteriocins of Lactobacillus sp., L plantarum and L brevis strains were capable of inhibiting many strains of the lactic acid bacteria, whereas those of L curvatus and L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 strains were only inhibitory to a few strains. Generally, the inhibitory activities of both E. faecium and Lactobacillus sp. strains were greater than those of other producer strains. The bacteriocins from the isolates were sensitive to several proteolytic enzymes, and those of L curvatus and L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 were also sensitive to lipase and $\alpha$-amylase as well as to proteolytic enzymes. The bacteriocins from the strains of Lactobacillus sp. and a strain of L. brevis were resistant to autoclaving.

  • PDF

Properties of the Fusants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88 and Lactobacillus casei subsp. casei KCTC 1121

  • Jo, Young-Bae;Heo, Kyeong;Kim, Sung-Koo;Baik, Hyung-Suk;Jun, Hong-Ki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7권1호
    • /
    • pp.25-31
    • /
    • 1997
  • Protoplast fusion between L. casei KCTC 1121 and L. acidophilus 88 was attempted to obtain improved strains. The fusants produced a bacteriocin against indicator strains, making a smaller inhibition zone compared to that of L. acidophilus 88. After culturing for 2 months on selective medium, the selected fusants were still stable without segregation. Fusants showed higher lipase activity compared to those of the two parent strains. Fusant No.4, 11, and 15 exhibited excellent lactic acid productivity. Fusant No.4 and 15 exhibited improved proteolysis ability compared to the two parent strains. Whereas L. casei possessed both ${\beta}-galactosidase$ and $phospho-{\beta}-galactosidase$ activities, and L. acidophilus 88 had only ${\beta}-galactosidase$ activity, the fusants had both the intermediate enzyme activities. Cell size of the fusants was greater than that of the parents.

  • PDF

소화효소 저해 및 지방세포 분화 억제활성에 의한 상백피의 항비만 효능 (Anti-obese effects of mulberry (Morus alba L.) root bark through the inhibition of digestive enzymes and 3T3-L1 adipocyte differentiation)

  • 우용시앙;김유정;리샤;윤명철;윤진미;김진영;조성일;손건호;김태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27-35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상백피의 소화효소 저해활성과 3T3-L1 전지방세포의 분화 억제능을 기반으로 항비만 효능소재로서의 활용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상백피의 에탄올 추출물(MRE)은 ${\alpha}$-amylase와 ${\alpha}$-glucosidase, pancreatic lipase를 활용한 소화효소 저해활성 평가 실험에서 각각 $7.86{\pm}0.36$, $0.12{\pm}0.03$, $7.93{\pm}0.11mg/mL$$IC_{50}$ 값을 보이며 우수한 억제 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3T3-L1 전지방세포를 활용한 세포분화억제효능실험에서 MRE 처리군의 세포내 지방 축적율은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되었다. 상백피의 항비만 작용 기전을 구명하기 위하여 adipogenesis 및 lipogenesis와 관련된 유전자 발현양상을 분석한 결과, 상백피 추출물 처리군에서는 생체내 지방대사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FAS와 ACC 뿐 아니라 adipogenesis와 lipogenesis와 관련된 주요 전사요소인 $PPAR{\gamma}$$C/EBP{\alpha}$, SREBP-1c의 유전자 발현이 현저하게 억제되었다. qRT-PCR 분석 결과, 상백피 추출물의 anti-adipogenesis 효능은 전사단계에서의 관련 유전자 발현억제에 기인한다고 판단되었다. 본 실험결과 상백피 추출물은 전지방세포의 분화와 세포내 지질합성을 저해하고 비만과 관련 된 소화효소에 대한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상백피의 비만 예방 소재로서의 잠재적인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Lactobacillus plantarum JCM 1149와 Pichia kudriavzevii Atz-EN-01를 이용한 오디 발효액의 항산화 및 항비만 효과 (Antioxidant and Anti-obesity Effects of Mulberry (Morus alba L) Fermented withLactobacillus plantarum JCM 1149 or Pichia kudriavzevii Atz-EN-01)

  • 이지영;오수빈;주소윤;노상규;강대욱
    • 생명과학회지
    • /
    • 제33권10호
    • /
    • pp.797-807
    • /
    • 2023
  • 오디의 기능성을 증진하기 위한 일환으로 유산균 L. plantarum JCM 1149 (LP)와 효모 P. kudriavzevii Atz-EN-01 (PK)로 발효한 오디액과 발효하지 않은 대조구 오디액의 항산화와 항비만 활성 관련 여러 지표들을 비교 조사하였다. 60시간 발효 후 PK와 LP 발효 오디액의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대조구보다 각각 1.5배 및 2배 증가하였고 총 안토시안닌 함량은 대조구에 비해 PK 발효 오디액이 1.3배, LP 발효 오디액이 1.5배 증가하였다. PK 발효 오디액의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86%에서 100%로 16.3% 증가하였으나 LP 발효 오디액은 86%에서 93%로 상대적으로 낮은 8.1% 증가하였다. LP와 PK 발효 오디액의 lipase 효소에 대한 저해율은 대조구 대비 62.9%와 52.5%로 나타났다. 발효 오디액이 3T3 - L1 지방전구 세포가 지방구를 포함한 지방세포로 분화되는 과정을 억제하는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대조구인 비발효오디 농축액과 LP 및 PK 발효 오디 농축액을 200, 400, 800 ㎍/ml 농도로 처리한 후 oil-red-O로 염색한 결과 400 ㎍/ml에서는 대조구에 비해 근소한 염색차이를 보였다. 반면에 800 ㎍/ml 처리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하게 염색을 감소시켰으며 LP 발효 오디 농축액이 PK 발효 오디 농축액 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지방구 생성 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SD rats을 이용한 6주 간 동물실험 결과 혈청 중성지방 함량의 경우 고지방 식이군은 9.5% 증가하였으나 대조군은 17.1%, LP 발효 오디 농축액 실험군은 37.1%, 그리고 PK 발효 오디 농축액 실험군은 41.6% 감소하였다. LP 발효 오디 농축액 실험군과 PK 발효 오디 농축액 실험군의 중성지방 함량은 고지방 식이군과 대조군에 비해 각각 43.1%와 21.4% 그리고 48.6%와 28.9%씩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유산균(LP)이나 효모(PK)로 발효한 오디는 발효하지 않은 오디에 비해 항산화활성, lipase 저해활성 및 지방구 생성 억제력을 증가시키고 혈청 중성지방 함량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섬괴불나무(Lonicera insularis Nakai) 추출물의 면역자극 및 항비만 활성 (Immunostimulatory and Anti-Obesity Activity of Lonicera insularis Nakai Extracts in Mouse Macrophages RAW264.7 Cells and Mouse Adipocytes 3T3-L1 Cells)

  • 유주형;여주호;최민영;이재원;금나경;안미연;정진부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417-427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섬괴불나무 열매(LIF), 잎(LIL) 그리고 줄기(LIS) 추출물의 면역증진 활성과 섬괴불나무 열매(LIF) 추출물의 항비만 활성을 평가하였다. 섬괴불나무 열매(LIF), 잎(LIL) 그리고 줄기(LIS) 추출물은 RAW264.7 세포에서 NO, iNOS, COX-2, IL-1𝛽, TNF-𝛼와 같은 면역증진인자의 생성을 증가시켰으며, IL-1𝛽의 발현은 NO생성과 관련된 것으로 보여진다. 면역증진인자은 TLR2/4를 통해 MAPKs중 p38 그리고 JNK를 자극하여 발현이 유도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항비만 실험에서, 섬괴불나무 열매(LIF) 추출물은 AMPK, HSL, ATGL의 발현 증가와 perilipin-1 발현 억제를통해 지질분해를 유도하여 세포 내 지질축적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갈색지방세포로의 분화유도와 에너지 대사에 관여하는 인자인 PRDM16, PGC-1𝛼의 발현유도를 통해서도 지질축적을 억제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섬괴불나무 추출물은 건강 보조제 및 기능성 식품으로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지만, 섬괴물나무 추출물의 어떠한 성분이 면역과 항비만 활성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성분분석이 필요하다. 또한, 본 연구는 세포를 이용한 실험으로 정확한 분석을 위해서는 동물모델을 이용한 섬괴불나무 추출물의 면역증진 및 항비만 활성에 관한 추가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송이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대두 고체발효 중 영양성분과 식물성 에스트로겐 성분의 생물전환 (Bioconversion of nutrient and phytoestrogen constituents during the solid-state fermentation of soybeans by mycelia of Tricholoma matsutake)

  • 이희율;조계만;주옥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012-1028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송이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대두의 고체 발효 기간 중 β-glucosidase 활성, 유리아미노산, 지방산, 이소플라본 함량 및 항산화 활성과 소화효소 저해 활성 변화에 대해서 확인하였다. 발효 기간 중 β-glucosidase 활성은 증가하여 발효 9일 38.89 unit/g으로 최대치를 보였으며, 이에 상응하여 aglycones 함량이 발효 9일 최대 함량을 보였다(0일: 163.03 ㎍/g → 9일: 1,074.28 ㎍/g). 특히 daidzein과 genistein 함량은 발효 9일 43.90배(511.49 mg/g)와 37.04배(460.86 mg/g) 증가를 보였다. 총지방산 함량과 총유리아미노산 함량은 발효 12일 130.85 mg/g 및 80.47 mg/g으로 가장 높았다. 특히 유리아미노산 중 필수아미노산인 발효 0일과 비교해 발효 12일 BCAA는 36.82배(0.34 → 12.52 mg/g) 증가하였으며, 감칠맛(aspartic acid 및 glutamic acid)과 단맛(serine, glycine, alanine, threonine, valine 및 lysine)과 관련된 성분의 합은 8.73 배(4.23 → 36.91 mg/g) 증가하였다. TP 및 TF 함량은 발효 기간에 따라 증가하여 발효 12일 2.7배(15.09 GAE mg/g) 및 4.4배(1.58 RE mg/g) 증가를 보였다. 항산화 활성 성분의 경향과 마찬가지로 DPPH, ABTS 및 hydroxyl 라디칼 소거 활성 또한 발효 12일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ABTS(82.08%) > DPPH(71.98%) > hydroxyl(52.02%) 순으로 높게 확인되었다. α-Glucosidase 및 췌장 lipase 저해 활성은 폴리페놀 화합물에 영향으로 발효 12일 83.49%와 77.73%로 발효 기간 중 가장 높은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 9일에서 12일 발효 시 발효물의 영양 성분, 항산화 물질, 항산화 활성 및 소화효소 저해 활성이 우수하였으며, 송이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대두 발효물이 기능성 식품 또는 기능성 식품 원료로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천연식물로부터 추출한 색소성분의 항산화 및 항비만 활성 (Antioxidant and Antiobesity Activities of Various Color Resources Extracted from Natural Plants)

  • 황초롱;강민정;심혜진;서화진;권오운;신정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65-172
    • /
    • 2015
  • 정향, 감, 오배자, 황벽, 치자, 홍화황 및 아나토와 같은 천연 식물로부터 얻어진 색소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비만 활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총 페놀 함량은 오배자 추출물에서 2,441.45 mg/kg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정향 추출물에서 1,346.48 mg/kg으로 높았다.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 활성 및 환원력을 이용한 항산화 활성은 오배자 추출물에서 가장 높았다. ${\alpha}$-Glucosidase에 대한 저해 활성은 감 추출물에서 ($IC_{50}=22.83{\mu}g/mL$)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오배자 추출물에서 높았다. ${\alpha}$-Amylase 및 lipase에 대한 저해 활성 역시 감 추출물 처리 시 각각 49.45% 및 61.01%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20{\mu}g/mL$ 농도로 처리 시 3T3-L1 세포 내 지방 축적율은 감, 정향 및 아나토 추출물 처리군에서 각각 81.54%, 83.36% 및 85.70%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3T3-L1 세포 내 triglyceride 함량은 정향 추출물 처리군이 66.11%로 가장 낮았고 다음으로 감 추출물 처리 군에서 88.88%로 유의적으로 낮았다. 천연식물류로부터 추출한 색소 원료 중 오배자 추출물이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감 추출물은 소화효소 저해 활성과 3T3-L1 세포 내의 지방 축적 억제 효과를 가짐으로써 항비만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

장내 소화 효소 활성 저해를 통한 섭취 영양소의 흡수 억제와 이를 이용한 비만 개선용 식이조성물의 개발 (Development of Anti - obesity Dietary Supplement Decreasing Nutrient Absorption by Digestive Enzyme Inhibition in Gut)

  • 윤유식;박윤신;홍정미;최선미;이홍석;홍성길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8권2호
    • /
    • pp.199-205
    • /
    • 2002
  • In this study, we found a new food additive as an natural herbal extracts against lipid digestion enzymes for the regulation of fatty acid absorption and weight control. The Water extracts of Platycodon grandiflorum and Solanum melongena. inhibited lipase activity and decresed serum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concentration in mouse fed lipid emulsion. Twenty three volunteers were subjected to the intake of the herbal extracts plus the egg yolk IgY that inhibit carbohydrate digestion enzymes in gut for 50 days. In average, the treated subjects appeared to lose 1.96 kg of body weight and 3.4 kg of body fat mass during the treated period. Furthermore, Panniculus adiposus and breech siz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Above results suggested that the administration of the dietary additives composed of natural herbal extract and egg yolk IgY improve the obesity by the decrement of body weight and body fat mass.

  • PDF

Determin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rmostable Esterolytic Activity from a Novel Thermophilic Bacterium Anoxybacillus gonensis A4

  • Faiz, Ozlem;Colak, Ahmet;Saglam, Nagihan;Canakci, Sabriye;Belduz, Ali Osman
    • BMB Reports
    • /
    • 제40권4호
    • /
    • pp.588-594
    • /
    • 2007
  • A novel hot spring thermophile, Anoxybacillus gonensis A4 (A. gonensis A4) was investigated in terms of capability of tributyrin degrad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its thermostable esterase activity by the hydrolysis of p-nitrophenyl butyrate (PNPB). It was observed that A. gonensis A4 has an esterase with a molecular weight of 62 kDa. The extracellular crude preparation was characterized in terms of substrate specificity, pH and temperature optima and stability, kinetic parameters and inhibition/activation behaviour towards some chemicals and metal ions. Tributyrin agar assay showed that A. gonensis A4 secreted an esterase and $V_{max}$ and $K_m$ values of its activity were found to be 800 U/L and 176.5 ${\mu}M$, respectively in the presence of PNPB substrate. The optimum temperature and pH, for A. gonensis A4 esterase was $60-80^{\circ}C$ and 5.5, respectively. Although the enzyme activity was not significantly changed by incubating crude extract solution at $30-70^{\circ}C$ for 1 h, the enzyme activity was fully lost at $80^{\circ}C$ for same incubation period. The pH-stability profile showed that original crude esterase activity increased nearly 2-fold at pH 6.0. The effect of some chemicals on crude esterase activity indicated that A. gonensis A4 produce an esterase having serine residue in active site and -SH groups were essential for its activity.